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 이수페타시스 [BUY, TP 75,000원]
: AI 가속기에 더해지는 네트워크 모멘텀
1) 2Q24 영업이익 275억원, 사실상 어닝 서프라이즈
2Q24 연결 매출액 2,047억원(+3% QoQ, +25% YoY), 영업이익 275억원(+20% QoQ, +51% YoY), opm 13.4%로 시장 기대치(250억원) 및 당사 추정치(260억원) 상회
2Q에 반영된 재고평가손실 제외 시 영업이익은 약 310억원으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
1Q에 이어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믹스 개선 지속. 특히 G사향 6세대 TPU용 공급이 확대되며 국내 페타시스의 Blended ASP는 +7% QoQ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당사 기대치를 17% 상회
AI 가속기용 매출액 비중은 45%(+5%p QoQ)로 확대됐으며, 중국 후난 법인의 중다층 이상의 고부가제품 비중 또한 71%로 전분기 수준(70%) 유지
한편 미국 법인은 소폭의 적자를 기록했으나, 2Q에 인력 및 생산 라인 효율화 완료. 2H24부터 opm 40% 수준의 안정적인 손익 구조를 갖출 전망
2) 2H24, 800G 제품 양산으로 네트워크 모멘텀 강화
3Q24 연결 매출액 2,168억원(+6% QoQ, +30% YoY), 영업이익 346억원(+26% QoQ, +163% YoY)으로 시장 기대치(338억원) 부합 예상
3Q부터 일부 Capa 증설 효과가 반영되며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 2H24에도 고부가 제품 공급을 확대하며 믹스 개선이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800G 스위치용 제품 양산 효과가 본격화될 전망
주요 네트워크 고객사들이 800G 출하 확대를 앞두고 있어 동사의 수혜가 이어질 것으로 판단. 더불어 2H24에 중국 후난 법인의 G사향 신규 공급이 예상되고, 미국 법인은 운영 효율화 효과에 힘입어 손익이 대폭 개선될 것
동사의 영업이익은 2024년 1,262억원(+103% YoY), 2025년 2,055억원(+63% YoY)으로, 향후 수 년간 최대 실적 랠리가 이어질 전망
3)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 부각될 것. 업종 Top Pick 유지
주가는 12개월 Forward P/E 18.6배로 고점 대비 33% 하락했으나, AI 가속기 등 동사의 고부가 제품용 실적은 예상치를 상회 중
2H24부터는 AI 가속기뿐 아니라 네트워크 제품의 모멘텀이 강화된다는 점에 주목
특히 향후 AI 가속기 및 네트워크용 고부가 제품은 다중적층 및 HDI 신공법 등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며 동사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판단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5,000원 및 업종 Top Pick 유지.
▶️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093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