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너에게 편지를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문학실 우리말 스크랩 한글 맞춤법 알아보기23- 어원을 모르는데,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어도 될까요?
흐르는 물 추천 1 조회 57 14.10.13 22:18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한글 맞춤법 차례차례 알아보기 23 어원을 몰라 소리 나는 대로 적거나 원형을 따르지 않는 경우

 


 

 

지난 호에서는 제27항 본항을 살펴보았고, 이번 호에서는 제27항의 [붙임] 조항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붙임1 어원은 분명하나 소리만 특이하게 변한 것은 변한 대로 적는 예시를 나타낸 표

 

 

‘할아버지’는 본래 ‘큰’을 뜻을 더하는 접두사 ‘한-’과 ‘아버지’가 합쳐진 말입니다. 여기에 쓰인 ‘한-’은 ‘한길, 한시름’ 등에 쓰인 것과 같은 것입니다. 따라서 접두사는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원칙을 따른다면 ‘윗첨자한아버지’로 적어야 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특이하게도 ‘한-’이 ‘아버지, 아범, 아비’ 등과 결합할 때는 소리가 [할]로 변합니다. 어째서 이렇게 소리가 나는지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하라버지]로 발음되는 것을 ‘윗첨자한아버지’로 적을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그래서 예외적으로 ‘할아버지, 할아범, 할아비’ 등에 한해서는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한 것입니다.

 


붙임2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는 예시를 나타낸 표

 

 

어원이 분명하지 않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어원을 모른다는 것입니다. 어원을 모르니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은 애초에 가능하지 않은 것이지요. 그러므로 소리 나는 대로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골병’은 ‘속으로 깊이 든 병’을 가리키는 말이고, ‘골탕-湯’은 ‘소의 등골이나 머릿골에 녹말이나 밀가루 따위를 묻혀 기름에 지지고 달걀 푼 것을 씌운 후 이를 맑은장국에 넣어서 다시 끓여 익힌 국’을 가리키는 말로서, 각각에 쓰인 ‘골’이 본래 ‘골수’에서 온 말인지, ‘곯다’에서 온 말인지, ‘골’에서 온 말인지 분명히 알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저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입니다.

 


몇일이지/며칠이지

 

 

‘몇 월’로 적는 것을 보면 ‘윗첨자몇일’로 적어야 하지 않을까 싶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몇’과 ‘일’의 결합이라면 [면닐]로 나야 하는데 ― ‘솜이불’이 [솜니불]로 소리 나고, ‘들일’이 [들릴]로 소리 나듯이 ― 정작 소리는 [며칠]로 납니다. 다시 말해서, ‘몇+일’의 결합이라면 [며칠]로 소리가 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옛날 책에는 ‘며츨’로 적혀 있는데, 이 또한 ‘몇’과 ‘일’의 결합이라면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입니다. 결국 어원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소리를 따라 ‘며칠’로 적어야 하는 것입니다. ‘윗첨자몇일’로 적는 경우는 없습니다.

 


붙임 3 '이齒, ?'가 합성어나 이에 준하는 말에서 '니' 또는 '리'로 소리 날 때에는 '니'로 적는 예시

 

 

‘사랑니’는 ‘사랑’과 ‘이[齒]’가 결합한 합성어입니다. 어원이 분명할 뿐만 아니라, ‘솜이불’이 [솜니불]로 발음되고, ‘솔잎’이 [솔닙→솔립]으로 발음되는 것처럼, 앞말이 받침으로 끝나고 뒷말이 ‘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환경에서는 가운데에 ‘ㄴ’이 첨가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므로 원형을 밝혀서 ‘윗첨자사랑이’로 적더라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쓰고 나면 ‘사랑이 뭐길래?’의 ‘사랑이’, 즉 ‘사랑’에 주격조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오해되기 십상이고, 발음도 [사랑이]로 잘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齒, ?]’가 결합한 합성어나 이에 준하는 말에서 ‘니’ 또는 ‘리’로 소리가 날 때에는 원형을 따르지 않고 소리를 따라서 ‘니’로 적도록 한 것입니다. 참고로, ‘이[齒]’는 옛날에는 ‘니’로 적었답니다.
그럼, ‘금니빨’일까요, ‘금이빨’일까요? ‘금이빨’이 맞습니다. [붙임3]은 예외적인 규정이므로 ‘이’에 한해서만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글_이대성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다음검색
댓글
  • 14.10.14 16:05

    첫댓글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