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행본 장 31장 무릇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니 사람들이 종종 그것을 싫어한다 그 때문에 욕심이 있는 사람이라도 거기에 거하지 않는다. 군자는 평소에는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용병할 때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그러므로 무기는 군자의 기물이 아니며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니 부득이하게 사용할 뿐이다 날카로운 무기가 좋기는 하지만 아름답게 여겨서는 안 된다 만약 그것을 아름답게 여기면 이것은 살인을 즐거워하는 것이다 무릇 살인을 좋아하는 사람은 천하에 뜻을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길한 일에는 왼쪽을 높이고 상사에는 오른쪽을 높인다 그러므로 편장군은 왼쪽에 자리잡고 상장군은 오른쪽에 자리잡으니 상례에 따라 자리잡는 것이다 죽인 사람이 많으면 슬퍼하면서 나아가고 싸움에서 이기면 상례로 처리한다. 夫兵者, 不祥之器也. 物或惡之, 故有欲者弗居.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故兵者非君子之器也, 兵者不祥之器也, 不得已而用之. 銛襲爲上, 勿美也. 若美之, 是樂殺人也. 夫樂殺人, 不可以得志於天下矣. 是以吉事上左, 喪事上右. 是以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言以喪禮居之也. 殺人衆, 以悲哀莅之. 戰勝, 以喪禮處之.1) 무릇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니 사람들이 종종 그것을 싫어한다. 그 때문에 욕심이 있는 사람이라도 거기에 거하지 않는다 夫兵者, 不祥之器也. 物或惡之, 故有欲者弗居 여기에서 '병(兵)'은 검(劍)·극(戟)·과(戈)·모(矛) 같은 무기를 가리킨다(왕진). 이것이 '병'의 원래 의미다. 나중에는 그 무기를 지니고 있는 사람, 곧 병사라는 의미로 뜻이 확대되었기 때문에 이 문장에서도 그렇게 보는 경우가 있으나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다"라는 말에 비추어볼 때 적절하지 않다. 통행본에는 대개 '가병(佳兵)'으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아름답다〔佳〕'는 말과 '상서롭지 못하다〔不祥〕'는 말이 서로 상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전에도 이 구절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백서에 따르면 '아름답다'는 말은 빠져야 할 글자이기 때문에 문제가 저절로 해결된다. 성현영에 따르면 "상과(霜戈)가 햇빛에 반짝이고 보검(寶劍)이 하늘에 빛나더라도 이런 것은 흉황한 도구이므로" 『노자』가 이렇게 이야기한 것이다. 앞글(30)에서도 그렇고, 이미 『노자』의 반전론은 충분히 모습을 드러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고 본다. 『국어』 「월어하」에는 "무릇 용감한 것은 덕을 거스르는 것이고, 무기는 흉기이며, 싸우는 것은 일의 말단"이라는 범려의 말이 나온다. 이 문장과 뜻이 통한다. 『여씨춘추』 「중추기·논위」에도 지금 『노자』의 글과 유사한 글이 있다. 무릇 무기는 천하의 흉기이며, 용맹은 천하의 흉덕(凶德)이다. 흉기를 들고 흉덕을 행하는 것은 부득이함에서 나온다. 『여씨춘추』처럼 『노자』도 아래에서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니 부득이하게 사용할 뿐"이라고 말한다. 공자도 기본적으로 반전론이지만 부득이한 전쟁은 용납했다. 『대대례기』 「용병」에 이런 기사가 있다. 애공이 말했다. "병사를 쓰는 것은 상서롭지 못한 일이 나오는 길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어찌 상서롭지 못한 것이 되겠습니까? 성인의 용병은 잔학과 포악이 천하에 횡행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입니다. 후세의 탐욕스러운 사람의 용병이 백성를 죽이고 나라를 위태롭게 할 뿐입니다." 이 말이 공자의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공자 사상에는 부합한다. 공자는 백성에 대한 폭력적 강제를 최소화하는 경(輕)정치를 주장했지만 명분 있는 전쟁은 스스로 요구하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의 용병이라면 공자가 마다할 이유가 없다. 『노자』도 그렇다. 참고로 "무기는 흉기다"라는 말은 『사기』 「평진후열전」이나 「혹리열전」에도 나온다. 이 문장은 초간문에는 없다. 백서도 갑본의 경우에는 앞의 두 구절을 묵으로 지웠다가 다시 썼다. 그러므로 이 문장에는 뭔가 '수상한' 구석이 있다. 내용으로 보아도 앞의 두 구절은 다음에 다시 나오고, 뒤의 두 구절은 다른 글(24)에서 이미 나왔다. 군자는 평소에는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용병할 때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이 문장에 대한 전통적 설명은 육희성이 보여준다. "천지의 도는 왼쪽을 양으로, 오른쪽을 음으로 하여 양은 덕과 삶〔生〕을 주관하고 음은 형벌과 죽음을 주관한다. 그 때문에 군자는 평상시에 덕이 있는 자로서 왼쪽에 거하니 이것이 왼쪽을 귀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전쟁이 일어나면 용감한 자로서 오른쪽을 높이니 이것이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또 음에는 숨기고 감춘다는 뜻이 있고, "병사(兵事)는 책모를 헤아릴 수 없게 하고 모습을 감추는 것을 귀하게 여기므로(『회남자』 「병략훈」)" 용병할 때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고도 한다. 물론 이런 음양론적 해설은 한대 이후에나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뒤에는 "길한 일에는 왼쪽을 높이고, 상사에는 오른쪽을 높인다"는 말이 나온다. 서로 관련되는 말이므로 뒤의 문장을 해설할 때 좀더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그러므로 무기는 군자의 기물이 아니며,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니, 부득이하게 사용할 뿐이다 故兵者非君子之器也, 兵者不祥之器也, 不得已而用之 이 문장의 앞 두 구절은 서로 중복이다. 또 두 번째 구절은 이 글(31)의 첫머리에 이미 나왔다. 앞 두 구절은 통행본에 좀 다르게 되어 있지만 중복의 의미가 있는 것은 마찬가지고,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라는 말이 앞에서 나오는 것도 마찬가지다. 사실 "군자는 평소에는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용병할 때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는 위의 문장도 "이 때문에 길한 일에는 왼쪽을 높이고 상사에는 오른쪽을 높인다"는 다음 문장과 중복이다. 또 왕필본에는 이 글 전체에 대한 주가 없으며, 소철본에도 주가 거의 없다. 더욱이 왕필본 서문에서 조설지는 왕필이 이 글 전체가 노자의 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고 하였다. 그래서 이 글(31)에는 이전부터 여러 가지 혐의가 있었다. 이 글 모두가 고주가 본문으로 잘못 들어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었다(왕도). 청대에는 많은 연구자가 이 글을 나름대로 깔끔하게 다듬은 여러 버전을 제시했다. 물론 모든 사람이 공감할 만한 버전은 없었다. 이 글을 다듬고 싶다면 초간문을 참고하면 된다. 초간문에는 글 첫머리의 중복되는 네 구절이 없고, 이 문장의 앞 두 구절 중 어느 하나도 없다. 어느 게 빠질 구절인지는 글자가 지워져 있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다. 아마도 "그러므로 무기는 군자의 기물이 아니다"라는 구절이 빠져야 되지 않나 싶다. 초간문은 이 문장을 옛말로 인용했는데, 통행본에서는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라는 말이 옛말이기 때문에 앞으로 가져와 한번 더 언급하지 않았나 싶다. 어쨌든 초간문처럼 하면 어지러운 문장이 깔끔히 정리된다. 날카로운 무기가 좋기는 하지만 아름답게 여겨서는 안 된다. 만약 그것을 아름답게 여기면 이것은 살인을 즐거워하는 것이다 銛襲爲上, 勿美也. 若美之, 是樂殺人也 '섬습(銛襲)'은 통행본에 대체로 '염담(恬淡)'으로 되어 있다. 통행본을 따르면 앞의 두 구절은 "염담한 것이 가장 좋으니 승리를 거두더라도 그를 아름답게 여기지는 않는다"는 정도로 해석된다. 고요함을 유지하는 것이 '염(恬)'이고, 그를 달게 여기지 않는 것이 '담(淡)'이다(왕진). 다른 글자를 쓰기도 하지만 뜻에서는 차이가 없다. 백서와 초간문은 모두 '섬습'인 것 같다. 백서 정리조는 '염담'으로 봐야 한다고 하였지만 선입견이 아닌가 한다. 위계붕은 이것이 각각 날카로운 긴 창과 짧은 창을 가리킨다고 하였고, 장송여도 무기를 가리킨다고 하였다. 그 이전에 이미 노건은 이 문맥에서 염담은 의미가 맞지 않는다고 하면서 '섬예(銛銳)'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섬예'는 무기가 날카로운 것이다. 곧 날카로운 무기가 좋기는 하지만 그것을 아름답게 여겨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런 뜻을 취한다. 살인을 좋아하는 사람이 결국 실패하리라는 것은 맹자의 사상이기도 하다. 그는 천하가 누구에 의해 통일되겠느냐는 양 혜왕의 질문에 "살인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능히 천하를 통일할 것(「양혜왕상」)"이라고 자신있게 말한다. 이 때문에 길한 일에는 왼쪽을 높이고, 상사에는 오른쪽을 높인다. 그러므로 편장군은 왼쪽에 자리잡고, 상장군은 오른쪽에 자리잡으니 상례에 따라 자리잡는 것이다 是以吉事上左, 喪事上右. 是以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言以喪禮居之也 앞에서 나는 "이 때문에 성인은 오른쪽 계(契)를 가지고서도 남에게 무엇을 요구하지 않는다(79)"는 문장을 해설하면서 전국시대까지는 계를 주고받을 때 오른쪽을 높이는 것이 보통이었고, 오직 초나라만 전국시대에도 왼쪽을 높였다고 하였다(다음 참조). 지금 『노자』는 길한 일에는 왼쪽, 상사에는 오른쪽을 높인다고 한다. 그러면 서로 모순이 아닌가. 길한 일에는 왼쪽, 상사에는 오른쪽이라는 건 일반적 상좌·상우 관념을 알아볼 근거가 못 된다. 단적으로 길사도 국가의 대사이지만 상사도 역시 대사이기 때문이다. 주희가 관·혼·상·제의 가례(家禮) 체계를 확립하기 이전에는 길례·흉례·군례·가례(嘉禮)·빈례(賓禮)의 오례가 국가 의례의 기본이었다. 여기에서 길례(국왕 등의 취임식)와 가례(혼인례), 빈례(빈객 접대)는 길사에 속하고, 흉례(국상례)와 군례는 흉사에 속한다. 반은 길사이고, 반은 흉사다. 길사에서 왼쪽을 높였다고 해서 일반적으로 상좌했다고 할 수 없고, 흉사에서 오른쪽을 높였다고 해서 일반적으로 상우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앞글(79)과 모순되는 게 아니다. 앞글은 계를 주고받을 때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길사에는 왼쪽을, 상사에는 오른쪽을 숭상한다는 관습이나 용병에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는 관습은 다른 전거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앞의 관습은 공자와 연결된다. 『예기』의 기록이 맞다면 공자는 일이 없을 때는 왼쪽을 높이고 상사에는 오른쪽을 높이는 것이 예라고 생각했다. 공자가 문인과 함께 서 있었는데, 두 손을 맞잡고 오른쪽을 높였다. 제자들도 모두 따라서 오른쪽을 높였다. 공자가 말했다. "자네들은 정말로 나한테서 배우기를 좋아하는구나. 나는 누이의 상중에 있기 때문에 오른쪽을 높인 것이다." 그러자 제자들이 모두 왼쪽을 높였다(「단궁상」). 두 번째 관습은 『일주서』의 다음 문장과 관련된다. 천도는 왼쪽을 높이니 해와 달은 서쪽으로 넘어가고, 지도는 오른쪽을 높이니 물길은 동쪽으로 흐른다. ……길례(吉禮)에는 왼쪽으로 도니 하늘을 따라 근본을 세우는 것이고, 무례(武禮)에는 오른쪽으로 도니 땅을 따라 병사를 이롭게 함이다(「무순」). 여기에서는 길례와 무례가 대비된다. 무례가 원래 길사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상사와 동일시할 수도 없다. 그것을 상사와 같이 논한 것은 『노자』의 안목이다. 죽인 사람이 많으면 슬퍼하면서 나아가고, 싸움에서 이기면 상례로 처리한다 殺人衆, 以悲哀莅之, 戰勝, 以喪禮處之 '리(莅)'는 나아간다〔臨〕는 뜻이며, 백서의 원래 글자는 '립(立)'이다. 통행본은 대부분 '읍(泣: 울다)'으로 되어 있으므로 백서의 '립'을 '읍'의 가차자로 볼 수도 있다. 대부분은 본문처럼 해석한다. 나운현은 이미 '읍(泣)'이 '리(莅)'를 잘못 옮겨 적은 것이라고 하였다. "죽인 사람이 많으면"이라는 말은 너무 노골적인 표현이다. 과거에 이 글을 두고 어조가 천박해서 노자의 것이라고 볼 수 없다는 평이 있었는데, 주로 이 구절 때문이었다. 무릇 무기는 천하의 흉기이며 용맹은 천하의 흉덕이다 흉기를 들고 흉덕을 행하는 것은 부득이함에서 나온다 ―『여씨춘추』 「중추기·논위」 각주 1) * 지워지지 않은 부분에서 갑·을본은 서로 일치한다. * 갑본이 잘 보존되어 있다. 갑·을본으로 서로를 보완하여 완전한 문장을 얻을 수 있다. * 1∼4구는 초간문에는 없다. 어느 것인지 확실하지는 않지만 7·8구 중의 한 구절도 초간문에는 없다. * 편(偏)은 편(便: 이하 갑본), 애(哀)는 의(依), 리(莅)는 립(立: 갑·을본)의 본 글자이므로 모두 이렇게 고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