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직 사유 명시는 개인정보라서 명시할 수 없고, 업무 분장은 확정되지 않아 명시가 곤란하다고 합니다.
개인정보여서 안 된다는 것은 이해해야 하는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휴직 사유가 명시된다고 해서
계약기간을 온전히 보장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어떤 휴직도 중도계약해지는 일어날 수 있는 것이라서
휴직 사유 명시가 문제해결 방법은 아닌 듯합니다.
업무 명시도 할 수 없다는 말도 이해가 갑니다. 업무분장을 2월에 하니 이럴 수밖에 없는 듯합니다.
정규교사의 발령을 앞당기고 업무 분장 시기도 앞당겨서 1월초에 업무분장이 확정되어야 함을 교육부에 요구해서
시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더 연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기간제교사제도가 사라져야 중도계약해지는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현재 학교는 교사가 부족해서 모두 영혼을 갈아넣고 몸도 갈아넣으며
불가능을 기적을 만들고자 고통스런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인천특수교사 추모제에서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고 기적을 요구하는 것은 위법이라고 했습니다.
근본적인 대책은 학교에 필요한 교사를 비롯한 모든 인력을 충분히 확충해서 여유 있게 교육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급식노동자가 폐암으로 죽어가지 않는 안전한 급식실이 되어야 하고
방학에는 누구나 휴식을 취하고 필요한 연수를 받으며 교육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니 정규직화 요구가 정말 절실하다고 생각합니다.
<강원 교육청>
|
<경기교육청>
|
<경남교육청>
|
<경북교육청>
|
<광주교육청>
|
<대구교육청>
|
<대전교육청>
|
<부산교육청>
|
<세종교육청>
|
<울산교육청>
|
<서울교육청>
|
<인천시 교육청>
|
<전남교육청>
|
<전북교육청>
|
<제주교육청>
|
<충남교육청>
|
<충북교육청>
|
첫댓글 기간제의 정규직화라는 주장이 과연 정말 기간제교사의 자리보존에 유리할는지요...?
정교사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기간제교사를 정규직화 할 바엔
임용으로 정규교사를 많이 뽑는게
낫다고 생각하지않을까요?
그렇게 스토리가 돌아간다면 임용공부와 멀어진 현 기간제교사 선생님들은 오히려 일자리 스펙트럼이 좁아지고 자리를 잃게되는 결과로 돌아오진않을지 생각해봅니다.
좋은 말씀인 듯 합니다. 이 부분은 우리 모두가 진지하게 한번 함께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슬프게도 정부가 기간제교 정규직화와 임용으로 정규교사 확대 모두 반대하고 있으니 그런 고민은 안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시겠지만 정부는 인구축소를 이유로 정규교원을 축소하고 부족인원은 기간제로 채운다는 것이 큰 방향입니다
우리는 더 많은 교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이고 정규교원을 확충하는데에 그간 고생한 기간재교사 정규직화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즉 임용확대와 정규직화는 같이가는
것이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by1221 같이간다는것은 결국 기간제교사의 정규직화의 주장은 결국 정교사 임용을 늘릴게될수밖에 없을것입니다.정교사로 10명은 못늘리더라도 5명은 늘리겠죠.그러면 10개였던 기간제교사의 자리는 5개로 줄어들것입니다.
@by1221 선생님! 이렇듯 서로 간의 입장이 우리 내부에서도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함께 고민해보고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씀드리는 것 입니다. 우리가 주장하는 어떤 내용이든지 의견을 모으고 함께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힘이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
@계약직교원 네 그럴수도 있겠죠 선생임,, 그러나 기간제교사 중 임용 준비를 하는 쌤들도 많으니 단순히 기간제교사 일자리가 줄어든다고만 볼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 이것은 결정되어 있는 것 아닙니다 기간제교사 정규직화 운동의 힘이 커서 정부가 기존 정책을 뒤짚고 임용을 늘릴 정도라면 기간제교 정규직화, 적어도 기간제교사의 더 나은 고용안정 정책을 밀어부칠 여지가 정말 없을까요? 중요한 것은 우리가 더 큰 힘 내는 겁니다 그래야 우리에게 더 많은 선택의 여지가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 중요한 것은 우리의 힘을 모으는 것입니다 정규직화에 동의 안하는 교사들도 차별폐지, 처우개선에 힘을 모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노조로 조직된 기간제교사 수는 수백도 안됩니다
@볼테기 네~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