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원 넓이 구하는 공식 유도과정에서 치환 적분을 이용하여 x=asint 라고 치환하는데 왜 x가 asint가 되는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댓글 보통은 X값은 cos 으로 치환하죠.x^2/a^2 + y^2/b^2 = 1 에서 x=acos@ , y=bsin@ 를 대입해보면 코사인제곱+사인제곱=1 이됩니다.
타원의 장축과 단축을 지름으로 하는 두 원을 그리고 타원 위의 임의의 점을 잡아 두 원을 이용하여 좌표를 반지름과 각을 이용하여 표현한겁니다.
근데 왜 x=acost가 아니라 x=asint죠?
@노스탤지어 x를 코사인 y를 사인으로 해도 되고 x를 사인 y를 코사인으로 해도 됩니다.다만 삼각함수의 정의에서 x/r 를 코사인 값으로 했기 때문에 주로 x값을 코사인으로 하는 것일 뿐입니다.
치환적분은 식의 형태를 cos으로 만드는 방향이 편하기때문에 sin이나 tan로 치환합니다.
첫댓글 보통은 X값은 cos 으로 치환하죠.
x^2/a^2 + y^2/b^2 = 1
에서 x=acos@ , y=bsin@ 를 대입해보면 코사인제곱+사인제곱=1 이됩니다.
타원의 장축과 단축을 지름으로 하는 두 원을 그리고 타원 위의 임의의 점을 잡아 두 원을 이용하여 좌표를 반지름과 각을 이용하여 표현한겁니다.
근데 왜 x=acost가 아니라 x=asint죠?
@노스탤지어 x를 코사인 y를 사인으로 해도 되고 x를 사인 y를 코사인으로 해도 됩니다.
다만 삼각함수의 정의에서 x/r 를 코사인 값으로 했기 때문에 주로 x값을 코사인으로 하는 것일 뿐입니다.
치환적분은 식의 형태를 cos으로 만드는 방향이 편하기때문에 sin이나 tan로 치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