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원 료 |
제품의 종류 |
젓 갈 류 |
어 류 |
가자미젓, 강달이젓, 고노리젓, 고등어젓, 갈치젓, 까나리젓, 꽁치젓, 능성어젓, 눈치젓, 대구젓, 도루묵젓, 도미젓, 돌치젓, 동태젓, 등피리젓, 디포리젓, 매가리젓, 멸치젓, 모챙이젓, 민어젓, 반지젓, 뱅어젓, 밴댕이젓, 송애젓, 뱀장어젓, 웅어젓, 자리젓, 전어젓, 정어리젓, 준치젓, 황숭어젓 등 |
갑각류 |
갈게젓, 겟가제젓, 게장, 게젓, 고개미젓, 곤쟁이젓, 꽃게젓, 농발게젓, 능갱이젓, 대하젓, 돌게젓, 바다게젓, 박하지젓, 방게젓, 백하젓, 벌떡게젓, 부새우젓, 새우젓, 새우맛젓, 새우액젓, 새하젓, 썰게젓, 오젓, 육젓, 자젓, 중하젓, 참게젓, 청게젓, 털게젓, 토하젓, 피앵이젓, 화란게젓, 황발이젓 등 | |
연채류 |
꼴뚜기젓, 굴젓, 낙지젓, 대합젓, 동죽젓, 맛젓, 모시조개젓, 바지락젓, 백합젓, 소라젓, 오분자기젓, 오징어젓, 어리굴젓, 조개젓, 한치젓 등 | |
어패류의 |
갈치속젓, 게웃젓, 고등어내장젓, 대구아가미젓, 민어아가미젓, 명태아가미젓, 뱀장어 창젓, 전어밤젓, 조기속젓, 조기아가미젓, 창란젓, 해삼창자젓 등 | |
어패류의 |
게알젓, 고등어알젓, 대구알젓, 대구이리젓, 명란젓, 복어알젓, 새우알젓, 성게알젓, 숭어알젓, 연어알젓, 장대알젓, 조기알젓, 화란젓 등 | |
식 해 류 |
어 류 |
가자미식해, 갈치식해, 광어식해, 노가리식해, 대구식해, 도다리식해, 도루묵식해, 멸치식해, 명태식해, 뱅어식해, 우럭식해, 전어식해, 전갱이식해, 조기식해, 쥐치식해, 홀때기식해, 횟대식해 등 |
연채류 |
고동식해, 낙지식해, 대합식해, 마른 오징어식해, 문어식해, 오징어식해, 한치식해 등 | |
어란 및 |
명태아가미식해, 명태창자식해, 명란식해 등 |
월별 젓갈의 종류
월별 |
젓 갈 종 류 |
1 |
명란젓, 창란젓, 어리굴젓, 뱅어젓 |
2 |
어리굴젓 |
3 |
꼴뚜기젓 |
4 |
꼴뚜기젓, 조개젓, 조기젓, 황석어젓, 대합젓, 홍합젓 |
5 |
조기젓, 멸치젓, 준치젓, 소라젓, 정어리젓, 뱅어젓 |
6 |
갈치젓, 오징어젓, 새우젓 |
7 |
오징어젓, 곤쟁이젓 |
8 |
오징어젓, 대합젓 |
9 |
실치젓 |
10 |
토하젓, 명란젓, 창젓 |
11 |
전복젓, 명란젓, 어리굴젓 |
12 |
굴젓, 뱅어젓 |
각 지방의 젓갈
지 방 |
젓 갈 종 류 |
서울·경기도 |
비웃젓(청어), 조기젓, 오징어젓, 새우젓 |
충 청 도 |
어리굴젓, 굴젓, 꼴뚜기젓, 해피젓(바지락조개), 새우젓, 소라젓, 밴댕이젓, 곤쟁이젓, 꽃게젓, 박하젓, 싸시랭이젓(꽃게의 새끼), 낙지젓, 민어아가미젓, 까나리젓, 홍합젓, 멸치젓, 조기젓 |
강 원 도 |
명태포식해, 서거리젓(북어아가미), 명란젓, 창란젓, 조개젓, 방게젓, 오징어젓, 북어밥식해, 도루묵식해, 명란식해, 멸치식해 |
경 상 도 |
멸치젓, 꽁치젓, 성게젓, 대구포젓(대구아가미), 대구알젓, 호리가젓(꼴뚜기), 조기젓, 뱅어젓, 굴젓, 해삼창자젓, 갈치속젓(갈치내장), 전복젓, 가자미식해, 밀양식해(북어, 마른 오징어) |
전 라 도 |
굴젓, 고흥석화젓, 돔배젓(전어내장), 대합젓, 고록젓(꼴뚜기), 황석어젓, 갈치속젓, 전복창자젓, 벌떡게게장, 콩게젓, 뱅어젓, 조기젓, 고노리젓, 백하젓, 민새우젓, 밴댕이젓 |
제 주 도 |
자리젓, 고등어젓, 깅이젓, 멸치젓, 게웃젓(곤쟁이) |
황 해 도 |
까나리젓, 연안식해, 참게젓 |
평 안 도 |
게알 젓, 대하알젓, 조개젓(대합), 건댕이젓(곤쟁이) |
함 경 도 |
연어알젓, 가자미식해, 동태식해, 도루묵식해, 대구젓, 창란젓, 명란젓 |
젓갈의 선택기준
1) 젓갈의 필수조건 적당한 염농도와 신선한 생선이어야 한다. 저장장소는 온도가 10∼15℃ 이하의 서늘한 곳이 좋다. 그릇은 공기 접촉을 적게 하기 위해서 깊고 입이 좋은 오지그릇(단지, 항아리)이 좋으나, 해로운 유약(납)을 쓴 것은 불량하다. 플라스틱도 장기 저장에는 해롭다. 작은 양은 유리그릇을 사용한다. |
새우젓으로 2월에 생산하는 동백하젓은 희고 깨끗하며, 5월에 생산하는 오젓은 어체가 견고하지 못하고 붉 은빛을 낸다. 6월에 생산하는 육젓은 어체가 크고 흰 바탕에 묽은 색이 섞여 있다. 9월에 생산하는 어젓은 붉은 색을 띠며 잡어가 섞여 있다. 10월에 생산하는 추젓은 어체가 연약하고 희다. |
첫댓글 저는 개인적으로 멸젖을 제일 좋아합니다... 양배추 삶은것에 멸젖 얹어서 먹으면 그만이지요.. 아주 좋은 정보입니다....
가자미식해 진짜맛있어요,,ㅋㅋ
음...내가 토하젓을 정말 좋아라하는데..ㅜ.ㅜ
전 토하젓먹어봣습니다 할머니께서 가끔사오시는데 알이 아니고 새우로 만들엇더라구요 투껑을 열자마자 희미하게 보이는 생이의 윤곽;;
명란젓에 밥이랑 같이 먹으면..ㅋ
음... 밥 한공기 땡긴다^^ 수래야 어디서 펌한거여? ㅋㅋ
수래야...이 형이랑 젓갈 먹으러 함 가자^^
한번도 못 먹어 봤는데.. 토하젓
아항~ 제가 키우는 새우들도 전부 생이들인데, 정말 별별 녀석들이 다모여 있지요. 유독 시커먼 애들이 몇 있는데, 그게 새뱅이겠네요. 나머지 좀 투명한 새우들도 보리새우라는 녀석들이겠네요. 덕분에 좀 더 우리 생이들의 과거(?)를 잘 알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