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내더라도 음식·형식 간소화 필요
성균관, 다음 달 2일 현대화 권고안 발표
현재 성인 10명 중 6명 꼴로 제사를 지내고 있지만, 앞으로는 4명 정도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절반 이상 앞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혹 제사를 계속하더라도 음식은 물론 절차 등 형식 간소화가 필요하다는데 공감대가 모아졌습니다.
오늘(30일)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제례문화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55.9%가 ‘앞으로 제사를 지낼 계획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제사를 지낼 계획이 있다’는 답변은 44.1%로, ‘현재 제사를 지내고 있다’고 답한 이들이 62.2%인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제사를 계속하는 이들이 대폭 줄어들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응답자들은 ‘제사 형식을 간소화하거나 가족모임 같은 형태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41.2%)는 것을 제사를 지내지 않으려는 가장 큰 이유로 꼽았습니다. 이어 ‘시대의 변화로 더는 제사가 필요하지 않다’가 27.8% ‘종교적 이유나 신념’이 13.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사를 계속하겠다는 답변은 ‘조상을 기리기 위해서’(42.4%)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가족들과의 교류를 위해서’(23.4%), ‘부모의 뜻을 이어가기 위해서’(15.9%), ‘전통 유지’(10.0%) 등 이유를 제시했습니다.
제사 과정에 가장 개선점에 대해 응답자들은 ‘제수 음식의 간소화’(25.0%)를 꼽았습니다. 이어 ‘형식의 간소화’(19.9%), ‘남녀 공동 참여’(17.7%), ‘전통과 현대를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제사’(17.2%), ‘제사 시간 변경’(5.3%)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는 이같은 조사 결과와 현대사회 특성 등을 감안해 ‘현대화 제사 권고안’을 다음 달 2일 발표할 예정입니다. 권고안에는 부모나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일제’(忌日祭)에 관한 제안을 담게 됩니다. 가풍, 지역 특성, 제사의 형식·형편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관련해 평상시 반상 음식으로 자연스럽게 준비하고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을 올릴 수 있도록 안내할 것으로 보입니다. 권고에는 가족 합의 하에 초저녁 제사를 지내도 된다는 내용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성균관은 이번 권고가 일반 가정을 위한 것으로 유림 제사와는 구분한다는 방침입니다.
성균관은 또 불천위(不遷位·큰 공훈을 세워 영구히 사당에 모시는 것을 나라에서 허락한 사람의 신위)를 모시고 지내는 제례에 대해 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해 보존할 것을 당국에 건의할 계획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최승규 한마디
제사 지내는것 어린시절 ..
기다려 지던 가정 행사 였읍니다
(건너방 천장에 매단 봉지들 꼭 한약방 약제실 들어온 느낌이지만 ..!
그건 쌀을 담아 매달아 놓고 제사 지낼때 사용하게 될 쌀 봉지 였지요)
오래간만에 쌀밥 얻어 먹으려고 잠..자지 않고 기다렸지요..!
아을 어르신들도 몇분 오셔서 제사준비 도와 주시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
그분들도 밤참 과 한잔술 생각나 오신것은 아니였는지..?
배고프던 시절 이야기 였읍니다
20여년전 아이들 20세 중반 들어 설때 제사 지낼때 마다 ...
꼭 언질 줬읍니다
아비는 습관되여 죽을때 까지 제사 지내지만 너희들은 아비 제사도 지내지 ..마라....
아비는 시신도 병원에 기증 했으니 ..
장례식장도 차릴것 없다...
시체도 없고 무덤조차 없으니 제사 무슨 소용이냐..!
제사라는건 농업시대 가족력으로 뭉쳐 손나누어 농삿일을 협동으로 쉽게 하려는 방법이기도 했다
사촌 팔촌까지 ...
이제도에서 묶여 게으른이가 나오기 어렵게 묶어놓는 방법 였을듯...?
공업시대 세계화 시대
자식이 부모 사이가 경제논리로 횡행 하는 시대...
자식이 부모을 때려 죽이지 않나...
부모는 자식을 멀리하라고 법에 호소하는시대...
첫댓글 잊지만 말아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