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비공개 입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차례(茶禮)는 명절에 지내는 제사로 절사(節祀), 다례(茶禮)라고도 한다. 차례는 조상에게 달, 계절, 해가 바뀌고 찾아왔음을 알리는 의례이며 제사는 사망한 날을 추모하는 의례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주로 설과 추석 명절에 차례를 지내며, 기제사와 더불어 조상에 대한 숭배사상이 깃들어 있다. 차례를 지낼 때 조상에게 올리는 음식은 조리 방법과 담는 방법에 있어서 지역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 차례상은 어떻게 차려야 하나요?차례상은 각 지방이나 가정의 전통에 따라 다르게 차릴 수 있으며, 상차림은 제사와 동일하다. 각자의 방식에 따라 차례상 위에 음식을 차리는 것을 진설(陳設)이라고 한다. 진설(陳設)은 명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설날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올린다. 기본적인 차례상 차림은 5열이며 다음과 같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가장 앞 줄, 다시 말해 신위각주1) 에서 가장 먼 줄이 다섯 번째 줄(5열)이다. 주로 5열에는 과일류가 진설(陳設)되며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류를 올린다. 5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는 ‘조율이시(棗栗梨枾) 또는 조율시이(棗栗枾梨), 홍동백서(紅東白西)’가 있다. 조율이시(棗栗梨枾)는 좌측부터 조(棗)는 대추, 율(栗)은 밤, 이(梨)는 배, 시(枾)는 곶감의 순으로 올린다는 의미이며, 조율이시(棗栗梨枾)와 함께 조율시이(棗栗枾梨)도 가능한 방법이다. 홍동백서(紅東白西)는 동쪽에는 붉은 과일, 서쪽에는 흰 과일을 올린다는 의미이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두 번째 줄(4열)에는 포,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가 올라간다. 지역에 따라 포, 식혜는 3열 또는 4열에 올리는 경우가 있다. 4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 ‘좌포우혜(左胞右醯), 서포동해·혜(西脯東醢·醯), 숙서생동(熟西生東) 또는 생동숙서(生東熟西)’가 있다. 좌포우혜(左胞右醯)는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올린다는 의미이며, 서포동해·혜(西脯東醢·醯) 역시 서쪽에는 포, 동쪽에는 생선젓과 식혜를 올린다는 의미이다. 숙서생동(熟西生東)은 서쪽에는 익힌 나물, 동쪽에는 생김치를 올린다는 의미이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세 번째 줄(3열)에는 육탕(육류), 소탕(두부, 채소류), 어탕(어패류) 등 3가지 종류의 탕을 올린다. 지역에 따라 적(구이)이 2열 또는 3열에 올리는 경우가 있다. 3열에는 양쪽으로 촛대를 올린다. 3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 ‘어동육서(魚東肉西)’가 있다. 어동육서(魚東肉西)는 동쪽에는 생선, 서쪽에는 육류를 올린다는 의미이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두 번째 줄(2열)에는 서쪽에서부터 육전(기름에 부친 전),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두부 부친 것), 어적(생선 구운 것), 어전(기름에 부친 것)을 올린다. 지역에 따라 2열에는 면, 탕, 떡, 간장이 올리는 경우가 있다. 2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 ‘동두서미(東頭西尾), 적접거중(炙楪居中)’이 있다. 동두서미(東頭西尾)는 동쪽에 머리를 향하고, 서쪽에 꼬리를 향한다는 의미이며, 적접거중(炙楪居中)은 적(구이)는 중앙에 올린다는 의미이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 줄, 다시 말해 신위에서 가장 가까운 줄이 첫 번째 줄(1열)이다. 주로 1열에는 수저, 밥, 잔, 국을 올린다. 지역에 따라 1열에는 메(밥), 갱(국), 숭늉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명절에 따라 떡(송편)을 올리기도 한다. 1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 ‘좌반우갱(左飯右羹)’이 있다. 이는 좌측에 메(밥), 우측에는 갱(국)을 올린다는 의미이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인터뷰 동영상 설날 차례상 진설법
차례상 차리는 방법
설날 차례상 진설의 경우는 1열에 메(밥), 갱(국) 대신에 떡국을 올린다. 다른 열은 추석 차례상 진설과 동일하다. 지역별 차례상 진설법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는 각 지역별로 특색을 가진 음식을 차례상에 올린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충청도 차례상에는 삶은 닭고기, 대구포, 상어포, 가오리포, 오징어, 피문어 등의 건어물 또는 홍어, 병어, 가자미, 낙지, 서대묵 등을 올린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전라도 차례상에는 대표 음식인 홍어를 비롯하여 병어, 낙지, 꼬막 같은 어패류 등을 올린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경상도 차례상에는 대구, 돔배기, 문어, 안동 식혜, 조기, 민어, 가자미, 방어, 도미 등을 올린다.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상에는 올리면 안 되는 음식이 있다. 삼치, 꽁치, 갈치 등 ‘치’자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는다. ‘치’로 끝나는 생선은 흔하고 값이 저렴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은 조상님의 혼령을 쫓는다는 이유로 올리지 않는다. 또한 고추가루와 같은 붉은 양념은 쓰지 않으며 강한 향신료인 마늘 양념도 사용하지 않는다.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의 간은 간장 대신 소금으로 하며, 맵거나 자극적이지 않게 한다. 마지막으로 붉은색 팥고물 대신 흰 앙금을 사용하도록 한다. 예절에 맞는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인터뷰 동영상
각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글출처다음백과 |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을 앞둔 21일 서울 중구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열린 ‘aT와 함게하는 추석 차례상 차리기’행사에서 전통 차례상이 차려져 있다.
'동두서미·조율이시' 알쏭달쏭 차례상···올바른 차림법은?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연휴가 한창이다. 명절이면 늘 고민되는 것이 음식준비다. 특히 제사상을 올바로 차렸는지 좀처럼 확신이 들지 않는다. 처음 명절을 맞이하는 며느리라도 노련하게 상차림을 완성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추석 차례상에는 기본적으로 송편이 올라간다. 여기에 탕, 적, 나물, 포, 과일 등이 함께 놓인다. 상을 차릴 때는 시접과 잔반을 먼저 놓고 술잔과 떡국을 놓는다.
세번째 줄에는 탕을 놓는다. 육탕, 소탕, 어탕의 순으로다. 네번째 줄에는 왼쪽에 포, 오른쪽 끝에 식혜(수정과)를 올리고 그 사이에 나물, 김치 등을 놓는다. 어포를 쓸 때는 배를 아래로, 등을 위로 놓는다. 다섯번째 줄은 '조율이시'(棗栗梨枾)를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과일을 올려놓는다. 이 때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으로 올린다. 차례상에는 붉은살 생선과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대개 조기, 도미 등을 찜으로 대구, 명태 등은 전으로 올린다. 생선은 신선도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구입시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차례상을 차릴 때 유의할 점은 과일은 홀수로 올리고 과일의 위아래를 깎아 놓아야 한다. 또 제사를 지낼 때는 붉은 팥 시루떡을 쓰지만 차례를 지낼 때는 붉은 색이 조상을 쫓는다 해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쓴다. 차례 음식은 양념을 되도록 진하게 하지 않는다. 【서울=뉴시스】김지은 기자 = 2017-10-03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002_0000110979&cID=10201&pID=10200
|
[한가위 음식e야기]차례상의 유래와 의미는?민족 최대의 명절 한가위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민족 최대의 명절인 한가위 연휴가 시작되었다. 한가위를 민족 최대의 명절이라 부르는 이유는 한해 동안 키운 오곡백과와 온갖 음식을 정성스럽게 마련해 조상들에게 ‘차례’(茶禮)를 지내며 가족의 번영과 안녕을 기원했기 때문이다. 기제사가 조상의 사망한 날을 추모해 지내는 의례이고 묘제는 4대조 이상의 조상의 묘를 찾아 추모하는 의례라면 차례는 조상에게 달과 계절, 해가 바뀌고 찾아왔음을 알림과 동시에 음식을 올리는 의례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따르면 차례에 모셔지는 조상은 불천위(不遷位:나라에 공훈이 많아 사당에 모셔 영원히 제사를 받들도록 허락한 분의 위패)와 함께 4대 조상에 한한다. 차례의 유래는 차(茶)를 올리는 절차를 내포한 중국의 제사형식에서 유래했지만 국내에서는 차를 올리는 예식을 제외하고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17세기 후반 조선시대 제사와 차례등의 예법을 기록한 이재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서 “차는 본래 중국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례’의 절차에 나와 있는 설다(設茶)·점다(點茶:차를 끓여 올리는 것)와 같은 글귀는 모두 빼어버렸다”고 적혀 있다. 전통적으로 차례상에는 탕병(湯餠:떡국),약반(藥飯:약밥)·애병(艾餠:쑥떡)·각서(角黍:줄풀잎으로 찹쌀을 싸서 송편같이 만든 떡)·증병(蒸餠:시루떡)·수단(水團:경단)·상화(霜花:기장떡)·조율고(棗栗羔:대추와 밤을 섞어 찐 백설기)·나복고(蘿蔔羔:무시루떡)·전약(煎藥)·엽육(獵肉:사슴·돼지·꿩·기러기 등 들에서 사냥한 고기) 등을 올렸다. 문헌 등에 나온 차례의 관행을 보면 남부지방의 벼재배지역에서는 설과 추석이 중요한 명절로 인식되어 이 날 차례를 올리는 것이 관례화되었지만 북부지방처럼 밭작물 재배지역에서는 추석의 차례가 유명무실한 편이었다. 그러나 현대에 접어들어 물산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추석이 전국적인 명절로 확산되자 차례를 지내는 풍습도 지역을 가리지 않고 확대되었다. 차례는 대부분의 지방에서 낮에 지내며 가까운 부계친족끼리 모여서 지내되 종가에서부터 차례대로 지낸다. 한편 차례상에는 음식별로 놓는 위치가 정해져 있다.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에,육류는 서쪽으로 가게 한다. △좌포우혜(左脯右醯)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놓는다. △동두서미(東頭西尾) 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꼬리가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은 서쪽으로 놓는다. △조율이시(棗栗梨枾) 좌측부터 조(대추), 율(밤), 이(배), 시(곶감)의 순서로 진설하고 다음에 호두 혹은 망과류(넝쿨과일)을 쓰며 끝으로 조과류(다식,산자, 약과)를 진설한다. (조율시이도 가능) |
추석 음식추석을 맞이해 가족들이 함께 나눌 음식과 제사 음식을 준비하는 손길도 바빠지고 있다. 다행히 올 추석에는 채소 가격은 다소 높을 수 있지만 축산물 가격은 하락해 서민들의 부담이 비교적 덜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는 늘어나는 소비로 물가가 오르지 않도록 비축 물량을 풀어 물가를 잡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식품 업체 및 유통 업체들은 가성비가 높은 가정간편식(HMR) 형태의 명절 음식을 출시해 가격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한번 알아두면 차리기 쉬운 차례상의 원칙= 복잡해 보이는 차례상 차림도 한번 제대로 알아두면 매해 알차게 활용할 수 있다. 조상을 모신 신위는 북쪽을 향해 두고 절을 하는 자리는 남쪽으로 해야 한다. 차례상은 신위를 바라본 자세에서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라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다양한 음식이 차례상에 오르고 있지만 기본으로 지켜야 할 5가지 상차림 원칙이 있다. ‘홍동백서(紅東白西)’다. 붉은 과일은 상의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는 의미다. 다음은 ‘좌포우혜(左胞右醯)’다. 우측에는 식혜를, 좌측에는 포를 놓는 것이다. 생선은 오른쪽에 육류는 왼쪽에 두는 원칙인 ‘어동육서(魚東肉西)’도 있다. ‘조율이시(棗栗梨枾)’에 따라 상의 좌측부터 대추(조), 밤(율), 배(이), 곶감(시)의 순서로 올린 후 호두나 넝쿨과일, 약과 다식, 산자 등을 놓는다는 것도 기억해두자. 마지막으로 ‘동두서미(東頭西尾)’의 경우 상에 오르는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는 것이다. 차례상에는 여러 음식이 한 번에 올라가기 때문에 줄을 맞춰 진설해야 한다. 신위에서 가장 가까운 첫째 줄에는 수저와 잔, 국과 밥 등을 놓는다. 상을 차리는 사람이 봤을 때 밥과 술은 왼쪽이고 국은 오른쪽이다. 둘째 줄에는 왼쪽에서부터 국수와 기름을 사용한 전, 육적, 어적, 떡 등을 놓는다. 셋째 줄은 육류로 만든 육탕, 두부나 채소류로 만든 소탕, 어탕 등 탕류를 올린다. 탕은 일반적으로 1·3·5개의 홀수로 맞춰 준비한다. 탕 종류를 다섯 개까지 늘리는 경우 봉탕(닭), 잡탕을 더한다. 넷째 줄은 포와 나물, 마지막 다섯 번째 줄에는 과일을 둬야 한다. 나물의 경우 왼쪽에는 김치를 오른쪽에는 익힌 나물을 놓는다. 김치의 경우 나박김치만 쓰며 나물은 대개 콩나물·숙주·무·고사리·도라지·나물 순으로 놓는데 집안에 따라 이 중에 3가지만 준비하는 경우도 있다. 과일을 놓을 때는 항상 홀수를 맞춰야 한다. 제기에 올리는 과일은 위아래 부분을 살짝 돌려 깎는다. ◇신선한 재료 구별하기= 차례상에 올리는 제수 음식은 흠이 없고 깨끗한 것으로 고르는 것이 좋다. 생선의 경우 눈알이 맑고 선명하며 앞으로 볼록 튀어나와 있어야 한다. 배를 눌렀을 때 팽팽하고 탄력이 있는 것이 신선도가 높은 제품이다. 아가미는 선명한 선홍색을 띄어야 한다. 단 물기가 많이 묻어나오는 것은 냉동을 했던 상품을 녹인 후 파는 것일 수 있으니 주의하자. 차례상에 자주 오르는 굴비는 비늘이 고르게 촘촘히 박혀있고 배 부분에 노란 빛이 도는 것이 좋다. 몸 전체가 붉은색으로 몸통이 두툼하고 길이가 짧은 것이 국내산이다. 반면 비늘이 거칠고 몸에 광택이 유난히 많은 편이라면 수입산일 가능성이 높다. 소고기는 절단면의 색이 밝고 윤기가 나면 안심하고 구입해도 된다. 국산의 경우 덩어리 형태도 다양하고 등심은 자른 면에 떡심이 들어가 있다. 하지만 외국산은 타원형에 떡심이 없는 경우가 많다. 소갈비는 지방이 흰색이고 짝갈비(덩어리) 형태로 팔리는 것이 국산 소고기다. 나물도 국산과 외국산을 구별하는 방법이 있다. 국산 도라지는 길이가 짧고 가늘며 동그랗게 말리는 성질이 약한 게 특징이다. 잔뿌리가 비교적 많이 붙어 있고 원뿌리도 2~3개 정도만 갈라져 있는 점도 살펴보아야 한다. 국산 고사리는 연한 갈색에 너무 길지도 굵지도 않다. 배는 맑고 선명한 황갈색에 윤기가 나야 품질이 좋으며 배 특유의 점 무늬 크기가 크고 꼭지 부분이 없어야 맛이 뛰어나다. 사과는 껍질에 탄력이 느껴지고 손가락으로 튕겼을 때 맑은 소리가 나는 것을 고르는 게 좋다. 전면에 골고루 붉은 빛을 띠고 냄새를 맡았을 때 향긋한 것이 좋은 품질의 사과다. ◇간편하고 저렴한 HMR 명절 음식도 인기= 명절음식도 간소화 하는 추세를 반영해 롯데푸드는 최근 ‘초가삼간 전’ 3종을 출시했다. 오징어, 새우 등 해물을 넣어 풍부한 식감을 살린 ‘해물파전’과 고소한 감자를 얇게 채썰어 바삭하게 부쳐낸 ‘감자채전’, 부드러운 동태살에 계란옷을 입혀 부치고 홍고추를 하나하나 올려 고급스러움을 더한 ‘동태전’ 총 3종으로 출시됐다. 냉동 보관 제품으로 프라이팬에 데우기만 하면 노릇노릇한 전을 손쉽게 완성할 수 있어 추석 명절 상차림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명절 음식 장만을 한층 쉽게 만들어주는 다양한 간편식 제품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푸드 김밥속햄’도 설과 추석이 있는 달의 매출은 평소 대비 40% 이상 상승할 정도로 명절 구매율이 높다. 평소에는 김밥 속재료로 사용되지만 명절에는 차례음식인 산적꼬치를 만들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이다. 남도 전통 요리를 제품화한 ‘롯데 떡갈비’도 명절 기간 매출이 평소 대비 50% 이상 상승했다. 특히 올해 설 직전에 낱개당 고기와 야채 함량을 늘리고 넓적한 형태로 리뉴얼해 제수 음식으로 활용성을 더욱 높였다. 명절상 위에서 풍성해 보일 뿐만 아니라 집어 들기 편리해 굽기도 더 간편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