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환경연구원에서
가죽나무 줄기를 오르내리고 있는 낯선 녀석들을 보았어요.
이름이 뭔지 궁금해 하던 중
우연히 인터넷에서 왜래해충인 꽃매미 방제가 시급하다는 뉴스를 접하곤
이녀석들이 바로 주홍날개꽃매미의 약충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자료글을 읽어보니 이 꽃매미는 포도나무, 버드나무, 가죽나무 등의 수액을 빨아먹고 나무를 고사시키며
분비물 배설로 과일나무에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품질을 현저히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왜래종이라 그런지 왠만한 방역작업에는 끄떡도 하지 않는다니 많은 과수농가의 피해가 염려됩니다.
* 아래는 자료 사진입니다. 성충의 모습이지요.
이름이 왜 주홍날개꽃매미인지 이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날개를 접고 앉아 있을 때는 보이지 않지만
날개를 펼치고 날면 선명한 주홍색 속날개가 나옵니다.


주홍날개꽃매미 참고 자료글 [박병상]
........
가중나무에 천적이 달라붙기 시작했다. 수액을 빨아먹는 녀석들. 흔히 ‘중국매미’라 하는,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일대에 주로 분포하는 주홍날개꽃매미가 그들이다. 삼사년 전, 남쪽 지방에 한두 마리 보여 희한하게 만들더니 작년에 중부지방에도 드물지 않게 퍼졌고 올해는 도시나 시골 가리지 않고 전국 어디에나 눈에 띌 정도로 흔해진 주홍날개꽃매미는 가중나무가 많아 그런지 이제 귀화동물로 분류해야 할 정도다. 가중나무 뿐이 아니다. 가중나무보다 당분이 훨씬 많을 뿐 아니라 밀집돼 심겨 있는 복숭아, 사과, 자두와 포도를 비롯해 감귤과 탱자나무도 얼씨구나 줄기와 가지를 뒤덮을 듯 앉더니 버드나무조차 가리지 않는다.
3센티미터 남짓 도톰한 몸을 가진 주홍날개꽃매미는 등딱지의 투명한 날개로 넓적한 몸을 위에서 덮는 우리의 매미와 아주 다르다. 온몸을 연갈색 날개로 감싸 언뜻 나방처럼 보이지만 더듬이가 돌출되지 않은 꽃매미다. 밝은 나무껍질과 엇비슷하게 보이는 두 장의 연갈색 겉날개는 수십 개의 검은 점무늬가 산재하는 윗부분과 미꾸라지 뒷지느러미처럼 촘촘한 세로 잔 점들이 옆으로 펼쳐지는 아랫부분이 뚜렷이 구별되는데, 사람 눈에 두드러지는 건 주홍색 속날개다. 나무껍질에 침을 꽂고 꼼짝도 않고 앉아있다 사람이 다가오면 마지못해 팔랑팔랑 낮게 달아나는 주홍날개꽃매미는 분홍 속날개를 섬뜩하게 드러낸다. 경계색이라 그런가, 흔해빠진 주홍날개꽃매미를 축내는 천적이 도통 보이지 않는다.
날씨가 선선해지는 9월경 짝짓기를 해 포도나 가중나무 껍질에 500개 가까운 알을 2에서 3센티미터 정도 뭉쳐 낳는데, 이듬해 5월 부화하는 유생은 나무껍질을 휘감듯 뒤덮고 수액을 빨아먹으며 성장한다. 그러다 나무를 말라죽이며 일찍이 없었던 민원을 발생시키는 까닭에 충청북도 보은군은 희망근로 프로젝트 참가자와 산불진화대원 170명을 동원, 포도 줄기의 알을 대대적으로 수거해 불사르는 방제작업에 돌입했다고 한다. 그나마 다행인데, 알을 제거하는 만큼 효과가 있을 테지만 일부 지역에서 손으로 일일이 방제하는 일은 살충제 살포 이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1970년대 말 목격된 이래 2006년 경 가죽나무 주변에서 조금씩 보이던 주홍날개꽃매미가 이처럼 늘어난 건, 많은 이들이 지적하듯 지구온난화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따뜻한 지역에 자생하다 태풍이나 선박을 타고 드문드문 들어와도 제대로 번식하기 어려웠을 테지만 따뜻해졌을 뿐 아니라 가중나무까지 도처에 흔하니 늘어날 조건은 완비되지 않았던가. 게다가 천적까지 없으니 낳은 알이 대부분 성체로 성장하는 건, 식은 죽 먹기! 개체가 늘자 가중나무가 모자라졌고 조심스레 과일나무를 건드려보니 그 또한 별식이라, 주홍날개꽃매미는 마음껏 퍼질 수 있었을지 모른다. 살충제를 뿌려도 소용없자 팔 걷어붙이고 손으로 주홍날개꽃매미를 떼어내던 농부는 그만 피부병에 걸리고 말았고.
주홍날개꽃매미의 자생지에는 천적이 없을까. 그럴 리 없다. 우리나라에 그 천적을 당장 들여오자는 뜻이 아니다. 그 지역 주홍날개꽃매미의 천적과 유사한 동물이 우리나라에도 틀림없이 있을 테니 그 동물이 주홍날개꽃매미가 들끓는 과수원과 도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길을 내주자는 제안이다. 살충제를 뿌리면 주홍날개꽃매미만 줄어드는 게 아니다. 다른 곤충도 자리를 뜰 테니 주홍날개꽃매미를 먹을 만한 새와 도마뱀 종류가 접근할 리 없다. 도시에도 농약을 치지 않는 가로수와 자투리녹지가 녹지축으로 이어진다면 주홍날개꽃매미를 신이 나서 먹어치울 천적이 나타나리라 생각한다.
요사이 황소개구리가 조용하다. 사라진 건 아니다. 커다란 덩치에 섬뜩해 건드리지 않았던 동물들이 덩치가 큰 황소개구리와 그 올챙이를 푸짐하게 먹으며 개체수를 조절해주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수달과 너구리는 황소개구리를 얼마나 반기는지 모른다. 물가를 성큼성큼 걷는 백로와 왜가리는 숟가락만큼 커다란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잡아 새끼들을 든든하게 먹인다. 한때 흐름이 막힌 강을 석권했던 배스나 블루길이 더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이유도 비슷할 것이니만큼, 주홍날개꽃매미도 머지않아 새롭게 나타난 천적이 적절하게 조절하게 될 것이다. 우리의 사마귀와 커다란 잠자리가 주홍날개꽃매미를 잡아먹기 시작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한데 어떤가. 지구 평균보다 온난화 속도가 빠른 우리 땅에 느닷없이 나타나 늘어나는 귀화동식물의 명단은 이미 길고 계속 길어질 텐데, 섬뜩한 동물이 주홍날개꽃매미에서 그칠까. 생태계 보전 못지않게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노력에 더욱 매진해야 하지 않을까.
첫댓글 2년전 서울 양재동에 숲해설가들 행사장에서 꽃매미를 처음 봤지요. 때거리로 죽은모습을 .....그때는 이름도 모르고 종이컵에 하나가득 담아가지고 포항까지왔지요 알고 보니 이녀석들이였어요.알에서 막 깨어났을때는 검은색 좀더크면 저렇게 빨간색으로 ~~성충은 보기엔 괜찮은데 농작물에 피해를 주니 해충으로서 미움을 많이 받고 있어요
쌤~~~~~어전히 열심히 활동하고 계시네요..이젠 정말 저와는 격이 다른 숲 해설가가 되어 계신듯~어떡해요ㅠ ㅠ 부산에 계시는 다른 쌤들도 다 잘계시죠.안부도 못 전하고~ 대신 전해주세요..쌤 수업 끝날때 축하하러 갈께요..
빠른 시일내에 천적이 나타나 건강한 숲을 병들지않게 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좋은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