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발생 취약업소에 대한 정밀 위생 진단을 실시하여 영업자의 자발적인 위생관리 의식을 함양하고, 식중독 발생을 사전에 차단 하고자 함. |
1. 추진배경
○ 식중독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음식점․집단급식소 등을 대상으로 위생 점검 및 홍보․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 해 오고 있으나 식중독 사례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음.
※ 2009년도 식중독환자 발생 현황(전남)
구분 |
계 |
음식점 |
학교급식소 |
가정집 |
기타 |
건수(건) |
7 |
3 |
2 |
1 |
1 |
환자수(명) |
450 |
66 |
24 |
10 |
350 |
2. 추진방침
○ ATP세균측정기 등 첨단 장비를 활용, 전문적인 위생 진단 실시
- 기존의 형식적인 점검에서 탈피, 세밀하고 과학적인 위생 점검
○ 집단급식소․생선횟집․식중독 발생 취약업소 중점 실시
-
3. 추진계획
□ 진단목표 : 20개소
□ 사업기간 : 2010. 6.28 ~ 7.9일(기간 중 10일)
□ 추진방법
○ 2개조 10명(위생담당 공무원 3,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7)
□ 대상업소 선정
○ 군 홈페이지에 진단서비스 사업 공고 후 개별 신청․접수
○ 신청 업체가 목표에 미달될 경우 임의 선정
- 생선 횟집 , 과거 식중독 발생업소 등 취약업소
서비스 신청
(업소) |
⇨ |
확정통보
(군) |
⇨ |
맞춤형 현장 진단
(군) |
□ 진단서비스 절차
⇨ |
진단결과 통지
(군) |
⇨ |
지적사항 개선․보완
(업소) |
⇨ |
사후관리
(군) |
① 신청(대상) 업체에 방문일자 통보
② 대상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위생수준 진단 및 평가
- 식재료 구입 단계부터 검수, 보관, 조리, 배식, 섭취단계까지 전 과정의 위생상태 및 오염가능성 여부 등 점검
③ ATP측정기, 식중독균 간이검사 키트 등을 이용하여 칼․도마 등 조리기구, 식기류, 종사자(손) 등 세균오염도 측정
④ 점검결과에 의한 업소별 보완책 제시
⑤ 사후관리
- 업체는 개선사항을 보완(1개월 이내) 결과 통보
- 개선 조치 상황 등 확인(군)
4. 기대효과
○ 적극적인 식중독 예방 관리를 통한 식중독 발생률 저하
○ 영업자의 자발적인 위생관리 능력 향상 및 행정 만족도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