불전사물 (佛殿四物)’
불교의식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범음구로, 범종, 법고, 목어, 운판을 불전사물이라 한다. 부처님의 말씀에 비유하여 경배의 대상으로 삼으며 소리를 듣는 순간 삼계중생이 번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믿는 신앙적 의미와, 시간 또는 특별한 사건이 있음을 알리는 실용적 의미가 담겨있다.
불교의식은 중생들을 착한 길로 인도할 뿐만 아니라 그들을 해탈의 길로 승화시켜 주는 데, 이런 의식에는 장엄한 절차가 따르며 뭇 중생들의 심금을 울리는 신묘한 운율이 따르기 마련이다. 종소리는 명부세계의 중생을, 북소리는 모든 축생들을, 목어소리는 물 속 생물을, 운판소리는 날짐승을 제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있다.
불전사물 (佛殿四物)’의 종류
범종 (梵鐘)
아침저녁으로 28, 33번 치는 범종의 소리는 우주의 모든 중생의 영혼을 제도할 뿐만 아니라 지옥에 빠진 중생들까지도 구제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범종(梵鐘)입니다.
이 범종은 다른 불구와 달리 그 규격이 크기 때문에 흔히 종루(鐘樓)나 종각(鐘閣)을 짓고 매달아칩니다. 범종의 기원에 대하여는 중국 은(殷)나라 이후에 악기의 일종으로 사용되어 왔던 고동기(古銅器)의 종을 본떠 오늘날 불교사원에서 볼 수 있는 범종의 조형이 비롯되었다고 하는 설입니다.
법고(法鼓)
조석예불에 사용되는 북을 말하며, 축생(畜生)을 비롯한 땅 위에 사는 모든 중생들에게 불법(佛法)을 널리 전하여 번뇌를 물리치고 해탈에 이르게 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의식의 시작은 대개 법고입니다. 중국은 '법고루'를 따로 두는데 우리는 대개 종루에 사물이 모두 걸려있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예불 시작 전에도 법고를 먼저 치고 그다음 범종, 목어, 운판의 순서입니다.
조석예불에 사용되는 북으로 '법을 널리 알리는 북'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북소리가 널리 퍼져 번뇌를 물리치고 모든 중생을 깨우치는 용도라는 점에서 범종과 비슷하기도 합니다. 축생을 비롯한 땅 위에 사는 모든 중생들에게 불법을 널리 전하여 번뇌를 물리치고 해탈에 이르게 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목어 (木魚)
나무로 만든 물고기로 복부를 파내고, 막대를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것으로서 물 속에 사는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나무로 물고기 모양을 만들어 걸어 두고 쳐서 소리를 내는 불교의식 용구의 하나입니다. 목어고(木魚鼓)·어고(魚鼓)·어판(魚板)이라고도 불리지요. 중국에서 유래된 이 법구(法具)는 물고기의 배 부분을 비워 나무막대기로 물고기 배의 양쪽 벽을 쳐서 소리를 내게 한 것입니다.
물고기 모양을 취하게 된 데는 두 가지 유래가 전합니다. 『백장청규(百丈淸規)』에 의하면 물고기는 언제나 눈을 뜨고 깨어 있으므로 그 형체를 취하여 나무에 조각하고 침으로써 수행자의 잠을 쫓고 혼미를 경책했다고 하였습니다.
또, 사찰에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옛날 한 승려가 스승의 가르침을 어기고 옳지 못한 행동을 하다가 죽었다고 합니다. 그 승려는 곧바로 물고기의 과보(果報)를 받았는데, 등에는 나무가 한 그루 솟아나서 풍랑이 칠 때마다 나무가 흔들려 피를 흘리는 고통을 당하곤 하였습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그 스승이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다가 물고기로 화현한 제자가 고통을 받는 모습을 보고 ‘수륙재(水陸齋)’를 베풀어 물고기를 해탈하게 하였다는 설이 있습니다. 현재 사찰에서는 새벽예불과 저녁예불, 큰 행사가 있을 때 범종 등과 함께 목어를 치게 됩니다. 이는 물속에 사는 모든 중생들을 제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운판 (雲板
구름모양으로 만들어진 철판 또는 청동판으로, 공중을 날아다니는 중생을 제도하고 허공을 떠도는 영혼을 천도(遷度)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범종·금고·목어와 함께 불전사물의 하나이지요. 형태는 구름 모양으로 맨 위에는 매달 수 있도록 2개의 구멍이 뚫려 있고, 그 아래에 당좌가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로 청동이나 철을 얇게 만들어 소리를 내는 것으로 문양의 장식에 따라 단면식과 양면 식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침·저녁 예불을 드릴 때 사용하며, 특히 하늘을 날아다니는 새와 같은 동물을 위해 치는 의식법구(儀式法具)로 알려져 있습니
기타
금고(金鼓)
반자 또는 대금구(金口)라고도 하며,요즘은 법당에서 예불을 올릴 때 종송과 함께 의식에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불전사물의 이해 (문화원형백과 산사의 소리, 2005.,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