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III: The Basic Factors
H. Discernment: Right View
3부: 기본 요소
H. 식별 : 올바른 견해
The texts define right view as knowledge with regard to the four noble truths. The phrase "with regard to," here (expressed by the locative case in Pali), can also mean "in terms of," and this alternative meaning is especially relevant in this case. It reflects the point that the knowledge constituting right view is not a theoretical knowledge about the truths but is a way of using the truths to categorize all of conditioned experience. Because these truths view experience in terms of function -- how unskillful and skillful mental qualities play a role in the causal chain of creating suffering or bringing it to an end [D.1; MFU, p. 64] -- the right way to view right view itself is not to stop with its definition but to regard it in terms of its function and then put it to its intended use.
교재에서 올바른 견해는 네 가지 고귀한 진리와 관련한 지혜로 정의됩니다. 여기서 "관련한(with regard to)"이란 구는(팔리어로 위치를 나타내는 사례로 표현됨) "~에 의하여(in terms of)"를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선택적 의미는 특히 이 경우에 연관됩니다. 그것은 올바른 견해를 구성하는 지혜는 진리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이 아닌 모든 조건지어진 경험을 분류하기 위해 진리를 이용하는 방식이라는 점을 비추어줍니다. 이들 진리는 기능과 관련하여 경험을 보기 때문에-- 서투르고 능숙한 자질이 어떻게 고통을 만드는 인과사슬에서 작용을 하거나, 그것을 끝내게 하는가[디가 니카야 1, MFU 64쪽]-- 올바른 견해 자체를 보는 올바른 방법은 그것의 정의를 그만두는 것이 아니라, 기능과 관련하여 그것을 생각하고, 그런 후 그것을 의도적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The function of right view is to look at events in the mind in a way that gives rise to a sense of dispassion, leading the mind to a state of non-fashioning and then on to Awakening. It does this by focusing on the way in which passion and desire lead to suffering and stress. In this, it develops the mind's basic reaction to stress -- the search for a way to escape from the stress [§189] -- in a skillful way so that this reaction actually leads to utter release. When the mind sees, without its normal bewilderment, the actual process by which stress is caused, it will naturally let go of the causes. When it sees passion clearly enough to catch that passion in the act of leading to stress, it will naturally develop a sense of dispassion for and detachment from the passion, so that it can view it simply as a mental event, with no meaning in terms of anything else. This opens the way to the state of non-fashioning where the cause of stress is allowed to cease.
올바른 견해의 기능은 마음속의 사건을 평등감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바라보고, 마음을 만들지않음의 상태로 이끌고, 그런 후 깨달음으로 이끄는 것입니다. 그것은 열정과 바램이 고통과 정신적 중압으로 이끄는 방식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행해집니다. 이것에서, 그것은 이러한 반응이 실제로 완전한 해방으로 이끌도록 능숙한 방법으로 정신적 중압에 대한 마음의 기본 반응을 -- 정신적 중압으로부터 탈출구를 탐색[189절]-- 계발합니다. 마음이 평소처럼 얼떨떨하지 않고 정신적 중압이 야기되는 실제 과정을 볼 때, 그것은 자연스럽게 그 원인을 가도록 놓아둡니다. 마음이 정신적 중압으로 이끄는 행위에서 열정을 파악하기에 충분히 명료하게 열정을 볼 때, 그것은 열정으로부터 초연함과 평등감을 계발하여, 마음은 다른 어떤 것과 관련된 의미를 주지 않고 단지 하나의 정신적 사건으로서 그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정신적 중압의 원인이 그치게 되는 만들지않음의 상태로 길을 열어줍니다.
The causal connection between passion and desire on the one hand, and stress on the other, is explained in the standard formula for dependent co-arising under the factor of clinging/sustenance. A passage in the Canon [S.XII.121, MFU, pp. 44-45] analyzes this factor into four forms of passion and desire for the five aggregates: clinging to sensuality, clinging to precepts and practices, clinging to views, and clinging to theories about the self. The third form of clinging listed here points to one of the paradoxes about right view: it is a form of view that has to loosen attachment to all views, ultimately including itself. Passage §187 shows how this happens. When faced with a variety of views about the world and the self, right view looks at the views, not in terms of their content, but simply as events in the mind, in and of themselves. It sees them as part of a causal chain: fabricated, inconstant, stressful, and thus not-self, not worthy of attachment. In this way it makes the mind dispassionate to all other views: dispassionate toward the terms they use, dispassionate toward their claims to truth. Right view then turns on itself to see itself as part of a similar causal chain. This loosens any sense of attachment even for right view so that the mind can see the view simply as an event: "there is this." This entry into the perceptual mode of emptiness leads straight to the "higher escape" -- the state of non-fashioning -- that then becomes present to awareness.
한편으로 열정과 바램간, 다른 한편으로 정신적 중압간의 인과 연계는 집착/지속의 요소 아래서 의존적 상호발생의 표준공식으로 설명됩니다. 경전의 한 절[상윳타 니카야.121, MFU, 44-45쪽]이 요소를 네 가지 형태의 열정으로, 바램을 다섯 가지 집합체로 분석했습니다: 즉, 관능에의 집착, 계율과 수행에의 집착, 견해에의 집착, 자아의 이론에 대한 집착, 여기서 나열된 세 번째 형태의 집착은 올바른 견해에 대한 역설을 가리킵니다: 즉, 그것은 모든 견해에의 집착을 놓아버리고, 궁극적으로 그 자체도 놓아버리는 형태의 견해입니다. 187절은 이것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보여줍니다. 세상과 자아에 대한 다양한 견해에 직면했을 때, 올바른 견해는 견해를 그 내용에 관해서가 아닌, 단지 마음 속의 그 자체 저절로의 사건으로서 봅니다. 그것은 그것을 인과사슬의 부분으로 봅니다: 즉, 만들어지고, 변덕스럽고, 고통스럽고, 따라서 자기가 아니며, 집착할 가치가 없는 것이지요. 이와 같이, 그것은 다른 모든 견해에 대해서 마음을 공평하게 만듭니다: 즉, 그들이 이용하는 수단에 대해 공평하며, 그들의 진리에 대한 요구에 대해 공평합니다. 올바른 견해는 그 때 스스로를 유사한 인과사슬로 보도록 변합니다. 이것은 마음이 견해를 단지 사건으로만 보도록 올바른 견해에 조차 집착하는 관념을 놓아버립니다: 즉, "이것이 있다." 이지요. 이러한 비어있음의 지각형태로 들어가는 것은 알아차리는 현재가 되는 "더 높은 탈출"-- 만들지않음의 상태"로 직접 이끕니다.
Because right view is the only form of view that contains the seeds of its own transcendence in this way, it is the only form of knowing that is skillful enough to lead to Awakening. The Canon gives no room for any alternative "skillful means" that would contradict right view. After the experience of Awakening, the texts tell us [S.XXII.122], one continues to make use of right view, without any sense of clinging, as a pleasant abiding for the mind and for mindfulness and alertness, much as one would use jhana for the same purpose [III/E]. This process of transcending right view even as one makes use of it shows that non-attachment to views does not mean agnosticism or an openness to all views. Instead, non-attachment is a skillful way of making use of one's discerning faculties, seeing through to the causal function of all views, so that one may attain Awakening and then maintain a pleasant and mindfully alert abiding after one has become awakened.
올바른 견해는 이런 식으로 그 자신의 초월의 씨앗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형태의 견해이기 때문에 그것은 깨달음으로 이끌기에 충분히 능숙한 유일한 형태의 앎입니다. 경전은 올바른 견해를 부인하는 다른 어떠한 "능숙한 수단"의 여지를 주지 않습니다. 교재에서 말하기를[상윳타 니카야.XXII.122], 깨달음의 체험 후 그가 똑 같은 목적으로 자나를 이용하듯이, 그는 마음이 즐겁게, 주의깊게, 기민하게 머물면서, 집착하는 관념이 없이 올바른 견해를 계속 활용합니다[III/E]. 그가 그것을 이용하면서조차도 올바른 견해를 초월하는 이러한 과정은 견해에 집착하지 않음은 불가지론이나 모든 견해를 개방하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대신에 집착하지 않음은 모든 견해의 인과기능을 지켜보면서 그의 식별 자질을 능숙하게 이용하는 방법이므로, 그는 깨달음에 도달하고, 깨달은 후에 즐겁고 주의깊게, 기민한 머무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The steps in the functioning of right view correspond to the three stages of frames-of-reference meditation [II/B]. The first step, in which one focuses on events in and of themselves -- and not in reference to anything they might mean outside of the range of immediate experience -- corresponds to the first stage of frames-of-reference meditation, in which one stays focused on the body, etc., in and of itself, putting aside all greed and distress with reference to the world. The second step of right view, in which one focuses on events in terms of their role in the causal chain -- fabricated, inconstant, stressful, and not-self -- corresponds to the second stage of frames-of-reference meditation, in which one remains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origination and passing away. The third step of right view, in which one sees even right view simply as an event, corresponds to the third stage of frames-of-reference meditation in which one moves to the perceptual mode of "entry into emptiness," noting simply, "There is this" -- without being caught up in the "this" -- and from there on to non-fashioning and Awakening. Because the practice of jhana is also implicated in these three steps -- steadying the mind in the first step, sensitizing it to causality in the second, and providing the basis for the fifth factor of noble concentration in the third -- mindfulness, concentration, and discernment are thus inextricably intertwined as they develop along the path to Awakening.
올바른 견해의 기능에서 단계들은 준거기준 명상의 세 가지 단계에 상응합니다[II/B]. 그 자체 저절로의 사건에 초점을 맞추는 첫 번째 단계는 -- 즉시의 경험의 범위 밖을 의미하는 다른 것과 관련해서가 아닌 -- 세상과 관련한 모든 탐욕과 고뇌를 옆으로 치워두고, 그 자체 저절로의 몸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준거기준 명상의 첫 번째 단계에 상응합니다. 인과의 사슬에 있어서 그것의 역할과 관련하여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올바른 견해의 두 번째 단계는 -- 만들어지고, 변덕스럽고, 고통스럽고, 자기가 아닌 -- 일어나고 사라지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준거기준 명상의 두 번째 단계와 상응합니다. 올바른 견해조차도 단지 사건으로 보는 올바른 견해의 세 번째 단계는 단지 "이것이 있다"를 -- "이것"에 붙잡히지 않고-- 주목하는 "비어있음으로 들어감"의 지각형태로 옮겨, 거기서 만들지않음과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준거기준 명상의 세 번째 단계에 상응합니다. 자나 수행 또한 이 세 단계에 포함되기 때문에 -- 첫 단계에서 마음을 확고히 하고, 둘째 단계에서 그것을 인과율에 민감하게 하며, 세 번째 단계에서 다섯 번째 요소의 고귀한 집중의 기초를 제공하면서 -- 주의깊음, 집중, 식별은 이렇게 깨달음을 향한 길에 따라 개발되며 서로가 뒤엉킵니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right view functions in two time frames: small and large. Its primary frame is in the small frame, dealing exclusively with the immediate present. As it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origination and passing away, it reduces its terms of analysis to more and more basic levels until reaching the point where it sees even such simple categories as "being" and "non-being" as extraneous, inappropriate, and irrelevant to the simple flow of events arising and passing away in the present [§186]. As a result, it strips everything down to the most basic categories of experience --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tress -- without adding anything further. This phenomenological mode of perception, or "entry into emptiness," sees things simply in terms of what is present and what is not [M.121; MFU, pp. 82-85]. Here, realizations are expressed merely as pointers to present phenomena without any content that would point to anything outside of direct experience: "There is this," [M.102; MFU, pp. 81-82] "Such is form, such is feeling," [§149] etc. The Pali name for this/that conditionality, idappaccayata, points to the fact that not only the phenomena but also their relationships are a matter of immediate, "right here-and-now" insight.
올바른 견해가 작은 것과 큰 것 두 개의 시간 틀 속에서 기능하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의 기본적인 틀은 오직 즉시의 현재만 다루는 작은 틀에 있습니다. 그것이 현상의 일어나고 사라짐에 초점을 맞춤에 따라, 그것은 "있음"과 "없음" 같은 그러한 단순한 유형조차도 현재에 일어나고 사라지는 사건의 단순한 흐름에 이질적이고, 부적절하고,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는 정도에 도달할 때까지 그것의 분석 수단을 더욱 더 기본적 수준으로 환원시킵니다. 결과로써, 그것은 모든 것을 더 이상 어떤 것을 더하지 않고, 가장 기본적인 경험의 유형으로 -- 정신적 중압의 있음과 없음 -- 분해시킵니다. 이러한 현상학적 형태의 지각 또는 "비어있음으로 들어감"은 사건을 단순히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서 봅니다[마즈히마 니카야.121, MFU 82-85쪽]. 여기서 깨달음은 직접적 경험의 바깥에 있는 어떤 것을 가리키는 어떠한 내용없이 단지 현재의 현상에 대한 가리킴으로 표현됩니다: 즉, "이것이 있다"[마즈히마 니카야. 102; MFU 81-82쪽], "그러한 것이 모습이고, 그러한 것이 느낌이다"[149절] 등입니다. 이것/저것 조건부의 팔리용어인, 이디파카야타는 현상뿐만 아니라 그들의 연관관계가 "바로 여기에서 지금"통찰인 즉시의 문제를 가리킵니다.
Once these insights are gained on the level of radically immediate experience, one realizes that they have implications for the larger time frame of the whole process of transmigration, and one's entire experience of the cosmos as well [§211-15]. The process of stress arising and passing away in the present is precisely the same process as that of living beings arising and passing away on the cosmic scale. One sees that one has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from an inconceivable beginning in time; one knows -- now that the process has been disbanded -- that one has found the end of the cycle of rebirth. This is because, in entering radically into the present moment by stripping away all clinging, one ultimately steps out of the dimensions of time and the present; having done so, one can see the totality of what it means to be in those dimensions.
근본적으로 즉시의 경험 차원에서 일단 이러한 통찰이 얻어지면, 그는 그것들이 윤회의 전체 과정인 큰 시간 틀과 그의 전체 우주 경험과 연관을 가진다는 것을 깨닫습니다[211-215절]. 현재에서 정신적 중압의 일어남과 사라짐의 과정은 우주차원에서 존재의 일어남과 사라짐의 과정과 정확하게 같습니다. 그는 그가 시간을 헤아릴 수 없는 시작부터 이러한 과정에 참여시켜 왔다는 것을 봅니다; 그리고 그는 -- 이제 그 과정이 해산되어 버렸습니다 -- 재생의 순환의 끝을 발견했다는 것을 압니다. 이것은, 모든 집착을 벗어버림에 의해 현 순간으로 완전히 들어감에 있어, 그가 결국 시간과 현재의 차원에서 나와버리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여. 그는 그러한 차원에서 그것이 의미하는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This point is illustrated in two passages [§§74, 64] that express the content of right view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the Deathless:
이점은 불멸의 경험 직전과 직후의 올바른 견해의 내용을 표현한 두 개의 절[64,74절]에 예시되어 있습니다.
'From an inconceivable beginning comes transmigration. A beginning point is not evident, though beings hindered by ignorance and fettered by craving are transmigrating & wandering on. The total fading & cessation of ignorance, of this mass of darkness, is this peaceful, exquisite state: the resolution of all fabrications; the relinquishment of all acquisitions; the ending of craving; dispassion; cessation; Unbinding.'
'This is stress... This is the origination of stress... This is the cessation of stress... This is the way leading to the cessation of stress... These are effluents... This is the origination of effluents... This is the cessation of effluents... This is the way leading to the cessation of effluents.' His heart, thus knowing, thus seeing, is released from the effluent of sensuality, released from the effluent of becoming, released from the effluent of ignorance. With release, there is the knowledge, 'Released.' He discerns that 'Birth is ended, the holy life fulfilled, the task done. There is nothing further for this world.'
'헤아릴 수 없는 시작부터 윤회하여 왔다. 비록 무지에 가려지고 갈망에 구속된 존재들이 윤회하고 배회해도, 시작점은 명확하지 않다. 무지와 이 어둠의 덩어리가 완전히 사라지고 그치면 이렇게 평화롭고, 훌륭하다: 즉 모든 만듦의 분해; 모든 획득을 놓아버림; 갈망의 끝; 공평; 그침; 해방이다'
'이것은 정신적 중압이다... 이것은 정신적 중압의 일어남이다... 이것은 정신적 중압의 그침이다... 이것은 정신적 중압의 그침으로 이끄는 길이다... 이것들은 유출물이다... 이것은 유출물의 일어남이다... 이것은 유출물의 그침이다... 이것은 유출물의 그침으로 이끄는 길이다.' 그는 가슴으로 이와 같이 알면서, 이와 같이 보면서, 무지의 유출물로부터 해방된다. 해방과 함께, '해방되었다'라고 안다. 그는 '태어남은 끝났고, 성스러운 삶은 충족되었고, 과업은 이루어졌다. 이 세상에서 더 할 일은 없다'고 식별한다.'
The first passage depicts the act of discernment that verifies the principles of conviction. The second passage depicts the act of discernment that confirms the fact that the five faculties, when fully developed, do lead to the Deathless [§89]. Notice that both passages follow a similar pattern, even though they deal with vastly different time scales. Transmigration and darkness, in the first passage, correspond to stress in the second. Ignorance and craving are the origination of stress, and the sentence, "The total fading & cessation of ignorance... Unbinding," describes the cessation of stress. The act of discernment that sees all these things is the way leading to the cessation of stress. This repetition of the same pattern on two different frames of space and time in non-linear systems is called scale invariance: the same process on two different scales [I/B]. It i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the Buddha's teachings, for it shows how an insight into a present moment in the mind can have repercussions on one's entire involvement in the cosmos. The principle behind the scale invariance of right view is this/that conditionality: the fact that one's continued participation in the cosmos is kept going by one's present contribution to the causal stream initiated over the long course of the past. By reaching the state of non-fashioning, one stops contributing to the present, and thus can bring the totality of one's participation to an end, leaving the utter freedom of Unbinding. In this sense, the principle of this/that conditionality explains the possibility of attaining the Deathless, while the actuality of the Deathless -- once it is attained through skillful mastery of kamma -- is what proves the principle of this/that conditionality as an adequate description of the causal process that fabricates conditioned experience and provides an opening to the Unfabricated.
첫 번째 절은 믿음의 원리를 확인하는 식별의 작용을 묘사합니다. 두 번째 절은 다섯 가지 자질이, 완전히 계발된다면, 불멸로 이끄는 사실을 확인하는 식별의 작용을 묘사합니다[89절]. 비록 그것들이 광범위한 다른 시간 척도를 다룬다 할지라도, 두 절 모두 유사한 유형을 따르는 것에 주목합시다. 첫째 절에서 윤회와 어둠은 두 번째 절의 정신적 중압에 상응합니다. 무지와 갈망은 정신적 중압의 원인이며, '...무지가 완전히 사라지고 그치면... 해방'이라는 문장은 정신적 중압의 그침을 묘사합니다. 이 모두를 보는 식별의 작용은 정신적 중압의 그침으로 이끄는 길입니다. 두 가지 다른 공간과 시간의 틀에서 같은 유형의 반복은 축척 불변성이라고 불립니다: 즉, 두 가지 다른 축척에서의 같은 과정입니다[I/B]. 그것은 붇다의 가르침의 가장 특징적인 모습중 하나인데, 그것이 현재 순간에 대한 통찰이 어떻게 그가 전체 우주에서 관련된 것에 대한 반향을 가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견해의 축척불변성 뒤에 있는 원리는 이것/저것 조건부입니다: 즉, 우주에의 지속적인 참여는 그가 과거의 긴 여정을 통해 시작된 인과흐름에 현재 기여함으로써 계속됩니다.
만들지않음의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그는 현재에 기여하는 것을 멈추고, 이렇게 하여 그의 참여를 완전히 끝낼 있으며, 완전한 해방의 자유로 떠나갑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것/저것 조건부의 원리는 불멸에의 도달 가능성을 설명해주며, 반면 불멸의 실재는 -- 능숙한 업의 숙련을 통해 일단 얻었다면 --조건지어진 경험을 만드는 인과과정을 적절히 묘사해주는 이것/저것 조건부의 원리를 증명해주는 것이며, 만들지않음에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입니다.
Passages from the Pali Canon
팔리 경전의 절
§ 184. I do not envision any one other quality by which unarisen unskillful qualities arise, and arisen unskillful qualities go to growth & proliferation, like wrong view. When a person has wrong view, unarisen unskillful qualities arise, and arisen unskillful qualities go to growth & proliferation.
I do not envision any one other quality by which unarisen skillful qualities arise, and arisen skillful qualities go to growth & proliferation, like right view. When a person has right view, unarisen skillful qualities arise, and arisen skillful qualities go to growth & proliferation.
Just as when a nimb-tree seed, a bitter creeper seed, or a bitter melon seed is placed in moist soil, whatever nutriment it takes from the soil & the water, all conduces to its bitterness, acridity, & distastefulness. Why is that? Because of the evil nature of the seed.
In the same way, when a person has wrong view, whatever bodily deeds he undertakes in line with that view, whatever verbal deeds... whatever mental deeds he undertakes in line with that view, whatever intentions, whatever determinations, whatever vows, whatever fabrications, all lead to what is disagreeable, unpleasing, unappealing, unprofitable, & stressful. Why is that? Because of the evil nature of the view...
Just as when a sugar cane seed, a rice grain, or a grape seed is placed in moist soil, whatever nutriment it takes from the soil & the water, all conduces to its sweetness, tastiness, & unalloyed delectability. Why is that? Because of the auspicious nature of the seed.
In the same way, when a person has right view, whatever bodily deeds he undertakes in line with that view, whatever verbal deeds... whatever mental deeds he undertakes in line with that view, whatever intentions, whatever vows, whatever determinations, whatever fabrications, all lead to what is agreeable, pleasing, charming, profitable, & easeful. Why is that? Because of the auspicious nature of the view.
-- A.I.181-82, 189-90
184절. 나는 잘못된 견해 같은, 일어나지 않은 서투른 자질이 일어나게 하고 일어난 서투른 자질이 자라고 번성하게 하는 어떠한 다른 자질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이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있을 때, 일어나지 않은 서투른 자질이 일어나고, 일어난 서투른 자질이 자라고 번성하게 됩니다.
나는 올바른 견해 같은, 일어나지 않은 능숙한 자질이 일어나게 하고, 일어난 능숙한 자질이 자라고 번성하게 하는 어떠한 다른 자질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이 올바른 견해를 가지고 있을 때, 일어나지 않은 능숙한 자질이 일어나고, 일어난 능숙한 자질이 자라고 번성하게 됩니다.
마치 님브나무 씨앗, 쓴 넝쿨나무 씨앗, 또는 쓴 메론 씨앗이 습한 땅에 떨어지면, 땅과 물에서 어떠한 양분을 취한다해도, 모두 쓰고, 맵고, 맛없이 되듯이. 왜 그럴까요? 씨앗의 나쁜 성질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어떤 사람이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있다면, 그러한 견해에 따라 어떠한 몸의 행위라도, 어떠한 말의 행위... 어떠한 생각의 행위... 어떠한 의도, 어떠한 결정, 어떠한 맹세, 어떠한 만듦이라도, 모두가 불쾌하고, 괴롭고, 매력없고, 고통스러운 것으로 이끕니다. 왜 그럴까요? 견해의 나쁜 성질 때문입니다.
마치 사탕나무 씨앗, 쌀알, 포도 씨앗이 습한 땅에 떨어지면, 땅과 물에서 어떠한 양분을 취한다해도, 모두 달고, 맛있고, 진정한 즐거운 것이 되듯이. 왜 그럴까요? 씨앗의 길한 성질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어떤 사람이 올바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면, 그러한 견해에 따라 어떠한 몸의 행위라도, 어떠한 말의 행위... 어떠한 생각의 행위... 어떠한 의도, 어떠한 결정, 어떠한 맹세, 어떠한 만듦이라도, 모두가 유쾌하고, 즐겁고, 매력있고, 편안한 것으로 이끕니다. 왜 그럴까요? 견해의 길한 성질 때문입니다.
-- 앙구타라 니카야.I.181-82, 189-90
§ 185. Right view, when assisted by these five factors, has release of awareness as its fruit & reward, has release of discernment as its fruit & reward. Which five?
There is the case where right view is assisted by virtue, assisted by learning, assisted by discussion, assisted by tranquillity, & assisted by insight (vipassana).
When assisted by these five factors, right view has release of awareness & release of discernment as its fruit & reward.
-- A.V.25
185절. 올바른 견해는, 이들 다섯 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될 때, 과실과 보답으로서 지각의 해방을 가지며, 과실과 보답으로서 식별의 해방을 가집니다. 어떤 다섯 가지 일까요?
올바른 견해가 덕성에 의해지지 받고, 배움에 의해 지지되고, 토론에 의해 지지되고. 평온에 의해 지지되고, 통찰(위빠사나)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들 다섯 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될 때, 올바른 견해는 과실과 보답으로서 지각의 해방과 식별의 해방을 가집니다.
-- 앙구타라 니카야 .V.25
§ 186. Kaccayana: 'Lord, "Right view, right view," it is said. To what extent is there right view?'
The Buddha: 'By & large, Kaccayana, this world is supported by (takes as its object) a polarity, that of existence & non-existence. But when one sees the origination of the world as it actually is with right discernment, "non-existence" with reference to the world does not occur to one. When one sees the cessation of the world as it actually is with right discernment, "existence" with reference to the world does not occur to one.
'By & large, Kaccayana, this world is in bondage to attachments, clingings (sustenances), & biases. But one such as this does not get involved with or cling to these attachments, clingings, fixations of awareness, biases, or obsessions; nor is he resolved on "my self." He has no uncertainty or doubt that, when there is arising, only stress is arising; and that when there is passing away, only stress is passing away. In this, one's knowledge is independent of others. It is to this extent, Kaccayana, that there is right view.'
-- S.XII.15
186절. 카카야나: '존자시여, "올바른 식견, 올바른 식견"이라고 말합니다. 올바른 견해는 어느 정도까지 입니까?
붇다: 카카야나여, 대체로 이 세상은 있음과 없음인 양극(그것의 목적을 취하여)에 의해 지지됩니다. 그러나 올바른 식별로 있는 그대로 세상의 일어남을 본다면, 세상과 관련한 "없음"은 그에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올바른 식별로 있는 그대로 세상의 그침을 본다면 세상과 관련한 "있음"은 그에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카카야나여, 대체로, 이 세상은 집착, 갈망(지속)과 편견에 매여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람은 이러한 집착, 갈망, 알아차림의 고착, 편견, 강박관념에 집착하기 않거나 연루되지 않고; "나자신"으로 결정하지도 않습니다. 그는 일어날 때, 단지 정신적 중압이 일어난다; 사라질 때, 단지 정신적 중압이 사라진다는 것에 불확실성이나 의심이 없습니다. 이렇게, 그의 앎은 다른 것과 독립되어 있습니다. 카카야나여, 올바른 식견이 있는 것은 이 정도까지입니다.
§ 187. Then Anathapindika the householder went to where the wanderers of other persuasions were staying. On arrival he greeted them courteously. After an exchange of friendly greetings & courtesies, he sat down to one side. As he was sitting there, the wanderers said to him, 'Tell us, householder, what views the contemplative Gotama has.'
'Venerable sirs, I don't know entirely what views the Blessed One has.' [§188]
'Well, well. So you don't know entirely what views the contemplative Gotama has. Then tell us what views the monks have.'
'I don't even know entirely what views the monks have.'
'So you don't know entirely what views the contemplative Gotama has or even that the monks have. Then tell us what views you have.'
'It wouldn't be difficult for me to expound to you what views I have. But please let the venerable ones expound each in line with his position, and then it won't be difficult for me to expound to you what views I have.'
When this had been said, one of the wanderers said to Anathapindika the householder, 'The cosmos is eternal. Only this is true; anything otherwise is worthless. This is the sort of view I have.'
Another wanderer said to Anathapindika, 'The cosmos is not eternal. Only this is true; anything otherwise is worthless. This is the sort of view I have.'
Another wanderer said, 'The cosmos is finite...'... 'The cosmos is infinite...'... 'The soul & the body are the same...'... 'The soul is one thing and the body another...'... 'After death a Tathagata exists...'... 'After death a Tathagata does not exist...'... 'After death a Tathagata both does & does not exist...'... 'After death a Tathagata neither does nor does not exist. Only this is true; anything otherwise is worthless. This is the sort of view I have.'
When this had been said, Anathapindika the householder said to the wanderers, 'As for the venerable one who says, "The cosmos is eternal. Only this is true; anything otherwise is worthless. This is the sort of view I have," his view arises from his own inappropriate attention or in dependence on the words of another. Now this view has been brought into being, is fabricated, willed, dependently co-arisen. Whatever has been brought into being, is fabricated, willed, dependently co-arisen, that is inconstant. Whatever is inconstant is stress. This venerable one thus adheres to that very stress, submits himself to that very stress.' (Similarly for the other positions.)
When this had been said, the wanderers said to Anathapindika the householder, 'We have each & every one expounded to you in line with our own positions. Now tell us what views you have.'
'Whatever has been brought into being, is fabricated, willed, dependently co-arisen, that is inconstant. Whatever is inconstant is stress. Whatever is stress is not mine, is not what I am, is not my self. This is the sort of view I have.'
'So, householder, whatever has been brought into being, is fabricated, willed, dependently co-arisen, that is inconstant. Whatever is inconstant is stress. You thus adhere to that very stress, submit yourself to that very stress.'
'Venerable sirs, whatever has been brought into being, is fabricated, willed, dependently co-arisen, that is inconstant. Whatever is inconstant is stress. Whatever is stress is not mine, is not what I am, is not my self. Having seen this well with right discernment as it actually is present, I also discern the higher escape from it as it actually is present.'
When this had been said, the wanderers fell silent, abashed, sitting with their shoulders drooping, their heads down, brooding, at a loss for words. Anathapindika the householder, perceiving that the wanderers were silent, abashed... at a loss for words, got up & left.
-- A.X.93
187절. 가장인 아나타핀디카가 다른 교파의 수도자가 있는 곳에 갔습니다. 도착해서 그들에게 정중하게 인사했습니다. 다정한 인사와 예의를 나눈후, 그는 한쪽에 앉았습니다. 그가 앉자 수도자들이 그에게 말했습니다, '가장이시여, 명상자 고타마는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말해주십시오.'
'존경하는 분들이여, 나는 축복받은 이가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전혀 모릅니다.'[188절]
'좋습니다, 좋습니다. 명상자 고타마가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전혀 모른다면, 승려들은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말해주십시오.'
'나는 승려들조차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전혀 모릅니다.'
명상자 고타마가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또는 승려들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조차 전혀 모른다면, 당신이 가지고 있는 견해를 말해주십시오.'
'제가 가지고 있는 견해를 당신께 설명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존경하는 분들이 자리에 따라 차례로 설명해 주신다면, 제가 가지고 있는 견해를 설명하겠습니다.'
이렇게 말하자, 한명의 수도자가 가장인 아나타핀디카에게 말했습니다, '우주는 끝이 없습니다. 오직 이것만이 진리입니다; 어떤 다른 것도 가치가 없습니다. 이것이 내가 가진 견해입니다.'
다른 수도자가 아나타핀디카에게 말했습니다. '우주는 끝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직 이것만이 진리입니다; 어떤 다른 것도 가치가 없습니다. 이것이 내가 가진 견해입니다.'
다른 수도자가 아나타핀디카에게 말했습니다. '우주는 유한합니다...'...'우주는 무한합니다...'...영혼과 몸은 같습니다...'...영혼과 몸은 별개입니다...'...'죽은 뒤에 여래는 존재합니다...'...'죽은 뒤에 여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죽은 뒤에 여래는 존재하기도 하고 존재하지 않기도 합니다...'... 죽은 뒤에 여래는 존재하지도 존재하지 않지도 않습니다. 오직 이것만이 진리입니다; 다른 것은 가치가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 내가 가진 견해입니다.'
이와 같이 말하자, 가장인 아나타핀다카는 수도자에게 말했습니다, '우주는 끝이 없습니다. 오직 이것만이 진리입니다; 어떤 다른 것도 가치가 없습니다. 이것이 내가 가진 견해의 종류입니다.'라고 말한 존경하는 분에 대해 말하자면, 그의 견해는 그 자신의 부적절한 주의에 의해 생겼거나 다른 사람의 말에 의존하여 생긴 것입니다. 이 견해는 생겨났고, 만들어지고, 의지되고, 의존적으로 일어나, 그것은 영구적이지 않습니다. 영구적이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지 정신적 중압입니다. 이 존경하는 분은 이렇게 바로 그 정신적 중압에 묶여 있고, 바로 그 정신적 중압에 지배되어 있습니다.' (다른 자리에 있는 사람도 유사함)
이렇게 말하자, 수도자는 가장인 아나카핀다카에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각자 모두가 우리의 자리에 따라 차례로 그대에게 설명했습니다. 이제 당신의 견해를 말해주십시오.'
'생겨난 것은 무엇이든지 만들어지고, 의지되고, 의존적으로 상호발생하고, 영구적이지 않습니다. 영구적이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지 정신적 중압입니다. 정신적 중압은 무엇이든지 자기 것이 아니며, 내가 아니며, 나의 자아가 아닙니다. 이것이 내가 가진 견해입니다.
'그렇다면 가장이여, 생겨난 것은 무엇이든지 만들어졌고, 의지되고, 의존적으로 상호발생하고, 영구적이지 않습니다. 영구적이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지 정신적 중압입니다. 그대는 이렇게 바로 그 정신적 중압에 묶여있으며, 바로 그 정신적 중압에 지배되어 있습니다.'
'존경하는 분들이여, 생겨난 것은 무엇이든지 만들어졌고, 의지되고, 의존적으로 상호발생하고, 영구적이지 않습니다. 영구적이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지 정신적 중압입니다. 정신적 중압은 무엇이든지 자기 것이 아니며, 내가 아니며, 나의 자아가 아닙니다. 올바른 식별로써 그것을 있는 그대로 잘 본다면, 나는 있는 그대로로부터 보다 높은 탈출 또한 식별합니다.'
이렇게 말하자, 수도자들은 모두 침묵했고, 부끄러워했고, 어깨를 내려뜨리고, 머리를 숙이고, 수심에 잠겨, 할 말을 잃었습니다. 가장인 아나타핀디카는, 수도자들이 침묵하고, 부끄러워하고... 할 말을 잃은 것을 알고, 자리에서 일어나 가버렸습니다.
-- 앙구타라 니카야. X.93
Revised: Mon 10 September 2001
2001. 9. 10 월요일 개정
앨범 찜목록
같은 옷 구입하기
=====================================
『세상을 변화시키는 인터넷①』
(≫≪) 미군 희생 여중생들의 죽음을 애도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