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대전송촌동주여사네집 원문보기 글쓴이: 땅오아부지
☞ ! 아래의 제목을 클릭 ! ☜
환상의 Slide Show 감상
박근혜의 평양 방문기 ※ 부모님을 총탄에 잃고....
(아래를 클릭 하세요) Subject ; 평화스러운 풍경♬ 스트레스 해소용
Subject ; 블랙홀의 실체 블랙홀의 실체 (공포를 느낄 정도로 무서운 구멍)
#1 Kimberley Big Hole - South Africa 남아공화국 소재
#2 Glory Hole - Monticello Dam, California 칼리포니아주 몬티첼로 호수, 호수 수위가 적정선을 넘으면 물을 댐 밖으로 유출하는 이 구멍은 세계 최고로 초당 14,4000 큐빅 피트의 물을 배출한다.
#3 Bingham Canyon Mine, Utah 미국 유타주 소재 빙함 캐넌 광산. 1863년부터 채광을 시작한 광산으로 인간이 만든 세계 최대의 구멍으로 직경 2.5마일, 깊이 1.5마일.
#4 Great Blue Hole , Belize
#5 Diavik Mine, Canada 케나다 디아빅 광산. 이 광산은 보잉 737기가 착륙할 수 있는 비행장도 소유하고 있다.
#6 Sinkhole in Guatemala
#7 구멍 중에 가장 무서운 불랙홀(Black hole) 은하계에 있는 불랙홀은 빛도 삼키는 강력한 중력으로 박근혜의 평양 방문기 링컨"美大統領과"케네디"美大統領의 묘한인연
漢江 - 28's 다리
한강은 길이 514 km, 유역면적 34,397 km² 이다. 서울에서 한강의 북쪽도로는 강변북로, 남쪽은 올림픽대로가 있다. 한강은 6호선, 8호선, 9호선, 분당선 [2010년에 한강을 통과하는 하저터널 건설],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 메트로 1호선을 제외한 모든 수도권 지하철 노선들이 교각 [1호선 (용산역~노량진역], 2호선 [강변역~성내역, 당산역~합정역], 3호선 [옥수역~압구정역], 4호선 [이촌역~동작역], 7호선 [뚝섬유원지역~청담역] 또는 하저터널 [5호선 (여의나루역~마포역, 광나루역~천호역'이 유일]을 通해 관통하며 2010年, - 현재까지 28'개의 다리를 지니고 있다.
*.김포대교[金浦大橋 - 2280m : 외곽순환고속도로와연결]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 와 고양시를 잇는 다리로 길이 2,280m[총연장 1,475m], 너비 38.2m이다. 차도는 8차선으로 28.8m이고 중앙에는 너비 3.4m의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구조는 교대가 20기이고, 경간 사이의 최대 거리는 125m에 이른다. 서울 외부순환고속도로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한강 다리로는 21번째이다. 한강 다리 중에서 너비가 가장 넓고 길이도 가장 길다. 남쪽은 김포제방도로를 가로지르고 고양시 쪽으로는 자유로를 가로지른다. 자유로와는 신평인터체인지로 이어지며, 남쪽에서는 김포인터체인지에서 48번 국도와 이어진다. 최신식 다리인만큼 하부의 교각이 상부구조와 조화를 이루어 미관이 뛰어나다. 김포시와 고양시 일산 지역은 물론 문산읍과 파주시, 서울특별시 서부 지역의 교통난을 분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신행주대교[新幸州大橋 - 1460m]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을 잇는 다리로 길이 1,460m, 너비 14.5m이며 1995년 5월 개통되었다. 1996년부터는 제2신행주대교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2000년 12월 16일 개통되었다. 이에 따라 신행주대교는 고양시에서 서울 방향, 제2신행주대교는 서울에서 고양시 방향으로 각각 일방통행하게 되었다. 각 노선은 편도 3차선이다. 그리고 그 동안 승용차만 다니던 행주대교는 비상도로로 활용하다가 철거될 계획이다. *.방화대교[傍花大橋 -2559m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연결]
강서구 방화동과 경기도 고양시 강매동을 잇는 다리를 말하는데 총연장 2,559m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구간 중 서울특별시 입구에 건설된 다리이다. 한강을 횡단하는 다리 가운데 27번째로 건설된 최장 교량이며, 특히 중앙부 540m의 아치트러스[arch truss]橋는 비행기의 이착륙을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미관이 뛰어나서 남쪽의 개화산과 북쪽의 행주산성 등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가양대교[加陽大橋 - 1608m]
마포구 상암동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북단은 강변북로와 자유로가, 남단은 올림픽대로가 연결된다. 1994년 12월 착공하여 2002년 5월 31일 준공되었다. 교각과 교각 사이의 거리가 최소 100m, 최대 18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길다. 교량의 길이는 약 2.5Km로 大橋이다. *.성산대교[城山大橋 - 1410m]
마포구 망원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잇는 길이 1,410m. 너비 27m이다. 1980년 6월 30일에 개통되었다. 국도 제1호선 및 국도 제48호선의 일부이며, 서부간선도로'를 거쳐 서해안고속도로'로 이어진다. 성산로[독립문∼경인고속도로 입구]의 건설과 함께 시공되었으며, 제2한강교의 교통량 분산과, 김포공항에서 도심으로 진입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 다리는 한강의 12번째 교량으로서 성수대교와 같은 트러스 공법으로 세워졌는데, 외측을 반달형으로 하여 특유한 조형미를 갖추고 있다 *.양화대교[楊花大橋 -1053m]
특히 양화대교는 한강다리가 본격적으로 건설되기 시작한 60년대의 첫 교량이다. 60년대에 들어서 경제개발이 시작되었고, 1965년 1월 제2한강교라 불린 양화대교가 등장했다. 합정동과 당산동을 잇는 양화대교는 영등포와 인천·김포공항으로 가는 서울의 서부관문이기도 하다. 마포구 합정동과 영등포구 양평동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1962년 6월 20일 착공되어 1965년1월 25일 준공 개통되었다. 준공 당시에는 "제2한강교"라 불리었으며 1982년 9월 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다리 남쪽에 선유도공원이 있다. 약 1.6KM로 당산역에서 조금만 걸으면 보이는 곳이다. *.당산철교[堂山鐵橋 - 1360m :지하철2호선전용]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당산역과 합정역을 연결하는 철교이다. 1983년에 완공되었으며, 1984년 5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완전개통으로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한강의 3번째 철교이다. 성수대교 붕괴사고의 여파로 당산철교도 교량 점검 후폭풍이 불었다. 완공 10년 후에 실시된 교량 점검 과정에서, 상판은 물론 교각 자체에도 심각한 문제가 발견, 전면 재시공이 결정되면서 1996년 末에 대대적인 공사가 시작되어 당산역-합정역 구간이 한때 단절되었다. 이후 약 3년간 당산역과 합정역 및 홍대입구역을 임시로 드나드는 무료셔틀버스가 운행되었고 2호선 열차가 합정역에 임시로 회차선을 만들어 회차하기도 했다. 1999년 가을에 당산철교가 다시 개통되어 현재까지도 별 문제 없이 교량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 교량의 길이는 약 1.2km이며, 높이는 약 30m에 이른다 *.서강대교[西江大橋 - 1700m]
1999年 준공된 서강대교는 철새도래지인 밤섬을 가로질러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한강의 수질보호와 밤섬 철새도래지의 보호를 위하여 콘크리트 상판 960m를 연속압출공법[시공 관리가 용이하고 속도가 빠름]으로 가설하였으며, 아치형 다리로 수려한 미관을 자랑한다. *.마포대교[麻浦大橋 - 1400m]
마포구 마포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 다리이다. 길이는 1.6km이며 왕복 10차선 다리이다. 초기 이름은 서울대교였지만 추후 마포대교로 개명되었으며, 1970년 착공되었다. 하지만 이 다리가 건설된 이후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나중에 원효대교를 건설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이 다리로 인해 여의도가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다리는 한강에서 4번째로 설치되었다. 2008년 8월부터 11월까지 보행환경 개선공사로 왕복 8차선으로 다리가 축소된 적도 있었다. 서울 지하철 5호선은 이 다리와 평행한 하저 터널로 여의나루역과 마포역이 이어진다. *.원효대교[元曉大橋 - 1470m]
용산구 원효로 4가와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다. 1978년 7월에 착공, 1981년 10월 27일에 완성되었다. 폭은 20미터(차도폭 15.4미터, 보도폭 4.6미터에, 4차선 규모로 총연장 1,120미터 길를 지니고 있다. 원효대교는 지보공이 없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대교량이다. 원효대교는 독일의 디비닥 공법 및 프리 캔틸레버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되었다. 원래 동아건설(주)에서 건설하여 개통 초기에는 통행료를 징수했으나, 이후 1984년 서울시에 다리의 소유권을 기부한 이후 톨게이트는 철거되었다 *.한강철교[漢江鐵橋 - 1110m : 지하철1호선과 기타여러기차전용]
한강의 교량 중 최초로 건설된 교량으로, 노량진역과 용산역 사이를 잇는 철교이다. 1900년 한강 이남으로 노량진역에서 끊겨 있던 경인선을 용산역과 남대문역[現 서울역]까지 연장하기 위하여 건설된 철도 전용 교량이다. 현재 경인선, 경부선등의 열차가 이용하는 교량이다.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당시 건설된 A·B·C선은 2006년에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00년 7월 5일 준공된 한강 위에 놓인 최초의 다리 한강철교
현재는 운송량의 증가와 맞물려 4개까지 늘어났다.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A-B-C-D 순으로 자리 잡은 4개의 한강철교는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데, 철교-A는 용산에서 부평간 경인선 열차가, B는 화물열차, C는 경부선·장항선·호남선 등의 철도가, D는 경인·경수 전동차가 다니고 있다.
사진 : 1912년의 한강철교 공사 - 출처 : 서울시 건설안전본부 홈페이지 *.한강대교[漢江大橋 - 1005m]
첫 다리가 연결된 後 17年이 있은 後에는 사람과 우마차가 다니는 길이라 해서 인도교라 이름 붙여진 한강대교가 건설되어졌다. 한강대교는 노들섬과 연결되어 있다. 한강대교 외에도 서강대교는 밤섬과 양화대교는 선유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한강대교와 양화대교 사이에는 카페형 전망대가 조성되어서 최근에는 연인들끼리 자주 찾는 명소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한강대교 야경 - 이하출처 : 서울 건설안전본부 *.동작대교[銅雀大橋 - 1330m, 가운데에지하철4호선지나감]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과 서초구 반포동을 잇는 총연장 1,330m의 한강 다리이다. 한강 다리 중 11번째로 개통하였다. 한강의 5번째 철교이다. 동호대교와 같은 구조의 도로·철도 겸용 교량으로 건설되어,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이촌역 - 동작역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연장 1,330m, 폭 40m. 한강대교와 반포대교 사이에 있다. 도로교와 지하철 4호선 전철교의 복합 교량으로, 그 폭이 한강다리 가운데서 가장 넓으며 도로교는 6차선 차도 23.6m에 양쪽 인도 5m씩이고, 전철교는 복선 11.4m이다. 1978년 10월에 착공하여 1984년 11월에 총공사비 550억 원을 들여 준공하였다. 난간이 알루미늄으로 꾸며졌으며, 조명효과를 위하여 메탈할라이드 램프등으로 가로등을 달았다.
*.반포대교[潛水橋, submerged bridge - 1490m]
Rainbow fountain Seoul.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과 서초구 반포동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1980년 1월 착공해 1982년 6월 25일 준공되었다. 대한민국 최초의 2층 교량이고, 약 1.2킬로미터이다. 반포대교의 아래에는 잠수교가 있다. 이 다리에 설치된 분수대는 2008년 12월 14일 세계 기네스 협회에서 세계 최장 교량 분수로 공식 인증했다. 반포대교와 잠수교, 그리고 달빛무지개 분수는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로 인해 반포한강공원의 일부가 되었다. *.잠수교[潛水橋, submerged bridge - 795m]
홍수 때에는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낮게 가설한 교량으로 물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떠내려오는 물건이 걸리지 않도록 난간을 설치하지 않는다. 하천관리의 측면에서는 장애물이 되며, 바람직하지 않으나 가설공사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시골의 작은 하천에는 비교적 많으며 서울 한강의 잠수교는 좋 은 예로, 지금은 그 위에 다시 교량을 가설하여 2층 교량으로 되어 있다. 물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떠내려오는 물건이 걸리지 않도록 난간을 설치하지 않는다. 홍수 때는 교통이 차단되며,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서울 한강의 잠수교는 좋은 예로, 지금은 그 위에 다시 교량을 가설하여 2층 교량으로 되어 있다. 가설공사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시골의 작은 하천에는 비교적 많다. 관광유원지에서의 가교[架橋]는 경관을 해치지 않는 의미에서, 영구구조의 잠수교를 생각할 수도 있다. 보통 주요 도로에는 잠수교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남대교[漢南大橋 - 917m]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漢南洞]과 강남구 신사동[新沙洞] 사이를 잇는 다리로 한강에서는 네번째로 건설된 교량이다.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고속도로의 진입 관문 역할을 한다. 1966년 1월 19일 착공하여 1969년 12월 25일에 준공되었다. 교통량 증가와 다리의 노후로 1996년 12월 기존 다리 서쪽에 새 다리를 착공, 2001년 3월 개통하였다. 以後 기존 다리는 보수공사를 진행하여 2004년 8월 9일재개통, 현재의 12차로로 구성된 다리가 완성되었다. 양재 나들목과 한남대교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이 다리를 건널 수 있다. 원래 이름은 '제3한강교'였으나 1985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915m의 비교적 짧은 다리이다. 과거 경부고속도로의 종점이었다. 아시아 고속도로 AH 1의 일부이며, 이 다리를 통과한 후 한남로, 퇴계로, 국도 1호선을 거쳐 경부고속도로로 향하게 된다 *.동호대교[東湖大橋 -1095m, 가운데에지하철3호선지나감]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1980년 6월 착공하여 1985년 2월 2일 준공되었다. 한강에서 15번째로 만들어진 다리이다. 약 1.2km이다.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옥수역과 압구정역을 연결해주는 철교 역할도 하고 있다. 다만, 강변북로에서 어느 방향이라도 동호대교를 타거나 이 대교에서 강변북로 도로로 갈아탈 수는 없다. *.성수대교[聖水大橋 - 1161m]
성동구 성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잇는다. 성수대교는 길이 1,161m 너비35m[8차선]이며, 한강의 11번째 다리로 1977년 4월 착공하여 1979년 10월 준공하였다. 최초로 120m 장 경간으로 건설 되었으며 , 그 구조상 게르버 트러스교로서 교하공간이 넓어 광활한 한강수면에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교량 양단에 완전한 입체교차시설도 갖추고 있다. 그리고 구조물의 외관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진 최초의 교량이었다. 1994년 10월 21일의 붕괴 사고를 겪은 후 1997년 4월에 다시 완공하여 재개통했다. 강변북로에서 강남의 어느 쪽으로 가기 위해선 성수대교 타는 방법밖에 없다. 1979년에 길이 1160m의 캔틸레버식 다리로 완성된 성수대교는 붕괴와 재시공이라는 아픈 상처를 지니고 있다. 1979년 10월 준공됨으로써 당시 포화상태에 있던 주위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왕십리 일대의 서울 동부와 영동지구를 연결해 강남지역의 균형 있는 발전을 촉진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성수대교 야경- 1994년 10월 21일 아침, 다리의 북단 5번째와 6번째 교각 사이 상판 50여m가 내려앉는 참사가 발생하였다. 아직까지도 부실의 대명사로 남아있지만 이후 다리분야에 ‘유지·보수·관리’의 개념을 도입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지금의 모습은 1997년 8월 새로 만든 것으로 2004년 8월엔 8차로로까지 확장되었다. *.영동대교[永東大橋 - 1056m]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광진구 자양동과 강남구 청담동을 잇는 총연장 1,065m의 한강 다리이다. 동2로에 속해 있고, 동2로의 종점인 남단 교차로에서 영동대로와 연결된다. 마포대교, 잠실대교에 이어 한강에 건설된 7번째 다리로, 1973년 11월 8일 개통되었으며 준공 당시 한창 개발중이던 강남 지역을 바로 연결함으로써 강남 개발을 촉진시키는 데 기여했다. 영동(永東)이라는 명칭은 영등포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으로, 1970년대 강남 개발 당시에 강남이라는 이름이 자리잡기 전 붙여진 이름이다. 강원도 영동 지방이나 충청북도 영동군, 그리고 영동고속도로와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영동이라는 이름은 현재 강남으로 대체되었고, 영동대로나 영동고등학교 등 지역 시설물 일부에 남아 있다. *.청담대교[淸潭大橋 - 1025m, 아래층에지하철7호선지나감]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과 강남구 청담동 사이를 연결하는 폭 27m, 길이 1,211m의 다리이다. 1993년 12월에 착공하여 본교는 1999년 12월 23일에, 접속교는 2001년 1월에 완전 개통되었다. 이 다리는 대한민국 최초의 복층 교량으로 아래층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뚝섬유원지역과 청담역 사이를 잇는 철도교이고, 위층은 자동차전용 도로교이며, 동부간선도로의 일부분이다. *.잠실대교[蠶室大橋, -1280m]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과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잠실동을 잇는 한강의 다리이다. 길이 1,280미터, 너비 25미터, 6차선이다. 공사비 20억 1300만 원이 들어갔으며 1970년 10월에 착공하였고, 1972년 7월에 준공하였다. 한강에 건설한 서울의 6번째 다리로, 완공 당시에는 마포대교에 이어 한국에서 2번째로 긴 다리였다. 이 길로 곧장 가면 아차산역과 송파 나들목, 성남시가 나온다. 이 교량을 중심으로 한 도로망은, 의정부 · 춘천 방면과 도봉구 태릉 · 망우동 · 면목동 · 워커힐 방면 등 서울 동부 변두리 도로들을 서울 도심을 거치지 않고 곧장 경부고속도로와 경수 · 경인 · 김포 등 강남 간선도로로 연결하여 서울의 교통 골격을 이루고 있다.
*.잠실철교[蠶室鐵橋,-1270m, 지하철2호선철도옆에 자동차전용도로가 있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과 송파구 신천동을 잇는 도로 겸 철도 다리이다. 1977년 착공하여 1979년 완공하였으며, 서울에서 도로와 철도가 같이 통행할 수 있도록 놓인 최초의 다리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과 성내역을 잇고 있으며, 철도 양 옆으로 도로가 놓여 있어 차량이 통행할 수 있었으나, 신천동 방향 도로는 자전거도로로 변경되어 차량이 통행할 수 없게 되었다. 진출입로가 올림픽대로에만 설치되어 있어 통행량은 그리 많지 않다. *.올림픽대교[1225m]
서울 광진구 구의동[九宜洞]과 송파구 풍납동[風納洞]을 연결하는 국내 최초의 콘크리트 사장교로써, 길이 1,225m, 너비 32m[6차선]이며, 다리 가운데 4개의 콘크리트 기둥으로 된 88m 높이의 주탑을 세우고, 24개의 강선'을 연결시킴으로써 '24회 올림픽'임을 의미하도록 하였으며, 1985년 11월 20일 착공하여 1990년 6월에 준공하였다. 천호대교 ·잠실대교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강남과 강북의 교통 소통에 도움을 주는 한편, 88서울 올림픽 대회를 영구적으로 기념하기 위해 1985년 착공, 1990년 6월 준공되었다. *.천호대교[千戶大橋, 1150m]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강동구 천호동을 잇는 총연장 1,150m의 한강 다리이다. 천호대로 구간에 속해 있으며, 1936年 개통한 광진교가 폭이 좁고 오래되어 많은 교통량을 수용하지 못할 것에 대비하여 건설되었다. *.광진교[廣津橋, 1056m]
1937年 광진교 광진교가 위치하고 있는 광나루는 예부터 충주를 거쳐 동래로 또는 원주를 거쳐 동해안으로 빠지는 요충지로 유명한 나루터였다. 홍수로 인해 교통이 두절되면 그 불편함을 헤아릴 수 없었다. 하루에 도강하는 자동차, 우차, 손수레 등이 수백대에 달하게 되어 도로교통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1936年 교량을 건설하게 되었다. 1895年[고종32] 개편되어 한성부 양주군 고양면 광진리가 되었으며 1914年 고양군 독도면 광장리가 되었다. 1949年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에 해당되던 광나루 일대가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되었다가 1995年 광진구에 편입되었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강동구 천호동을 잇는 총연장 1,056m의 한강 다리이다. 한강에서 세 번째, 도로 교량 중에서는 두 번째로 1936년에 건설되었으나 노후화 및 교통량의 증가로 1997년에 철거되고 현재 2003년 4차로로 새로놓인 다리가 들어서 있다. 2009년 7월에 걷고 싶은 다리 조성공사를 하여 4차로 中 2차로가 보행로와 자전거 전용도로로 새로이 조성되고 다리 중간부분에 하부 전망대를 설치하여 한강 교량 유일의 걷는 다리와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 만들어 졌다. 이 다리는 구천면길의 종점이다. *미사대교 [渼沙大橋, 1.53km]
경기도하남市 망월洞에서 남양주市 삼패동을 잇는한강의 다리이다. 공사中엔 남양주대교라는 가칭으로 불렸으며, 하남시에서 제안한 미사대교와 남양주시에서 제안한 덕소대교 中 미사대교가 선택되어 정식 명칭이 됐다. *서울양양고속도로를 구성하는 고속도로 교량으로, 이 다리가 시작되기 직전 지점에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시점이 위치한다. 미사 교차로와 덕소삼패 나들목 사이에 위치하며, 교량 길이는 약 1.5km이다. 시공 : 현대산업개발'로 2009年에 完工했다. *.강동대교[江東大橋 - 1126m, 외곽순환고속도로와연결]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과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폭은 26.72m, 길이 1,126m 한강의 다리이다. 이 다리는 공사기간 중인 1990年 대홍수로 왕숙천에서 내려온 부유물 등이 다리에 걸려 일부가 유실되었다. 1988年 2月 착공되어, 1991年 12月 준공하였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통과하며 강 북단에서 국도 제46호선으로, 남단에서 올림픽대로, 미사로로 진입할 수 있다. 다리 남단으로 하남 분기점에서 중부고속도로와 직결된다. 남단으론 하일 나들목이, 북단으론 토평 나들목이 있다. 하일 나들목밑에는 지하철 5호선의 고덕차량기지가 있다. *.팔당대교[八堂大橋 - 935m]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과 남양주시 조안면을 잇는 총길이 935m, 너비 24m의 다리로 1986년 5월 10일 착공하여 1995년 4월에 완공하였다. 총길이 935m, 너비 24m이다. 1986년 5월 10일 착공하여 1995년 4월에 완공하였다. 다리의 높이는 12m이고, 경간은 18개이다. 경간 사이가 가장 넓은 곳은 52m이다. 서울에서 가깝고 접근하기 쉬워 수도권에서 경기도나 강원도로 쉽게 이어진다. 특히 여름 휴가철과 가을 단풍철의 교통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된다. 다리 아래에는 쏘가리와 강준치·민물농어·끄리·피라미 등 다양한 물고기가 서식하고 여울지대가 많아 견지낚시터로 유명하다. 그러나 1999년 잠실대교부터 팔당댐까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낚시가 금지되었다. 인근에 팔당댐과 팔당유원지 등이 있으며 한강 줄기를 따라 유원지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한강다리 순서[강물이 흐르는 순서대로] [최동단]팔당대교 - 미사대교 - 강동대교 - [암사대교 예정] - 광진교 - 천호대교 - 올림픽대교 - 잠실철교 - 잠실대교 - 청담대교 - 영동대교 - 성수대교 - 동호대교 - 한남대교 - 반포대교 - 동작대교 - 한강대교 - 한강철교 - 원효대교 - 마포대교 - 서강대교 - 당산철교 - 양화대교 - [월드컵대교 예정] - 성산대교 - 가양대교 - 방화대교 - 행주대교 - 김포대교 - 일산대교[최서단] *한강다리 순서 [최초 준공 순서대로] 한강철교[1900] - 한강대교[1917] - 광진교[1936] - 양화대교[1965] - 한남대교[1969] - 마포대교[1970] - 잠실대교[1972] - 영동대교[1973] - 천호대교[1976] - 행주대교[1978] - 성수대교[1979] - 잠실철교[1979] - 성산대교[1980] - 원효대교[1981] - 반포대교[1982] - 당산철교[1983] - 동작대교[1984] - 동호대교[1984] - 올림픽대교[1990] - 강동대교[1991] - 팔당대교[1995] - 김포대교[1997] - 서강대교[1999] - 방화대교[2000] - 청담대교[2001] - 가양대교[2002] - 일산대교[2008] - 미사대교[2009] - 암사대교[2011 예정] - 월드컵대교[2015 예정] ※ 1978年 준공된 행주대교는 폐쇄되고, 1995年에 新행주대교가 건설되어짐 고양시와 김포시를 잇는 최서단 일산대교부터 하남시와 남양주시를 잇는 최동단 팔당대교 사이에 현재 존재하는 한강다리는 이렇게 총 28개'다. 2011年 준공을 목표로 구리-암사대교가 시공중에 있으며 이번 월드컵대교에 이르기까지 한강에 놓여지는 다리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앞으로는 어디에 어떤 이름으로 다리가 생길지 상상해 보는 것도 즐거운 상상이 될 것 같다. -from : 국토해양부 '행복누리' 블로그-
일산대교 2008년 1997년 1996/ 2000년 2002년
성산대교 1980년 양화대교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영등포구 양평동 1965/1981년 당산철교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영등포구 당산동 1983년 서강대교 서울시 마포구 신정동 ~ 영등포구 여의도동 1997년 마포대교 서울시 마포구 마포동 ~ 영등포구 여의도동 1970년 11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 영등포구 여의도동 1981년 12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 ~ 동작구 본동 1900/1912/ 1944년 (구·신교)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 동작구 본동 1937/ 동작대교 서울시 용산구 이촌동~ 동작구 동작동 1984년 반포대교 (2 층)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 강남구 잠원동 1976년 잠수교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 강남구 신사동 1969년 서울시 성동구 옥수동 ~ 강남구 압구정동 1984년 성수대교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 강남구 압구정동 1997/ 1973년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 ~ 강남구 청담동 2001년 잠실대교 1972/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 ~ 송파구 신천동 1979년
23 올림픽대교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 ~ 송파구 풍납동 1989년
천호대교 서울시 광진구 광장동 ~ 송파구 풍납동 1976년
광진교 서울시 광진구 광장동 ~ 2004년 강동대교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 서울시 강동구 강일동 1991년 미사대교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 ~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 2009년 팔당대교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 남양주시 조안면 1995년 1.한국 반포대교 2.프랑스 Millau 대교 고속도로 라고 합니다. 1959년 큰화재로 파괴됐지만 복원하여 1964년부터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다고 합니다. 8. 영국 Tower Bridge 432명의 노동자들이 8년동안 쌓아올렸다는... 9. 독일 Magdeburg Water Bridge 통일되면서 건설되었다고 합니다 지금 당신은 몇 살입니까?
◇ 1세 누구나 비슷하게 생겼다.
◇ 11세 할머니보다 키가커진다. ◇ 20세 다이애나 찰스 황태자와 결혼하다. 빌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사를 설립하다.
◇ 21세 스티브 잡스 애플컴퓨터사를 설립하다. ◇ 30세 베토벤 <월광 소나타>를 발표하다.
◇ 31세 아직 29살이라고 우길 수 있다 ◇ 40세 핸리 포드 포드사를 설립하다.
◇ 41세 이주일 텔레비전에 첫 출연하다
◇ 51세 태어난 지 반세기를 넘어선다. 콘잘레 스라이스 흑인 여성 국무장관되다.
◇ 61세 경험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 71세 코코 샤넬은 파리에 가게를 다시열다.
◇ 81세 장수라는 말이 어울린다.
◇ 91세 샤갈 마지막 작품을 발표하다. ◇ 100세 장 칼몽 할머니 자전거 타기를 즐기다. ◇ 107세 일본 쌍둥이 할머니 자매중 킨 할머니 사망하다. 음악 "표시하기" 크릭
정원에 모셔진 초대 이승만 대통령님의 동상
집 외벽에 전시된 낡고 빛바랜 사진들을 보고 너무나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가슴이...
문화재 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있는 방문객들의 마음들은 ....
집 외벽에 전시된 낡고 빛바랜 사진들을 보고 너무나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가슴이...
이화장의 육중한 철문
이화장 동판
정원의 이 대통령 동상
이 대통령 친필휘호(남북통일, 경천애인)
기념관 외벽의 사진 전시모습
문화재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있는 방문객들
소녀시절의 프란체스카(1916년 모습)
프란체스카 비망록
헤진 핸드백
각종 장신구와 악세사리
이 대통령 서재와 낡은 타자기
이 대통령 비망록
침 실
조각당
* 나이들면서 가족과 잘 지내는 법 *
1.아들을 부모의 소유물이 아닌 독립된 성인으로 인정한다. 2.며느리에 대한 불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3.지나친 경제적 부담을 주지 않는다. 4.특히 아들이기 때문에 생각을 강요하거나 따르도록 해서는 안 된다. 5.아들이 하고자 하는 일에 조언을 할지언정 방해하거나 부정하지 않는다. 딸과 잘 지내는 법 1.같은 성(아버지 아들, 어머니 딸)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필요하다. 2.함부로 대하거나 부정적인 감정표현을 하지 않도록 한다. 3.시집 간 딸의 궁금한 만큼의 집안 이야기(좋은 이야기만)를 해준다. 4.시댁의 안부도 묻는다. 5.사위의 좋은 점을 열거한다. 6.외손자녀를 칭찬한다. 7.외손자녀에게 딸의 좋은 점을 이야기해 준다. 며느리와 잘 지내는 법 1.뭐든지 터놓고 이야기 한다. 2.며느리의 취미를 살려 준다. 3.시어머니도 취미생활로 외출할 시간을 자주 갖는다. 4.고부가 같은 신앙을 갖는 게 중요하다. 5.역할분담을 하는 게 좋다. 6.며느리와 같이 아들 흉을 본다. 7.내 물건을 살 때 며느리 것도 산다. 8.딸들에게는 무관심하게 군다. 9.내 돈도 쓴다. 10.저녁식사 후엔 부르지 않는다. 11.가끔 며느리의 친정 안부에 대해 묻는다. 사위와 잘 지내는 법 1.딸의 입장보다 사위의 입장을 먼저 생각해 준다. 2.딸, 사위의 가정사에 깊이 관여하지 않는다. 3.백년손님이라기보다 아들처럼 편하게 대한다. 4.사위의 취미에 동화한다. 5.가끔은 딸의 흉을 같이 본다. 6.외손자녀에게 아버지를 닮았다고 이야기한다. 7.가끔 사위가 쓸 일용품을 사 준다. 8.사위의 세상사 이야기를 진지하게 들어 준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손자를 기쁘게 해주는 10가지 1.용돈을 준다. 2.욕심내는 것을 사 준다. 3.여러 가지 일을 가르쳐 준다. 4.어딘가 가고 싶은 곳에 데리고 가 준다. 5.부모의 어린 시절을 이야기해 준다. 6.부모에게 꾸중을 들은 후 위로해 준다. 7.자신의 이야기를 들어 준다. 8.옛날이야기를 들려준다. 9.소꿉장난이나 게임의 상대를 해준다. 10.좋은 성적에 대해 칭찬해 준다. 노부모세대가 지켜야 할 지침 1.손자, 손녀에게 부모역할까지 하려 들지 않는다. 2.손자, 손녀와 자식이 다툴 때는 한쪽 편을 들지 않는다. 3.모두에게 편한 이야기 상대가 되어 주면서 조언은 그들이 원할 때만 한다. 4.자신의 생각을 강요하지 않는다. 5.손자, 손녀 앞에서 자식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지 않는다. 6.자식의 교육방식에 대해 무시하거나 훈계하려 들지 않는다. 7.자식에게 꼭 따져야 할 말이 있다면 따로 불러 대화한다. 8.자신만을 위한 시간도 마련해 즐긴다.
보기 힘든 귀한 자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1952-01-21)
공산권·중립국가 휴전선 감시위원단 탈퇴요구 시위(1955-08-13)
미스코리아 결선대회 출전자들의 수영복 심사광경(1957-05-14)
우량아 선발대회에서 입상한 아기들(1957-05-15 )
성형수술 장면(1957-08-27)
약현성당을 방문한 로마교황사절 환영 플래카드(1959-03-09)
인기 영화배우 최은희씨(1959-08-19)
4.19혁명 희생자 49제(1960-06-05)
펄벅여사를 접견중인 윤보선 대통령 내외(1960-11-02)
김영복씨 귀국 의상 발표회(1960-12-18)
제2공화국 출범 경축식(1960-10-01)
경복궁서 군인위문공연(1961- 5-29)
수영복입은 박정희(61-09-11)
대학생 농촌문맹퇴치계몽 활동(1962-01-11 )
KBS의 전신인 서울방송국 위문단 제주도 위문공연(1962-03-24 )
화폐교환 및 극빈자 쌀 배급(1962-06-10 )
화폐교환하는 시민(1962-06-10)
영친왕 부인 이방자 여사 낙선재 입궁(1962-06-14 )
한산모시 직포 광경(1962-07-23)
대한항공사 취항식(1962-12-01 )
이화여자대학교 77주년 기념 5월의 여왕 대관식(1963-05-31)
육영수 여사 사진(1963-07-27 )
제5대 대통령 취임식(1963-12-17 )
종로거리(1907)
칼을 찬 순경이 죄인을 감시하고 있고,
오른쪽 이발소 간판 밑에 가로등이 보인다.
명동성당(1905)
앞의 종탑은 명동성당이며, 뒤의 흰 3층건물은 샬트 수녀원이다.
옛 조선호텔 앞 거리(1900)
일본에 의해 황근우가 철거되고
그 자리에 조선호텔을 건축하기 전의 모습이다
소공동 중심가(1903)
당시 충무로와 소공동은 가장 번화한 거리이다.
중앙의 누각은 현 조선호텔에 남아있는 황궁우이다.
용산 나루터(1904)
이곳은 나룻배를 건조하던 장소로 유명하다.
줄무늬 상의를 입은 소년과 목판에 엿을 담은 어린 엿장수가 엿을 팔고 있다.
소년의 옷차림이 당시 유행에 민감했음을 보여준다.
마포 나루터(1900)
왼쪽에 밤섬이 보이고, 이곳 마포 나루터는 화물 선착장으로 유명했다.
옛 진고개 (1904)
진고개는 현재 충무로 2가의 고갯길로서
흙이 몹시 질어 진고개라는 지명이 생겼다.
명동성당과 북악산이 보인다.
1906년 8척 가량 파내어 길을 닦고
높이 5척의 방주형 수멍을 묻었다.
이것이 서울시내 수멍도랑의 시초이다.
광화문 전경(1907)
당시 이거리는 도성에서 제일 넓은 거리였다.
왼쪽에는 통감부 통신관리국이 있고,
오른쪽 건물엔 일본관리인과 군부대가 있었다.
소공동 거리(1907)
소공동 주변에는 일본인이 경영하는 약방이 많았는데
일흥노약방 뒤로 원구단 누각이 보인다.
서대문밖 곡물창고
당시 이곳에는 곡물창고가 있었고 왼편의 건물은 전차수리소이다.
멀리 보이는산은 인왕산이다.
중학천(1907)
뒤의 누각은 경복궁 동십자각이며 백악산 밑에서
경복궁을 거쳐 청계천과 합류하였다.
하천 주변에 주민들은 이곳을 빨래터나 목욕터로 이용하였다
청계천(1904)
청계천은 서울 중심을 흐르는 하천이며
말그대로 물이 맑아 아낙네들의 빨래터로 이용되었다.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사진이다.
독립문 앞 전경(1931)
각종 채소들이 집산되어 시내로 유입된다.
이곳은 일본인들이 의주통이라 불렀다.
충무로 입구(1903)
충무로 입구에서 바라본 명동성당이다.
당시 충무로는 가장 번화한 거리였다.
서부역 부근(1907)
이곳은 저지대라 비가오면 진흙땅이 된다.
멀리보이는 건물은 약현성당이다
이화장 방문 소감 및 귀한 사진들
경신구사(敬身九思)
아래 Full Screen을 클릭 하시고,
종료는 자판의'Esc'또는 X를클릭!
실행, 실행을 클릭 하세요.
Full Screen
아래 사진은 공포를 느낄 정도로 무서운 구멍의 사진들로
대부분 인간이 자연을 파괴하면서 생성된 구멍들이다.
남미 대서양의 나라 벨리지에서 60마일 해상에 있는 세계최대의 파란구멍
남미 과테말라에서 지반의 함몰로 생긴 구멍
- 10여채 이상의 집이 이 구멍으로 사라지고 3명의 사망자를 냈다.
죽은 별도 삼켜버리는 무서운 존재다.
시계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주위에 있는 것을 빨아들이는 점이다.
서울시가 한강대교와 반포대교의 과밀교통량 분산효과를 기대하고
하천관리의 측면에서는 장애물이 되며, 바람직하지 않으나
1920年代에는 화물차나 버스를 발동기선에 실어 도강할 수 있었으나
1930年을 전후에서 교통량이 격증하여
조선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하였다가
No
교 량 명
위 치
완공년도
1
2
3
2000년
4
5
6
7
(구·신교)
8
9
10
13
1981년
14
15
(1층)
16
17
18
2004년
19
20
21
2004년
22
24
25
26
27
28
우리나라의 반포대교의 모습니다..펌프를 이용물을 끌어올려 분당 190t의 물을 노즐을 통해
분사하고 있습니다. 서울 한강의 야경과어울리는 멋진 장관입니다.
프랑스에 있는 이 다리는 가장 높은곳에 놓여져있다고 합니다. 높이는 에펠탑의 높이보다 약간 크다고....
3. 싱가포르 Henderson Waves
지상도로에서 36 미터 높이 12 층건물 높이에 있는이다리는 싱가포르에서 가장 높은 보행자 다리입니다.
4. 중국 항주 베이 브릿지
바다를 가로지르는 세계에서 가장 긴다리라고 합니다.
다리길이 총 35,673 킬로미터를 양방향으로 6 차선
위다리는 상하이와 닝보의 거리를 30시간이나단축시킬수있는 도로라고 하네요~
5. 영국의 Rolling Bridge
사람이 지나다닐때는 다리를 펼쳐 이동할수 있게끔 하고 배가 지나다닐때에는 원통모형으로 접어버리는...
6. 브라질 올리베이라 브릿지
두개의 교량이 교차하는 다리...08년 5월에 완공한 이다리는 높이는 138미터
7. 중국 Wind and Rain Bridge
중국 소수민족의 건축물이라고 합니다. 다리길이는 50m,지어진지는 100년이넘었고
위다리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아름다운 다리로 많이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또한 런던의 유명한 랜드마크
동독과 서독을 연결하는 이다리는 동독과 서독이
10. 이탈리아 Ponte Vecchio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가장 유명한 다리라고 합니다.돌로지어진 다리중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것으로 추정
세계의 멋진 다리중 우리나라의 다리도 끼어 있으니 웬지모르게 뿌듯하네요
◇ 2세 될놈은 약간 이상한 기색을 보인다.
◇ 3세 푸이, 중국 황제가 되다.
정약용은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리니, 멀고 가까움이 다르기 때문일세"라는 시를 지었다.
◇ 4세 마이클잭슨 가수로 데뷔하다.
◇ 5세 달라이 라마 티벳의 정신적 지도자가 되다.
◇ 6세 이소룡 연기를 시작하다.
◇ 7세 베토벤 무대에서다.
◇ 8세에 애신각라 현엽(강희제)은 대청의 황제가 되다. 모차르트 첫 작곡을 하다.
◇ 9세 파워레인저 장난감에 싫증을 낸다.
◇ 10세 에디슨 과학실험실을 만들다.
◇ 12세 로리타가 험버트를 만나다.
◇ 13세 안네 일기를 쓰기 시작. 빌게이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시작하다.
◇ 14세 줄리엣 로미오와 연애를 시작하다.
◇ 15세 펠레 프로축구선수로 첫 골을 넣다.
◇ 16세 이몽룡 성춘향과 연애를 시작하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아카데미)에 입학하다.
◇ 17세 유행가에 자주 등장한다.
◇ 18세 테레사 수녀 인도에 가다. 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 타다.
김소월<창조>에 시를 발표하다.
◇ 19세 엘비스 프레슬리 가수생활을 시작하다. 루소 바랑 부인과 동거를 시작하다.
◇ 22세 알리 세계 헤비급 챔피언이 되다. 정약용 과거에 급제하다.
◇ 23세 주말이 갑자기 의미가 있어지기 시작한다.
◇ 24세 마를린 몬로 배우생활을 시작하다.
◇ 25세 니체 바젤 대학교수가 되다.
◇ 26세 제리 양 야후를 설립하다. 월트 디즈니 '미키마우스'발표하다.
이태백 방랑생활을 시작하다.
◇ 27세 로빈슨 크루소 해변에 도착하다
◇ 28세 김영삼 국회의원에 당선. 윤동주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사망하다.
◇ 29세 펠레 1,000번째 골을 성공. 칼 마르크스 <공산당선언>을 쓰다.
◇ 32세 군대에 지원해도 받아주지 않는다.
◇ 33세 예수 십자가에서 못 박히다. 숀.코네리 처음으로 007 영화에 출연하다.
◇ 34세 정일권 육군참모총장이 되다.
◇ 35세 석가모니 도를 깨치다.
나폴레옹 황제가 되다. 퀴리부인 남편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다.
◇ 36세 마가렛 미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발표하다.
◇ 37세 가족을 위해서 캠코더를 산다.
◇ 38세 병으로 죽으면 억울한 나이.
◇ 39세 걸리버 여행을 시작하다.
◇ 42세 아인슈타인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다.
◇ 43세 퀴리부인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다. 유진오 대한민국 헌법을 기초하다.
◇ 44세 원효대사는 해골에 괸 물을 마시고 도를 깨달았다.
박정희 소장 5.16 혁명 일으키다.
◇ 45세 히틀러 독일의 지도자가 되다.
◇ 46세 간통죄에 많이 걸린다.
◇ 47세 이순신 장군 옥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 48세 통계학적으로 돈을 제일 많이 버는 나이. 버락 오바마 미국의 첫 흑인 대통령 되다.
◇ 49세 "아흡수"라는 말이 절실히 느껴진다.
◇ 50세 히틀러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다.
◇ 52세 카드 한 벌과 수가 같다.
◇ 53세 숀 코네리 마지막으로 007시리즈에 출연하다. 사담.후세인 걸프전을 일으키다
◇ 54세 라식 수술을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월트.디즈니는 디즈니 왕국을 만들다.
◇ 55세 정년이 시작된다.
◇ 56세 손주가 자식보다 더 사랑스럽다.
◇ 57세 윌리엄 와일러 감독 영화 <벤허>를 만들다.
◇ 58세 캐롤 요셉 워틸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되다.
◇ 59세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하다. 올.브라이트 미국의 첫 여성 국무장관 되다.
◇ 60세 옐친 러시아 초대 대통령이 되다.
◇ 62세 피카소 21살 프랑수와즈 질로를 만나 첫눈에 반하다.
◇ 63세 미국에 사는 여인 아셀리 키 인공수정으로 출산에 성공하다.
◇ 64세 자신의 후임자를 찾아야 한다.
◇ 65세 교수들의 강제 퇴직 파티가 열린다.
◇ 66세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대통령이 되다.
◇ 67세 "이제 늙었어"라는 말을 하면 오히려 이상하게 들린다.
◇ 68세 갈릴레이는 천동설을 뒤집어 지동설을 주장하다.
◇ 69세 테레사 수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다.
◇ 70세 클린트 이스트우드 마지막으로 영화 출연하다.
◇ 72세 부시 전 미국 대통령 스카이 다이빙에 성공하다.
◇ 73세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에 재선되다.
◇ 74세 잘 못을 해도 구속되지 않는 나이.
◇ 75세 넬슨 만델라 남아공화국 대통령에 당선되다. 괴테 자서전 내다.
◇ 76세 기저귀를 차고 자야 맘이 편하다.
◇ 77세 윈스턴 처칠 영국 수상에 재선되다.
◇ 78세 앞으로 1년씩이 인생의 보너스로 느껴진다.
◇ 79세 프랑크 시나트라 마지막 리사이틀 가지다.
◇ 80세 아무에게 반말을 해도 허물이 않되는 나이.
◇ 82세 톨스토이 가출하여 시골 역에서 사망하다.
◇ 83세 괴테 <파우스트>완성하다.
◇ 84세 보청기 없이는 잘 들을 수 없다.
◇ 85세 프랑스에 사는 장 칼몽 할머니 펜싱을 배우기 시작하다.
◇ 86세 짠 음식도 이제 신경 쓸 필요가 없다.
◇ 87세 TV 연속극이 본 방송인지 재방송인지 알 수 없다.
◇ 88세 사진첩에 있는 사람들 중 반은 기억할 수가 없다.
◇ 89세 파블로 피카소 자화상을 완성하다.
◇ 90세 자식들 이름을 가끔씩 잊어버린다.
◇ 92세 한국말도 통역을 해주는 사람이 필요한 나이.
◇ 93세 피터 드러커는 경영학의 기둥을 세웠다.
◇ 94세 다른 사람이 음식을 먹여준다.
◇ 95세 앞에서 얼쩡거리는 사람들이 자식들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 96세 혼자 화장실에 갔다가는 되돌아 나올 수 없다.
◇ 97세 누가 아버지인지 누가 아들인지 구별이 안가는 나이.
◇ 98세 알츠하이머에 걸리기에도 너무 늦었다.
◇ 99세 가끔 하나님과도 싸울 수 있는 나이.
◇ 120세 장 칼몽 할머니 건강을 위해 담배를 끊다.
◇ 121세 장 칼몽 할머니 Times Mistress라는 노래를 CD로 발표하다.
◇ 123세 살아 있으면 기네스북에 오른다.
이 집의 구조는 이승만 대통령 내외가 살던 본관, 내각을 구상하고 조각(組閣)을 발표했다는 조각당, 1985년 이화장의 효과적인 보존관리와 유족들의 생활을 위해 지은 생활관이 있다. 본관은 1988년부터 역사자료 및 이승만 대통령 내외가 평소 사용하던 가구 및 유품을 전시해 개방하고 있다.
이 화장은 우리나라 초대 이승만 대통령내외가 1947년부터 경무대로 이사하기 전까지 살던 가옥이다. 낙산공원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평소 육중한 철제대문이 닫혀 있지만 관람을 예약한 사람이 전화(02-762-3171)를 하면 문을 열어 준다. (☞ 인기 칼럼니스트인 조용헌은 이화장의 철제대문을 전통한옥의 솟을대문으로 바꿀 것을 제의했는데 전적으로 동감이다. 우중충한 철제대문과 한옥과는 전혀 어울리지 아니한다.)
본관건물 외벽에는 지금까지 신문과 서적에서 보았던 귀중한 역사적인 사진이 액자에 넣어진 채 걸려 있다.
오 스트리아 출신인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는 체구는 작지만 매우 아름다운 여성이다. 그녀의 소지품 중 핸드백은 모서리가 닳도록 사용했고, 몽당연필은 붓대를 끼워 썼다. 특히 양산을 30년 동안 사용할 정도로 늘 검소해 일반국민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나라가 어려울 때였지만 국모로서 참으로 검소한 생활을 했다. 하와이교민들은 1934년 결혼 당시 이승만이 외국인여성과 결혼하는 것을 반대했지만 나중에는 영부인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고 한다.
서재의 책상에는 골동품 같은 타자기가 한 대 놓여져 있다. 이승만이 직접 타자를 치는 모습의 사진도 보인다.
동상이 있는 곳의 언덕에는 조각당이라는 현판이 붙은 조그만 한옥이 있다. 정부수립 후 첫 내각을 구성하여 발표한 장소라고 한다.
#.목숨을 바친 사랑
한국 전쟁 중에 우리나라에 있었던 실화라고 한다.
한 만삭이 된 어머니가 아기를 낳기 위해
어떤 집을 찾아가던 중이었다.
그 어머니는 그만 그 집을 다 가지 못하고
길에서 진통을 하기 시작했다.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었던 어머니는
어느 다리 밑에 겨우 자리를 잡아
아기를 분만하게 되었다.
추운 겨울 아무도 도와 줄 사람이 없는 가운데
그 어머니는 모든 것을
혼자 처리하고는 아기가 춥지 않도록 자기 옷을 모두 벗어서
아기를 감싸 주었다.
해산 직후 추위에 어머니는 그만 얼어 죽고 말았다.
얼마 후 어느 미군 장교 한 사람이 차를 타고
그 근처를 지나 가다가 휘발유가 떨어졌다.
그는 부대로 연락을 취해 놓고 차에서 내려 그 부근을 거닐면서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어디선가 이상한 아기 울음 소리 같은 소리가 들렸다.
깜짝 놀란 그 군인은 그 소리를 따라
다리 밑까지 내려오게 되었다.
거기서 그 군인은 기가 막힌 장면을 목격했다.
어머니는 벌거벗은 채 얼어 죽어 있었고
어머니의 옷에 둘러싸인
갓난아기가 몹시 울고 있었다.
“내가 여기서 기름이 떨어진 것이 어쩌면 하나님께서 이 아이를
살리시기 위함인지도 모르겠군.“
이렇게 생각한 군인은 그 아기를 데려다가 양자를 삼아 잘 키웠다.
그 아들은 미국에서 훌륭하게 자라 성인이 되었다.
늘 자신의 출생에 대해 알고 싶어 하던 그 아들은 어느 날 자기를
키워준 아버지로부터 자기를 낳아 준 어머니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그 아들은 무덤을 찾아 한국에 까지 나왔다.
그 아들은 어머니의 무덤 앞에서 자기 옷을 벗어서 무덤을 덮으면서
울음을 터트렸다.
“어머니 얼마나 추우셨어요! 나를 살리기 위해 어머니는 그런 희생을
치르셨군요! 저는 어머니의 사랑을 생각하면서
벌거벗고 굶주린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겠어요!”
<사랑과 행복에의 초대, 양은순>
#.서운함과 사랑
사랑하는 이가
내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서운하게 할 때는
말을 접어 두고 하늘의 별을 보라.
별들도 가끔은 서로 어긋나겠지.
서운하다고 즉시 화를 내는 것은
어리석은 일임을 별들도 안다.
- 이해인의 시 <사랑할 땐 별이 되고> 중에서 -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서운하게 하면 더 쉽게 화를 내곤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이기에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서운함을 사랑하는 사람이 주는 선물이라고
생각하고, 기쁨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것
그것이 바로 진정한 사랑입니다.
芝蘭之交를 찾아서...
▲ 누가 로또 2등에 당첨될 줄 상상이나 했겠는가?
자살을 기도하던 30대 가장 두 명이 로또 당첨되고
이를 둘러싼 미담이 인터넷을 통해 뒤늦게 알려지면서
사건의 발단은 지난 달 27일 한강대교 북단 다리 아치위에서 시작됐다.
성북구 장위동에 사는 김씨(38)는 이날 자신의 처지를 비관,
마침 자살을 기도하던 박씨(38·영등포구 대방동)를 만났다.
경찰 조사 결과 김씨는 평범한 회사원으로 지난해 8월 건설업을 하는
또한 박씨는 두 달 전 교통사고로 아내를 잃는 슬픔을 당했지만
당시 경찰은 다시는 이 같은 일을 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받은 후
서로의 처지를 알게 된 두 사람은 이날 늦게까지 술을 마셨고 그
그러다 이달 7일 김씨와 박씨는 당첨되면 반씩 나눌 것을 약속하고
그중 한 장이 2등에 당첨돼 3억원을 받게 된 김씨와 박씨.
천성이 착한 두 사람은 그 돈으로 가정을 수습하라며 서로에게 건네
그날 밤 김씨는 자신의 마음을 적은 편지 속에 당첨된 로또
박씨와 김씨가 주고 받은 편지 내용 일부
박씨 "이보게 친구. 제발 내 마음을 받아주게나.
아이들 엄마 그렇게 떠난 것도 큰 슬픔인데,
자네 자꾸 이러면, 다시는 자네 안 볼 걸세. 명심하게."
김씨 "무슨 소린가 친구.
간 사람은 간 사람이고 산 사람은 어떻게든 살아야지.
나는 아직까지는 먹고 사는데 큰 지장이 없지 않은가?
우선 자네 빚부터 갚고 살길을 찾아봐야지.
어찌 그리 내 마음을 몰라주는가."
다음 날 이 사실을 안 박씨 또한 친구를 생각하는 마음에서 정성스레
그런데 이날도 거하게 술이 취한 김씨가 박씨의 편지함에 넣는다는
박씨 빌라 바로 위층에 사는 진선행씨(28·여)가 뜻하지 않은 횡재를 한 것.
그러나 편지속의 애틋한 사연을 알게 된 진씨는 당첨된 로또용지와 함께
미국의 CNN 방송은 "한국사람의 배려와 인정은 전 세계 최고다"라는
영국의 BBC 방송도 "자살기도자 2명 로또 당첨으로 절친한 사이 되다"
▲ 자살을 위해 한강을 찾은 두 사람, 이렇게 친구가 됐다.
- 한편 국민뱅크 측은 당첨금 3억원과는 별도로
국민뱅크 대외협력팀 유선한 팀장은 기자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또한 좋은나라 운동본부 김진실 대표는 "로또 당첨되면 가족끼리도
한편 이들의 감동실화를 접한 영화제작사 한 관계자는 "이 감동을
♬ 만남 ♬
나이들면서 가족과 잘 지내는 법
아들과 잘 지내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