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 강풍 이겨낸 복원력 계류장치
최대 40% 이상 발전량 증가 기반 제공
'회전추적식 수상 태양광 시스템' 개발한 수원 스타트업
등골 오싹한 위기 순간 무수히 극복하고 독자 개발 이뤄
이후 '다면체 무축 회전추적 기술' 획득한 아이앤아이월드 세계가 주목!
1.서론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출주도형 국가인 한국 기업들은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있다. 동시에 전세계는 AI산업, 데이터센터 운영 위한 에너지 수요가 전기로 집중하는 추세와 맞물려 자국 내수면중 댐과 저수지에 수상 태양광을 설치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2.본론
'무회전축 방식 회전 수상 태양광기술' 이 수원 스타트업이 세계 최고의 기술을 구현하면서 세계는 놀라워 하고 있다. 한편 EU연합은 '수상 회전기술 연구'에 매우 적극적으로 대규모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다수의 유럽 에너지 컨퍼런스 주최기관은 아이앤아이월드를 초청하여 '무축 회전추적 기술'을 발표하고 회의를 이끌어달라는 요청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회전식 수상 태양광은 얼마나 더많은 발전이 가능할까? 최대 40% 이상 높다. 데이타는 '땀과 의지' 의 산물이다. 수년간 인내와 노력으로 수집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이들중 2019년 수집분석한 일일 일사량 데이타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공개한다.
회전식 수상 태양광 시스템 기술의 핵심인 '계류장치'는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안전과 효율'을 확보하기 위한 수상 태양광 핵심기술로 아이앤아이월드는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했다. 회전을 하든 정방향 고정식이든 계류가 확실해야 발전량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기에 최적의 기술을 추구하고 수많은 고난을 극복한 후 획득했다. 계류장치가 수상 태양광 발전 시설의 중추적 기술인 이유는 방향이 틀어지고 위치가 동요하면 전기 생산량이 감소하고 발전시설은 '충돌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3.결론
즉 회전식 수상 태양광이 고정식 육상태양광에 비하여 양면형도듈 적용하면 발전량 비교 최대 40% 이상 증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조시간이 길어지는 여름으로 갈수록 회전식과 고정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간의 일사량 차이는 더욱 커진다. 전기생산량은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마련이다. 고정식 대비 약 4시간 더 가동시간이 증가한다. 1년 평균 일사량은 무축 회전식이 고정식 수상 태양광에 비해서 30% 이상 늘어난다. 더욱이 수면 반사효과에 의한 발전량 증가효과를 볼 수 있을것이다. 결론적으로 발전량이 최소 22% 이상 수상 고정식 대비 무축 회전식이 전기를 더많이 생산할것으로 보고 있다.
2016년 세계 최초로 무축 회전식 수상 태양광 시스템 기술이 수원시 일월 저수지에서 개발되었다. 5년여 동안 신뢰성 내구성 검증을 마쳤다. 이제 대한민국 수원시는 글로벌 태양광 산업이 주목하는 '무축 회전 시스템' 기술 분야 세계적 성지로 거듭나고 있다.
#별첨
1.국내논문
제목: 수상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환경에 따른 모듈의 전기적 특성,
출처: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2018, 31권, 5호, 283p ~ 289p
https://journal.kpvs.or.kr/articles/pdf/d28a/cpr-2021-009-04-4.pdf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5254915202.page
2.외국논문
제목: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Pivotless Tracking and Fixed-Type Floating Solar Power Systems
by Hongsub Jee 1,Yohan Noh 1,Minwoo Kim 2 andJaehyeong Lee 1,*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Republic of
Korea
2. INIworld Co., Ltd., Suwon 16417, Republic of Korea*
Author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Appl. Sci. 2022, 12(24), 12926; https://doi.org/10.3390/app122412926
Received: 13 November 2022 / Revised: 8 December 2022 / Accepted: 15 December 2022 / Published: 16
December 2022
출처: https://www.mdpi.com/2076-3417/12/24/12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