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 보도자료 내려받기 관련기사 내려받기(문준영 수상자) 관련기사 내려받기(야노 히데키 수상자) |
학술부문 문준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사회부문 야노 히데키 강제병합100년공동행동 일본실행위원회 사무국장 |
1965년 국민적 반대 속에 굴욕적인 한일협정이 체결되자, 임종국 선생(1929∼1989)은 우리 근현대사 왜곡의 근본 원인이 과거사 청산의 부재에 있음을 직시하고 반민특위 와해 이후 금기시되고 있던 친일문제 연구에 착수했다. 그는 1966년 『친일문학론』을 발표하여 지식인 사회에 충격을 던졌으며, 그 외에도 문학과 역사를 아우르는 방대한 역작들을 남겨 한국지성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평생 미답의 분야를 탐구하면서 기득권 세력의 성역을 깬 선생의 실천적 삶과 치열한 학문 세계를 기리기 위해 제정한 <임종국상>의 제4회 시상식이 11월 10일(수) 오후 7시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와 민족문제연구소 공동주최로 한국언론재단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린다.
임종국상은 ‘친일청산’, ‘역사정의 실현’, ‘민족사 정립’이라는 선생의 높은 뜻과 정신을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올바르게 계승하고 있는 개인과 단체를, 학술·문화와 언론·사회 두 부문에서 선정해 수여한다. 2005년부 |
▲ 제4회 임종국상 심사회의 모습
| |
▲ 제4회 임종국상 심사회의를 마치고
| |
터 매년 수상자를 배출하였으나 2008년과 2009년도는 친일인명사전 편찬과 관련한 주관단체의 사정으로 시상이 중지되었으며 올해가 네 번째이다.
제4회 임종국상 수상후보 심사는 10월 18일 예심에서 3배수가 추천되었으며, 10월 26일 1차 본심을 거쳐 11월 3일 2차 본심에서 수상자가 최종 결정되었다. 본심 심사위원으로는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 소설가 조정래 선생, 언론인 주섭일 선생, 함세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등이 참여했다.
|
관련기사 |
| |
본심 심사위원들은 각 부문별로 추천된 후보자들에 대해서 2차에 걸친 열띤 토론 과정을 거쳐 수상자를 결정하였는데, 치열한 경합 끝에 학술부문에 문준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사회부문에 야노 히데키강제병합100년공동행동 일본실행위원회 사무국장이 최종 선정되었다.
학술부문 수상자인 문준영 교수는, 법제사 전공자로서 대한제국기·일제강점기·미군정기를 아우르는 한국사 |
법의 형성과정과 검찰 중립 등 사법 민주화에 대한 연구논문을 집중적으로 발표해 왔으며, 민주주의법학연구회에 참여하면서 사법개혁에도 관심을 기울여 왔다. 특히 수상저서인 『법원과 검찰의 탄생』은 방대한 양의 근·현대 문헌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분석한 역작으로, 한국 사법의 관료적 폐해와 비민주성의연원이 일제 식민지시기에 있음을 논증하였으며, 나아가 사법개혁과 법조 민주화의 대안까지 제시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회부문 수상자인 야노 히데키 씨는 오랜 기간 한일과거사 청산운동의 최일선에서헌신해 온 일본의 시민운동가이다. 1970년대 학생운동, 1980년대 노동운동을 거쳐1990년대부터 15년간에 걸쳐 일본 내 전후청산운동에 진력하였다. 특히 징병·징용· |
▲ 학술부문 수상자 문준영 부산대 교수
| | |
▲ 사회부문 수상자 야노 히데키 사무국장
| |
일본군‘위안부’ 등 일제하 강제동원피해자에 대한 진상규명활동·소송지원·위령사업·보상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야스쿠니신사 반대 캠페인과 강제병합100년공동행동 등 국제연대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여 일본 사회에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에 대한 반성 여론을 불러일으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심사위원회는 문준영 교수의 수상자 선정에 대해 오늘날 사법부 특히 검찰의 현실과 관련하여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야노 히데키 씨의 경우 현직 공무원으로서 또 우익의 위협이 엄존하는 열악한 여건 속에서 이루어진 진정한 반성에 기초한 실천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 |
제4회 임종국상 시상식 때 : 2010년 11월 10일(수) 오후 7시 곳 : 한국언론재단 19층 기자회견장
문의 : 민족문제연구소 02-969-0226 www.minjok.or.kr |
| |
▲ 임종국상 역대 수상자 |
회 |
분야 |
수상자 |
대표 저서, 작품, 주요활동 |
1회 2005 |
학술 |
김경현 |
일제강점기 인명록 I - 진주지역 관공리·유력자 |
언론 |
정길화 |
‘이제는 말할 수 있다’-친일파 3부작 |
사회 |
김영만 |
경남지역 친일청산 운동 | |
2회 2006 |
학술 |
허수열 |
개발없는 개발-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 |
언론 |
이은희 |
‘일제문화잔재 60년’ 8부작 |
사회 |
최용규 |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제정과 ‘독립유공자 피탈재산의 회복 및 보상에 관한 특별법’ 발의 주도 | |
3회 2007 |
학술 문화 |
이재명 |
근대 희곡·시나리오선집 전9권 |
사회 언론 |
길윤형 |
야스쿠니신사 문제 심층 보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