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찬노숙(風餐露宿)
바람을 맞으면서 밥을 먹고 이슬을 맞고 잠을 잔다는 뜻으로, 즉 떠돌아 다니며 고생스러운 생활을 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이다.
風 : 바람 풍(風/0)
餐 : 먹을 찬(食/7)
露 : 이슬 노(雨/13)
宿 : 잘 숙(宀/8)
(유의어)
남부여대(男負女戴)
문전걸식(門前乞食)
즐우(櫛雨)
즐풍(櫛風)
즐풍목우(櫛風沐雨)
출전 : 육유(陸遊)의 숙야인가시(宿野人家詩), 소식전집(蘇軾全集) 卷27 外
이 성어는 송(宋)나라 소동파(蘇東坡)의 시 유산정통판승의사기참요사(游山呈通判承議寫寄參寥師)라는 시에 나오는데 그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 시는 석도잠(釋道潛) 스님을 위해 지은 것이다(此詩為釋道潛作)
扁舟下南來, 逸駕追鳴鵠.
조각배를 타고 남으로 내려와, 편안하게 수레를 타고 따오기 울음소리를 따르노라.
遇勝即徜徉, 風餐兼露宿.
아름다운 곳을 만나면 곧바로 한가로이 거닐다, 바람을 맞으며 밥을 먹고, 이슬을 맞으며 잠을 자노라.
또 송(宋)나라 범성대(范成大)의 원일(元日)이라는 시에는, “밥을 먹지 못하고 잠을 자지 못해 완전히 의욕이 없어지고, 바람에 맞으며 밥을 먹고 이슬을 맞고 잠을 잔 지 반평생에 바보가 되었네.”고 했다.
飢飯困眠全懶, 風餐露宿半生痴.
또 송나라 육유(陸遊)는 숙야인가시(宿野人家詩)에서, “늙어 내세 길이 뒤섞여 기억이 다하고, 바람에 맞으며 밥을 먹고 이슬을 맞으며 잠을 자는 것이 그릇된 것임을 깨닫지 못했네.”라고 하였다.
老來世路渾암盡, 露宿風餐未覺非.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공전(工典) 6조 제1조 산림(山林)에서 서북(西北)의 인삼(蔘)과 돈피(貂)에 대한 세(稅)는 마땅히 너그럽게 해야 하니, 간혹 금령을 범하더라도 관대하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라는 제목 아래 사복(私腹)을 채우는 세리들을 이렇게 질타하고 있다.
강계의 법에 산삼을 캐려는 자는 모두 관첩(官帖)을 받고 입산한다.
江界之法, 凡採蔘者, 授官帖入山。
그들이 산속에 들어가 한 해 가을과 겨울을 풍찬노숙(風餐露宿)으로 넘기면서 위험한 모든 산짐승과 함께 지내다가 구사일생(九死一生)으로 모든 고초를 겪고 산에서 나오게 되는데, 산에서 나오는 날이면 관에서 그 주머니와 전대를 뒤지고, 그 품안과 옷소매를 수색하여 한 조각의 삼(蔘)도 용서 없이 모두 헐값으로 강탈하여 관에 들여가는데 나라에 바친다고 핑계하지만 실은 사복을 채우는 것이다.
經秋過冬, 風餐露宿, 虎豹與居, 熊豕與遊, 九死一生, 備嘗艱苦, 及其出也, 搜其囊橐, 搜其懷袖, 一角之蔘, 曾不少饒, 咸以輕價, 勒奪入官, 託以貢獻, 悉歸私裝。
간사하고 교활한 이교(吏校)가 아래에서 조종하여 뇌물을 주고 서로 빠질 구멍을 뚫으니 국법(國法)은 시행되지 않고 관리의 사악(邪惡)만이 조장된다. 마침내 무슨 유익함이 있겠는가.
奸吏猾校, 自下操縱, 賄賂所行, 漏竇交穿, 國法不行, 官邪徒長. 究何益矣。
목민관 된 자는 마땅히 이것을 알아서, 그 공헌(貢獻)에 소용되는 것은 본값을 다 주고 그 삼가(蔘價)의 나머지 이익을 취하지 말아야 하며, 나머지는 제 스스로 마음대로 팔도록 허락하여 주고 한 조각도 빼앗지 말아야 한다.
牧宜知此, 其貢獻所用, 咸給本價, 毋竊其剩, 其餘聽其自賣, 毋攘一角。
▶️ 風(바람 풍)은 ❶회의문자로 风(풍)은 간자(簡字), 凨(풍), 凬(풍), 凮(풍)은 고자(古字)이다. 무릇(凡) 태풍이 지나간 다음에 병충(蟲)이 많이 번식한다는 뜻을 합(合)하여 바람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바람’을 뜻하는 風자는 본래 봉황새를 그린 것이었다. 갑골문에 나온 風자를 보면 큰 날개와 꼬리를 가진 봉황이 그려져 있었다. 봉황은 고대 중국의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새로 갑골문에 나온 風자는 바로 그 상상의 새를 그린 것이었다. 그러나 風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바람이라는 뜻으로 혼용되기 시작했다. 바람의 생성원리를 이해하지 못했던 고대인들은 봉황의 날갯짓으로 바람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에는 風자가 ‘봉황’과 ‘바람’으로 혼용되기도 했지만 이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凡(무릇 범)자에 鳥(새 조)자가 결합한 鳳자가 ‘봉황새’를 뜻하게 되었고 봉황이 몰고 왔던 바람은 凡자에 虫(벌레 충)자가 더해진 風자로 분리되었다. 그래서 風(풍)은 (1)허황하여 믿음성이 없 말이나 행동을 이르는 말. 허풍 (2)바람을 막으려고 둘러 치는 천 (3)정신 작용, 근육 신축, 감각 등에 고장이 생긴 병. 전풍(顚風), 중풍(中風), 비풍(痺風) 따위 (4)원인을 알기 어려운 살갗의 질환(疾患). 두풍(頭風). 피풍(皮風). 아장풍(鵝掌風) 따위 등의 뜻으로 ①바람 ②가르침 ③풍속(風俗), 습속(習俗) ④경치(景致), 경관(景觀) ⑤모습 ⑥기질(氣質) ⑦병(病)의 이름, 감기(感氣), 중풍(中風: 뇌혈관의 장애로 인한 병) ⑧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⑨절조(節操: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⑩노래, 악곡(樂曲), 여러 나라 민요(民謠) ⑪뜻, 낌새 ⑫풍도(風度: 풍채와 태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⑬소식(消息), 풍문(風聞) ⑭멋대로, 꺼리낌 없이 ⑮바람을 쐬다 ⑯바람이 불다 ⑰풍간(諷諫)하다(완곡한 표현으로 잘못을 고치도록 말하다) ⑱감화시키다, 교육하다 ⑲외우다, 암송하다 ⑳유전(流轉)하다(이리저리 떠돌다), 떠돌다 ㉑암수가 서로 꾀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옛적부터 행하여 온 모든 생활에 관한 습관을 풍속(風俗), 바람의 세력을 풍력(風力), 음식의 고상한 맛을 풍미(風味), 기후와 토지의 상태를 풍토(風土), 바람이 부는 방향을 풍향(風向), 어떤 상황이나 형편이나 분위기 가운데에 있는 어느 곳의 모습을 풍경(風景), 세찬 바람과 험한 물결을 풍파(風波), 속사를 떠나 풍치가 있고 멋들어지게 노는 일을 풍류(風流), 바람결에 들리는 소문을 풍문(風聞), 뜨거운 바람을 열풍(熱風), 몹시 세게 부는 바람을 폭풍(暴風), 자기가 가는 방향에서 마주 불어오는 바람을 역풍(逆風), 첫여름에 부는 훈훈한 바람을 훈풍(薰風), 갑자기 거세게 일어나는 바람을 돌풍(突風), 미친 듯이 사납게 부는 바람을 광풍(狂風), 산수의 경치가 너무나 맑고 아름다움을 풍광명미(風光明媚),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풍사재하(風斯在下), 맑은 바람과 밝은 달 등(等)의 자연(自然)을 즐기는 사람을 이르는 풍월주인(風月主人), 바람이 불어 구름이 흩어진다는 풍류운산(風流雲散), 바람에 불리면서 먹고, 이슬을 맞으면서 잔다는 풍찬노숙(風餐露宿), 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풍전등화(風前燈火),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려고 생각할 때에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음을 이르는 풍수지탄(風樹之歎) 등에 쓰인다.
▶️ 餐(밥 찬, 물말이할 손)은 형성문자로 喰(찬), 湌(찬), 飡(찬), 飧(손), 飱(손)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밥 식(食=飠; 먹다, 음식)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잔, 찬)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餐(찬, 손)은 ①밥, 점심밥 ②샛밥(간식), 곁두리 ③음식(飮食) ④먹다, 마시다 ⑤칭찬하다, 찬미하다 ⑥거두다, 그리고 ⓐ물말이하다(물에 말아서 풀어 놓은 밥)(손) ⓑ밥을 말다(손) ⓒ저녁밥(=飡)(손)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저녁 식사를 만찬(晩餐), 잘 차린 점심을 오찬(午餐), 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하는 아침 식사를 조찬(朝餐), 음식물을 많이 먹음을 가찬(加餐), 찬 밥 또는 반찬이 없는 밥을 냉찬(冷餐), 진귀한 음식을 진찬(珍餐), 하는 일 없이 녹을 먹음을 소찬(素餐), 밤참으로 저녁밥을 먹고 난 한참 뒤 밤중에 먹는 음식을 야찬(夜餐), 아침 저녁으로 밥을 날라 줌을 전찬(傳餐), 정식의 식단에 의한 식사를 정찬(正餐), 늘 먹는 식사를 상찬(常餐), 검소한 식사를 조찬(粗餐), 바람에 불리면서 먹고 이슬을 맞으면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 다니며 고생스러운 생활을 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풍찬노숙(風餐露宿), 한데서 자고 한데서 먹는다는 뜻으로 여행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을 노숙풍찬(露宿風餐), 침식을 잊고 일에 심혈을 기울임을 폐침망찬(廢寢忘餐), 재덕이나 공적도 없이 높은 자리에 앉아 녹만 받는다는 뜻으로 자기 직책을 다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시위소찬(尸位素餐), 일에 열중하여 음식 먹기를 폐하거나 잊거나 함을 폐식망찬(廢食忘餐) 등에 쓰인다.
▶️ 露(이슬 로/노)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비 우(雨; 비, 비가 오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잇닿는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路(로)로 이루어졌다. 수증기가 낱알 모양으로 잇닿아 있는 것, 이슬의 뜻이다. ❷형성문자로 露자는 ‘이슬’이나 ‘진액’, ‘좋은 술’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露자는 雨(비 우)자와 路(길 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路(길 로)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으로 ‘길’이라는 뜻이 있다. 이슬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워진 물체에 부딪히며 생기는 물방울을 말한다. 露자는 그 이슬을 뜻하기 위해 路자에 雨자를 결합한 것으로 길 위해 맺힌 맑고 깨끗한 이슬을 뜻하고 있다. 새벽의 이슬은 맑고 깨끗한 물을 뜻하기도 하기에 露자는 ‘좋은 술’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래서 露(이슬 로/노)는 ①이슬 ②진액(津液) ③좋은 술 ④허무함의 비유 ⑤보잘것 없음의 비유 ⑥러시아(Russia) ⑦드러나다 ⑧나타나다 ⑨은혜(恩惠)를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⑩고달프다, 고달프게하다 ⑪적시다,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⑫허물어지다, 부서지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사나울 폭(暴)이다. 용례로는 감춰지거나 가려져 있는 대상이나 사실을 보이거나 알 수 있도록 드러내는 것을 노출(露出), 예상치 못하거나 원치 않은 사실을 드러내어 알게 하는 것을 노정(露呈), 지붕 등으로 가리지 않은 바깥을 노천(露天), 비바람 등을 가릴 수 없는 집 밖의 장소에서 잠을 자는 것을 노숙(露宿), 가리우거나 덮여 있지 않은 땅을 노지(露地), 길가의 한데에 벌여 놓은 가게를 노점(露店), 숨기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드러냄을 노골(露骨), 곡식을 한데에 쌓아 둠을 노적(露積), 지붕이 없는 우물을 노정(露井), 겉으로 나타내거나 나타남을 노현(露見), 학을 달리 이르는 말을 노금(露禽), 24절기의 열다섯째를 백로(白露), 24절기의 열일곱째를 한로(寒露), 남의 비밀이나 비행 따위를 파헤쳐서 남들 앞에 드러내 놓는 일을 폭로(暴露), 속마음을 죄다 드러내어서 말함을 토로(吐露), 말이나 글이나 행동에 드러남 또는 자기의 죄와 허물을 여러 사람에게 고백하여 참회함을 발로(發露), 문서 같은 것을 펴 보이는 일 또는 일반에게 널리 알림을 피로(披露), 비밀이 드러남을 탄로(綻露), 드러나거나 나타남 또는 드러내거나 나타냄을 정로(呈露), 가을이 되어 처음 내린 이슬을 초로(初露), 방울지어 떨어지는 이슬을 적로(滴露), 이슬이 맺힘을 결로(結露), 해를 보면 곧 스러지는 아침 이슬로 인생의 덧없음을 아침 이슬에 비유하는 말을 조로(朝露), 썩 맑고 깨끗한 이슬을 옥로(玉露), 한데서 자고 한데서 먹는다는 뜻으로 여행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을 노숙풍찬(露宿風餐), 꼬리는 드러낸 채 머리만 숨긴다는 뜻으로 잘못을 숨기려 해도 결국 드러나게 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노미장두(露尾藏頭), 이슬이 맺어 서리가 되니 밤기운이 풀잎에 물방울처럼 이슬을 이룬다는 말을 노결위상(露結爲霜), 바람에 불리면서 먹고 이슬을 맞으면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 다니며 고생스러운 생활을 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풍찬노숙(風餐露宿), 아침 이슬은 해가 뜨면 곧 사라지듯이 위기가 임박해 있다는 말을 위여조로(危如朝露),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이 짧고 덧없다는 말을 인생조로(人生朝露), 말의 다리가 드러난다는 뜻으로 숨기려던 정체가 드러남을 이르는 말을 마각노출(馬脚露出), 해가 나면 없어질 풀잎에 맺힌 이슬처럼 덧없는 인생을 이르는 말을 초로인생(草露人生), 나뭇잎이 저 산 모양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 경치가 맑고 수려함을 형용해 이르는 말을 각로청수(刻露淸秀), 생명이나 지위가 아주 불확실하여 쉽사리 꺼져 버리는 상태에 있다는 말을 조로지위(朝露之危), 머리는 감추었는데 꼬리는 드러나 있다는 뜻으로 진실을 숨겨두려고 하지만 거짓의 실마리는 이미 드러나 있다는 말을 장두노미(藏頭露尾), 모자를 벗어서 정수리를 드러낸다는 뜻으로 예의에 구애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탈모노정(脫帽露頂) 등에 쓰인다.
▶️ 宿(잘 숙, 별자리 수)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갓머리(宀; 집, 집 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佰(백, 숙)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첨)은 이부자리로 쓰는 깔개 席(석)의 변한 모양, 佰(백)은 나그네가 숙소를 정하다에서 숙소, 또 묵다에서 오래 되다의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宿자는 ‘자다’나 ‘숙박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宿자는 宀(집 면)자와 人(사람 인)자, 百(일백 백)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宿자는 宀자와 佰(일백 백)자가 결합한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 큰 관계는 없다. 왜냐하면, 宿자에 쓰인 百자는 모양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갑골문에 나온 宿자를 보면 침대에 누워있는 사람이 그려져 있었다. 그래서 宿자의 본래 의미는 ‘자다’였다. 후에 뜻이 확대되면서 ‘숙박하다’나 ‘오래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宿(숙, 수)는 ①잠을 자다, 숙박(宿泊)하다 ②묵다, 오래 되다 ③나이가 많다 ④한 해 묵다 ⑤지키다, 숙위하다 ⑥안심(安心)시키다 ⑦찾아 구(求)하다 ⑧재계(齋戒)하다(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다) ⑨크다 ⑩숙직 ⑪당직(當直) ⑫숙소, 여관 ⑬잠든 새 ⑭미리, 사전(事前)에 ⑮본디 ⑯평소(平素), 전(前)부터 ⑰여러해살이의 ⑱크게, 그리고 ⓐ별자리(수) ⓑ성수(星宿; 모든 별자리의 별들)(수)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복습이나 예습을 위하여 집에서 지어 오게 하거나 풀어 오게 하는 문제 또는 두고 생각하여 보거나 해결해야 할 문제를 숙제(宿題), 날 때부터 타고난 운명을 숙명(宿命), 오래도록 지녀온 소원을 숙원(宿願), 여관이나 주막에 들어 밤을 자고 머무름을 숙박(宿泊), 머물러 묵는 곳을 숙소(宿所), 관청이나 회사나 학교 등에서 잠자고 밤을 지키는 일 또는 그 사람을 숙직(宿直), 붙어사는 동식물을 제 몸에 붙여서 그에게 양분을 주는 동식물을 숙주(宿主), 오래 전부터의 원수를 숙적(宿敵), 오래된 병환을 숙환(宿患), 오래된 묵은 원한을 숙원(宿怨), 마음속에 품은 시름을 숙포(宿抱), 잠자는 일과 먹는 일을 숙식(宿食), 오래 전부터 지니고 있는 희망을 숙망(宿望), 창자 속에 오래 묵어 있던 대변을 숙변(宿便), 예부터의 풍습을 숙습(宿習), 일찍부터 품은 뜻을 숙지(宿志), 이튿날까지 깨지 아니한 술의 취기를 숙취(宿醉), 동물이 어떠한 곳에 깃들여 사는 것을 서숙(棲宿), 비바람 등을 가릴 수 없는 집 밖의 장소에서 잠을 자는 것을 노숙(露宿), 남의 집에서 묵음을 유숙(留宿), 남의 집에 몸을 붙여 숙식함을 기숙(寄宿), 일정한 돈을 받고 여객을 치는 집을 여숙(旅宿), 앙심을 품고 서로 미워함 또는 그런 사이를 앙숙(怏宿), 여러 사람이 한 곳에 묵음을 합숙(合宿), 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귀숙(歸宿), 과부로 지냄을 독숙(獨宿), 한 방에서 같이 잠을 동숙(同宿), 잘 곳이 없음을 무숙(無宿), 여러 곳에 나뉘어서 숙박함을 분숙(分宿), 일정한 대가를 내고 비교적 오랫동안 남의 집에 머물러 있으면서 자고 먹고 하는 일을 하숙(下宿), 남녀가 한 숙소에 뒤섞여 함께 자는 일을 혼숙(混宿), 자는 범의 코를 찌른다의 뜻으로 가만히 있는 사람을 건드려서 화를 스스로 불러 들이는 일을 숙호충비(宿虎衝鼻), 밤낮으로 잊을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깊은 근심이나 묵은 근심을 이름을 숙석지우(宿昔之憂), 바람에 불리면서 먹고 이슬을 맞으면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 다니며 고생스러운 생활을 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풍찬노숙(風餐露宿), 한데서 자고 한데서 먹는다는 뜻으로 여행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을 노숙풍찬(露宿風餐), 함께 잠자고 함께 날아간다는 뜻으로 부부를 일컫는 말을 쌍숙쌍비(雙宿雙飛), 주살질은 해도 자는 새를 쏘지는 않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나 정도를 넘지 않는 훌륭한 인물의 태도를 이르는 말을 익불사숙(弋不射宿), 길 없는 초원을 걷고 들에서 잠잔다는 뜻으로 산야에서 노숙하면서 여행함을 이르는 말을 초행노숙(草行露宿), 여행 길에 하룻밤 묵어 한 끼 식사를 대접받는다는 뜻으로 조그마한 은덕을 입음을 이르는 말을 일숙일반(一宿一飯)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