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운은 인성과 재성 그리고 관성을 본다. 먼저 인성을 보고 매입여부를 결정하고 재성을 보고 매도여부를 결정한다. 비겁운은 금전부족으로 성사되지 않거나 매매가 지연되고 시비나 구설이 따른다. 식상운은 매매가 되는 운이나 상관견관되면 송사가 생긴다.
부자가 되는 구조는 식상생재구조나 재생관구조인데, 식상생재구조는 내가 잘 벌 수 있는 능력이고 재생관은 남이 벌려놓은 직장에서 돈을 잘 벌게 되는 능력이 있다.
문서이동은 월지, 일지, 일간의 합충으로 보는데, 운에서 년지를 합충하면 부모유산, 부모재산으로 인한 이사이동수가 있고, 월지를 합충하면 직업변동으로 이사이동수가 있고, 일지를 합충하면 이혼, 이별, 별거 등으로 분주다사하거나 이사이동수가 있다. 역마운으로 이사하면 타의에 이한 이동이사이고, 지살운으로 이사를 하는 것은 자의에 이한 이동이사이다. 재성은 매도로 보고 인성은 매수로 본다. 년월의 합충이면 가택이 변하고 인성이 합충이면 매매가 이루어진다.
운에서 관성이 임하면 직업변화로 이사 가고, 인성이 임하면 매도매매로 이사를 가고, 식상이 임하면 투자로 이사를 한다.
첫댓글 허. 훌륭합니다. 누가 정리했는지 참으로 간단 명료하군요. 제가 보는 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인수운은 공부관계나 문서가 동한다. 식상운은 활동성이나 신규사업이다. 재성운은 돈과 관계되거나 돈이 움직인다. 해서 둘씩 조합하면 재인운은 돈들여 문서 잡는다. 공부하기 위해서 돈을 쓴다. 식재운은 부지런히 활동해서 돈을 번다. 새로운 사업을 하기 위해서 돈을 쓴다는 식으로 봅니다.
2. 년주는 국가적 차원이니 전국망이나 해외로 보고, 또 고향이란 의미도 있으니 조업이나 유산으로 보기도 하고, 월주는 주택이나 직장이나 부모형제궁이니 그런 문제로 보고, 일주는 자신궁이자 부부궁이니 그런 문제라고 보며, 시주는 사랑방이나 점포나 소속 부서로 보거나 자녀나 손아랫사람으로 보니 그런 문제로 봅니다.
3. 거기에 더하여 형충파해합으로 동하는 십성이나 궁위를 보면서, 신살을 써서 적당히 버무리는데, 위처럼 간단히 설명하지는 못하는데, 참으로 간단 명료해서 좋습니다.
재생관은 남이 벌려놓은 직장에서 돈을 잘 벌게 되는 능력이 있다. --- 이거는 대기업이나 관공서를 등에 업고 장사한다고도 봅니다. 또는 도매업을 한다고 봅니다. 한꺼번에 왕창 세일식이라고 봅니다.
조은님 감사합니다. 워낙 명리자료가 많아서 검증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참여와 관심을 기대하겠습니다.
정리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