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인터넷/게임 이준호, 3771-8049]
삼성에스디에스 (018260.KS/매수)
: 하반기에 더해질 생성형 AI 매출
■2Q24 Re: 가파른 CSP의 성장
- 삼성에스디에스는 2분기 매출액 3조 3,690억원(+2.4%YoY, +3.7%QoQ), 영업이익 2,209억원(+7.1%YoY, -2.2%QoQ. OPM 6.6%)으로 컨센서스에 부합
- 2분기 실적 역시 클라우드가 이끌었음. IT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1조 5,864억원(+5.0%YoY, +2.1%QoQ), 영업이익률은 12.5%(+1.6%pQoQ)를 시현. 이익률 개선은 클라우드 매출 5,560억원(+25.1%YoY, +4.8%QoQ) 내 CSP 매출(2,095억원(+48.7%YoY))의 가파른 성장에 기인. 생성형 AI용 GPU 서비스 증가로 CSP 매출의 고성장이 지속
- 지난 5월 KB금융을 시작으로 쌓고 있는 기업용 생성형 AI 서비스의 레퍼런스가 3분기부터 MSP 매출액의 성장으로도 이어질 전망
- 2분기 물류 부문 매출액은 1조 7,826억원(+0.1%YoY, +5.3%QoQ)를 기록. 물류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1.3%(-2.0%pQoQ). 1분기 전년 정산분이 이연 반영되었고 항공 운송 주요 고객의 신제품 운송 집중되어 2분기 감소한 영향
- 하반기 생성형 AI의 매출 기여가 가시화되고 물류 부문의 영업이익률의 정상화가 이뤄진다면, 전체 영업이익률의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
■하반기 생성형 AI 서비스 금융, 공공기관 확대 예상
- 삼성에스디에스는 2024년 매출액 13조 5,862억원(+2.3%YoY), 영업이익 9,308억원(+15.2%YoY, OPM 6.9%)를 기록할 전망
- IT서비스 매출액은 6조 5,438억원(+7.2%YoY), 연간 클라우드 매출액은 2조 4,183억원(+28.6%YoY)으로 추정
- 5월 출시한 기업용 생성형 AI 서비스 패브릭스와 브리티 코파일럿의 상반기 실적 기여는 낮으나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수익화를 예상
- 삼성에스디에스는 이번 실적발표에서 올해 생성형 AI 매출(CSP, MSP, SaaS 포함) 예상치를 1,000억원 중반으로 제시. 관계사 외에도 KB금융, 웅진, 인천국제공항공사 등과 시작한 협력은 3분기부터 실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임
- 삼성에스디에스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의 클라우드 서비스 민관협력 사업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초거대 인공지능기반 플랫폼 이용지원 컨설팅 사업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
- 국내에서 기업용 생성형 AI 서비스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출하여 레퍼런스를 빠르게 쌓고 있으며 성과를 내고 있음. 향후 생성형 AI 서비스로 관계사 외 매출 비중 확대가 가능하다는 점 역시 긍정적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20,000원 유지
- 현재 삼성에스디에스의 기업가치는 12MF PER 기준 13.7배. 하반기 고객사의 AI 도입이 실적으로 가시화되면서 리레이팅은 이뤄질 것으로 판단
- 5.5조원의 풍부한 현금성자산 역시 잠재적인 상승 요인. 현금성자산 활용의 우선 순위는 1) M&A, 2) R&D/데이터센터향 투자, 3) 주주환원이며 모두 검토 단계
리포트: https://bit.ly/4cV3ux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