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의 원유생산 향방 및 시사점
ㅁ [현황] OPEC 원유생산은 '22년 10월부터 시작된 감산정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최근 27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하고, OPEC의 생산목표도 큰 폭으로 하회
ㅇ OPEC의 1월 원유생산은 일일 2,657만배럴로 전월보다 49만배럴 감소.
이는 '21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OPEC이 설정한 생산목표를
200만배럴 이상 하회
※ OPEC은 국제유가 부양을 위해 '22년 10월 ~ 금년 1분기까지 6회에 걸쳐 감산을 발표.
동 감산에는 생산목표의 하향 뿐만 아니라 자발적 감산(생산목표는 유지)도 포함되어 있어
최근 원유생산이 생산목표를 크게 하회
ㅁ [OPEC 감산정책] OPEC은 러시아 등과 함께 금년말까지 감산을 지속할 계획이나 자발적 감산
종료(3월말) 이후 감산정책의 방향을 놓고 불협화음이 노출될 가능성
ㅇ OPEC은 작년 6월에 이미 금년말까지의 생산목표를 발표하며 감산정책을 3년 연속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표명(※금년 생산목표는 작년말 대비 일일 -25만배럴)
ㅇ OPEC은 4월 이후의 자발적 감산에 대해 ?연장 ?중단 ?확대 등을 놓고 조만간 결론을
내리겠으나 그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노출되고 감산 추동력이 약화될 소지
- 자발적 감산을 ‘연장’할 가능성이 우세. 하지만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어 합의가
지연될 가능성도 상존하며, 이 경우 사우디 단독으로 자발적 감산을 이어갈 소지
ㅁ [산유국 생산경쟁] 감산정책 지속에 따른 산유국의 부담이 커지고 있어 OPEC 회원국별로
증산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기 곤란. 이럴 경우 미국 셰일붐과 더불어 산유국 간 증산 경쟁이
가시화될 소지
ㅇ 지난해 OPEC 감산 합의는 사실상 무산된 경우(※감산 반발로 앙골라는 탈퇴 결정)가 많았으며,
금년에도 생산목표 상향을 요구하는 회원국들의 저항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
ㅇ ▲美ㆍ캐나다ㆍ브라질 등의 원유생산 호조 ▲러시아의 中ㆍ印 시장 점유율 잠식
▲이란(감산 면제)과 앙골라의 증산 전망 등도 OPEC의 감산정책 지속에 걸림돌 요인
ㅇ 감산을 통해 국제유가를 끌어올림으로써 재정수입을 늘리려는 OPEC의 전략이
시장 점유율 하락이라는 역풍을 맞이함에 따라 연내 증산으로 선회하는 회원국이 나타날 소지
ㅁ [시사점] 국제유가는 주요국 금리인하, 세계 원유수요 회복 기대 등으로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나, OPEC 등 산유국의 생산경쟁이 촉발될 경우
국제유가의 상승폭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