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7)
1. Gestalt therapy is built upon two central ideas: that the most helpful focus of psychotherapy is the experiential present moment, and that everyone is caught in webs of relationships; thus, it is only possible to know ourselves against the background of our relationships to others.
* psychotherapy : 정신요법, 심리요법, 심리치료
* experiential : 경험의, 경험적인
게슈탈트 치료는 두 개의 중심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경험적인 현재의 순간이 심리치료에 있어서 가장 도움이 되는 초점이라는 것과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의 망에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배경으로 해야 비로소 우리 자신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게슈탈트 치료는 내담자의 현재 상태를 가장 중요하게 본다. 개인이 지금 여기에서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욕구하고 있고, 어떤 생각과 감정을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그는 지금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어떠한 행동을 하고 있는가를 치료자와 내담자가 함께 빠져들어가 아무런 조건 없이 있는 그대로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치료자는 내담자와 같은 심리상태가 되어야 한다.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자는 내담자와 같이 포용되어, 포섭되어 일체가 됨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상태를 그의 외적 행동과 태도, 표정 등을 종합하여 있는 그대로 파악하여야 한다.
2. As the cognitive revolution eclipsed Gestalt theory in psychology, many came to believe Gestalt was an anachronism.
* cognitive : 인식의, 인식력이 있는
* eclipse : (해·달의) 식(蝕), 가리다, 어둡게 하다
* psychology : 심리학, 심리
인지혁명이 심리학에 있어서 게슈탈트이론을 가려버리자, 많은 사람들은 게슈탈트는 시대착오적이며 더 이상 유용한 이론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3. Because Gestalt therapists disdained the positivism underlying what they perceived to be the concern of research, they largely ignored the need to use research to further develop Gestalt theory and Gestalt therapy practice (with a few exceptions like Les Greenberg; see the interview "Validating Gestalt“
* disdain : 경멸하다. 멸시하다
* positivism : 실증철학, 실증론, 실증주의, 적극성, 명확성
* validate : 유효하게 하다, 정당함을 인정하다, 확인하다, 비준하다
게슈탈트 치료자들이 탐구의 관심을 인식하는 것의 밑바탕에 깔려있는 실증주의를 무시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게슈탈트이론과 게슈탈트 치료기법을 보다 더 발전시키기 위한 조사할 필요성을 일반적으로 경시하였다.
4. Gestalt therapy focuses on process (what is actually happening) over content (what is being talked about).
게슈탈트 치료는 내용(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보다 과정(무엇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5. The emphasis is on what is being done, thought, and felt at the present moment (the phenomenality of both client and therapist), rather than on what was, might be, could be, or should have been.
지금 여기에서 무엇이 행해지고 있는가,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에 중점을 둔다.
과거에 무엇이 일어났고, 느껴졌는가, 무엇을 해야 했거나 할 수 있었어가, 했어야 했는가 보다는 현재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