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포켓 몬스터 ( ポケットモンスター, 1997년 )
영제 Pokemon
부제 포케몬 | 포켓몬 | Poketto Monsutaa | Pocket Monster
감독 유야마 쿠니히코 (湯山邦彦)
원작 이시하라 츠네카즈 | 타지리 사토시 (田尻智)
각본 토미오카 아츠히로 (富岡淳博)
제작 SoftX | 닌텐도 | TV 토쿄
음악 미야자키 신지 (宮崎慎二)
장르 아동물 | 어드벤쳐 / 전체이용가 / TV-Series / 25분 X 276화 / 일본
줄거리
<포켓몬스터>
10살이 되어 포켓몬을 처음 받게된 마사라타운(태초마을)의 사토시(지우)는 오키드 박사(오박사) 연구소에 늦게 가는 바람에 말을 가장 안 듣기로 소문난 피카츄와 여행을 떠나게 된다. 계속 말을 안 듣던 피카츄가 전기공격을 잘못하는 바람에 깨비드릴조 무리로부터 다칠 위기에 처하자 사토시는 온몸을 던져 피카츄를 구하려고 하고, 피카츄는 그런 사토시의 모습을 보고 감동한다. 한편, 피카츄를 데리고 병원에 가던 사토시는 카스미(이슬)라는 소녀의 자전거를 빌리게 되는데, 피카츄가 깨비드릴조 무리에게 전기 공격을 하는 바람에 그 여파로 망가지게 된다. 이를 계기로 사토시와 카스미는 함께 여행을 하고, 곧 회색시티에서 포켓몬 시합을 한 뒤 관장 타케시와도 여행을 함께 하게 된다.
천방지축이던 사토시는 포켓몬 시합을 하면서 차츰 실력을 쌓아가고, 관동리그(포켓몬 리그 석영대회)에 진출하여 리그전을 펼치게 된다. 그러나 리자몽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결국 기권패로 16강에서 걸음을 멈추게 되고 마사라타운으로 돌아오게 된다.
<포켓몬스터 오렌지제도편>
관동리그 16강을 자축하던 사토시는 오키드 박사로부터 오렌지제도에 심부름을 부탁받고 출발하게 된다. 등자나무섬에 있는 미즈 박사에게서 몬스터볼을 받기 위해 간 사토시 일행은, 미즈 박사로부터 GS볼을 받은 뒤,그 곳에서 타케시가 잔류 선언을 하게 되고 사토시와 카스미 둘이서만 여행을 하게 된다. 일단 몬스터볼을 가지고 돌아오려던 사토시 일행은 로켓단의 음모에 휘말려 오렌지제도 한복판에 처박히게 되고, 그 곳에서 사람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하던 라프라스를 구해준다. 바로 그 곳에서 포켓몬을 관찰하는 소년, 켄지(관찰이)를 만나 함께 여행하게 되고, 자신을 구해준 사토시를 진심으로 따르게 된 라프라스는 오렌지제도에서 바다를 건널 때 사토시 일행을 태워준다.
이 곳에서도 포켓몬 시합을 하고 우여곡절 끝에 체육관 뱃지 4개를 손에 넣은 사토시는 마침내 위너스컵에 도전하게 되고, 명예의 전당에 오른 전 대회 챔피언을 꺾고 우승컵을 손에 안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명예의 전당에 사토시의 이름이 올라가게 된다.
<포켓몬스터 금은편>
마사라타운으로 돌아온 사토시 일행은, 사토시의 집에 있던 타케시를 보고 놀란다. 타케시에게 어떻게 된 것이냐고, 미즈 박사 연구소 얘기를 꺼내자 타케시는 '묻지마..'라면서 폐인의 모습을 보인다.(이를 두고 카스미는 '실연당했다'고 말하지만, 구체적인 이유는 제시되지 않았다.) 켄지는 평소 동경하던 오키드 박사를 보고 감격하여 자신의 연구자료를 전부 보여주게 된다.
한편, 먼저 돌아와 있던 시게루(바람)는 사토시와 포켓몬 시합을 벌이게 되고 사토시가 완패를 당하게 된다. 그러면서 시게루는 사토시에게 '좀 더 실력을 쌓아라'면서 죠우토지방(성도지방)으로 여행을 떠나게 된다. 한편, 사토시가 가져온 GS볼을 연구한 오키드 박사는 고개를 갸우뚱거리면서, 죠우토지방에 살고 있는 몬스터볼 장인 강집 박사에게 이를 가져다주라고 다시 한 번 심부름을 보낸다. 마침 시게루에게 라이벌 의식을 느낀터라 사토시로서는 더할 나위없이 좋은 기회였다. 오렌지제도에서 함께 여행했던 켄지는 오키드 박사의 연구실에 잔류하기로 하고, 다시 타케시가 사토시 일행에 합류한다.
죠우토지방에 온 사토시 일행은 많은 우여곡절을 겪게 된다. 그러다가 강집 박사를 만난 그들은 GS볼을 넘겨준 뒤, 선물로 규토리 열매로 강집 박사가 손수 만든 몬스터볼을 선물받는다. 그리고, 마침내 사토시는 꿈에도 그리던 죠우토리그 시로가네대회(성도리그 은빛대회)에 나가게 된다.(* 주의 : 한국에서는 대회 직전까지만 방영됨 - 자세한 것은 작품 소개 참고)
이 대회에서 사토시는 조별리그전에서 시게루와 같은 조에 속하고, 사토시는 1승 1무를 기록해 시게루와 마주치게 된다. 두 사람 모두 이 대회에서 이겨야 8강에 진출하기 때문에 격렬한 싸움이 전개된다. 일진일퇴의 공방을 벌이던 승부는 결국 사토시의 승리로 끝나게 되고 시게루는 조용히 패배를 인정하여 사토시에게 축하의 인사를 건넨다.
8강전에서 사토시는 호우엔지방(호연지방) 출신 트레이너 하즈키를 만나게 되는데, 접전 끝에 결국 아쉽게 패배한다. 경기 종료 후 하즈키와 여러 얘기를 하던 사토시는 호우엔지방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마사라타운으로 돌아오게 된다. 돌아오던 도중 타케시와 카스미는 각자 자기 고향(회색시티, 블루시티)으로 돌아가게 된다.
집으로 돌아온 사토시는 엄마로부터 새 옷을 받은 뒤, 오키드 박사로부터 새로운 포켓몬 도감과 함께 격려의 말을 듣고 의기양양해서 호우엔 지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그 이후의 내용은 2002년작 '포켓몬스터 Advanced Generation'과 직결되며, 1997년부터 5년간 방영된 포켓몬스터는 일단 여기서 막을 내린다.
작품소개
이 작품 포켓 몬스터는 산업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1990년대 후반의 일본 애니메이션계를 대표하는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일본 본토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폭발적인 반응을 얻어 천문학적인 흥행수익을 기록한 작품이다. 원래는 닌텐도의 게임으로 시작하였으나 이후 만화, 애니메이션등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를 추진하여 대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일본 애니메이션계, 특히 아동 애니메이션 시장에 몬스터물을 하나의 장르로 자리매김시킬 정도로 대대적인 열풍을 몰고온 이 작품의 주인공 피카츄는 심지어 1999년 미국의 권위있는 시사잡지 타임 (TIME) 지가 꼽은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는 이변을 낳기도 하였다.
치밀한 사전 기획+캐릭터 마케팅의 개가라고 평가되는 이 작품은 기본적으로 주된 타켓이 되는 시청자들에게 어필하지 못하면 안된다는 공식을 확인이라도 시켜주듯 주 시청층인 아동들에게 특히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는 몇 년에 걸쳐 치밀하게 설정된 수많은 몬스터들과 그 몬스터들의 진화 시스템, 그리고 각 몬스터간의 대결과 몬스터 트레이너로서 참가하는 인간 캐릭터등 기존에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설정을 내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일본에서는 1997년 4월 1일부터 방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1997년 12월 16일 방영된 제38화 '전능전사 폴리곤' 막판에 피카츄의 전기공격에 폭탄이 터지면서 녹색, 빨강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의 섬광이 3초 동안 화면을 가득채웠고, TV도쿄 및 지방민영방송사를 통해 이를 시청하던 일본 전역의 시청자들이 구토와 간질 증세 등을 일으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따라 방송위원회는 포켓몬스터의 방영을 무기한 연기했고, 제작사 소학관 프로덕션, TV도쿄 측과 협의에 들어갔다. 약 3개월 동안 이어진 협의 끝에 관련 단체는 문제가 된 제38화를 포켓몬스터 비디오, DVD 등을 발간할 때 제외하기로 했고 필름 자체를 없애기로 결정했다. 또한 앞으로 제작할 때에도 섬광을 최대한 줄이고 유럽, 미국으로 수출되는 에피소드 가운데 이미 방영했던 에피소드 역시 섬광 부분을 편집하기로 했다. 그리고 방영중단 4개월만인 1998년 4월 15일 제39화가 '피카츄의 숲'편을 시작으로 포켓몬스터의 대장정이 다시 시작되었다.
이후 TV도쿄는 팬들의 열망에 힘입어 포켓몬스터를 재방영하기로 결정하고 1999년 10월 19일부터 2002년 9월 17일까지 '포켓몬스터 앙코르'를 편성했다. 특히 포켓몬스터 앙코르에서는 본방송이 끝난 후 'Pokemon de English'를 편성, 일본판과 미국판 포켓몬스터의 한 장면을 내보내면서 영어 교육을 도모, 시청자들의 많은 호응을 얻어냈다.
포켓몬스터는 이후 2002년 11월 14일까지 방영되었고 11월 21일부터는 새 시리즈 '포켓몬스터 Advanced Generation'이 방영되고 있다. 1999년 10월 19일부터 편성되었던 '포켓몬스터 앙코르'는 2002년 9월 17일까지 방영되었다.
한편 한국에서는 SBS-TV가 1999년 7월 14일부터 방영하기 시작했으나, 당초 예상보다 인기가 훨씬 높아 필름을 미처 수입하지 못하는 바람에 2000년 1월부터 4월까지 종전에 방송하던 분량을 다시 처음부터 재방영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일본과의 방영간격차가 적은데다 낮은 시청률이 유지되는 바람에 SBS-TV는 2002년 11월 27일 포켓몬스터를 중도 종영했다. 이후 중도 종영한 방영분을 그대로 남겨둔채 2003년 7월 21일부터 후속시리즈 '포켓몬스터 Advanced Generation'을 방영했다.
한편, 1999년에 체결된 Top in sight(포켓몬스터 아시아지역 배급 담당사)와 SBS-대원C&A 홀딩스간의 계약에 의하면 대한민국의 포켓몬스터 TV판 방영은 SBS에 우선권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동안 애니원TV나 투니버스 등의 만화 전문 채널에서 포켓몬스터 TV 시리즈가 지속적으로 방송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BS에서 방송하지 않은 이후 부분은 전혀 방송되고 있지 않은 것이다.
각 시리즈 정리
[ TV 시리즈 에피소드 ]
- 포켓몬스터
1화 ~ 82화 (1997.04.01~1997.12.16) : 관동편(カントー編)
83화 ~ 276화 (1998.04.16~2002.11.14) : 오렌지 제도편(オレンジ諸島編), 금은편(金銀編), 성도편(ジョウト編)
원작인 『적?록』의 스토리를 기본으로 한 '포켓몬 리그'편 이외에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인 '오렌지 제도'편과 원작의 『금?은』을 기본으로 한 '금은'편이 추가되었다.
- 포켓몬스터 어드밴스 제네레이션
1화 ~ (2002.11.21~ ) : 호연편(ホウエン編), 배틀 프론티어편(バトルフロンティア編)
[ 극장판 ]
(보통 '피카츄 더 무비'라 불리며, 해마다「PIKACHU THE MOVIE」의 로고와 피카츄의 위치가 조금씩 달라진다)
1998년 - 뮤츠의 역습(ミュウツーの逆襲) / 피카츄의 여름방학(ピカチュウのなつやすみ)
1999년 - 환상의 포켓몬 루기아의 탄생(幻のポケモン ルギア爆誕) / 피카츄 탐험대(ピカチュウたんけんたい)
2000년 - 결정탑의 제왕(結晶塔の帝王) / 피츄와 피카츄(ピチュ?とピカチュウ)
2001년 - 세레비, 시공을 초월한 만남(セレビィ 時を超えた遭遇) / 피카츄의 두근두근 숨바꼭질(ピカチュウのドキドキかくれんぼ)
2002년 -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水の都の護神 ラティアスとラティオス) / 피카☆피카 별하늘 캠프(ピカピカ星空キャンプ)
2003년 - 칠일간의 소원의 별 지라치(七夜の願い星 ジラ?チ) / 춤추는 포켓몬 비밀 기지(おどるポケモンひみつ基地)
2004년 - 열공의 방문자 디키시즈(裂空の訪問者 デオキシス)
2005년 - 뮤와 파도의 용자 루카리오(ミュウと波導の勇者 ルカリオ)
[ 스페셜 ]
1. 야돈킹의 하루
2. 돌아온 뮤츠
3. 포켓몬스터 크리스탈 ☆ 라이코우! 번개의 전설
4. 웅! 회색시티에 도착!
5. 이슬! 블루시티에 오다!
6. 강인한 시합! 로켓단!
7. 오박사를 구하자!
8. 이슬! 블루배지를 얻어라!
9. 피츄 형제
10. 검색! 오박사
11. 나옹이의 아르바이트 / 바구니를 구하라
12. 이슬이의 시합
13. 로켓단 스페셜! 어린시절을 사랑해
14. 세레비의 다른 전설
15. 시작의 마을, 트레이너의 훈련
16. 포켓몬과 오바람
17. 이슬이의 사랑의 배틀
18. 나진이의 불꽃 훈련
19. 하늘의 전설속의 파이어
[ OVA ]
1. 피카츄의 겨울방학(ピカチュウのふゆやすみ)
2. 피카츄의 겨울방학 2000
3. 피카츄의 겨울방학 2001
4. 뮤츠의 탄생
5. 피카츄의 여름축제(ピカチュウのなつまつり) : 일본 ANA항공사 기내상영작
6. 세레비, 시공을 초월한 만남 (미국 극장판 추가 부분)
7. 피카츄의 유령축제(일본 ANA항공사 기내상영작)
8. 포켓몬 3D 어드벤쳐 뮤를 찾아라!(ポケモン3Dアドベンチャー ミュウを探せ!)
[ 기타 ]
주간포켓몬 방송국(2002.10.15~2004.09.28) : 현재 종방 / 다시보고 싶은 에피소드, 새로운 에피소드 방영
포켓몬 선데이(2004.10.03~ ) : 현재 방영중 / 포켓몬 리퀘스트
※뮤츠 시리즈 : 뮤츠의 탄생(OVA) - 뮤츠의 역습(극장판) - 돌아온 뮤츠(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