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다음 중 체심입방격자에 해당하는 금속으로만 이루어진 항은?
가. Al, Pb
나. Mg, Cd
다. Cr, Mo
라. Cu, Zn
2. 다음 강의 표면 경화법 중 물리적인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가. 침탄법
나. 금속 침투법
다. 화염 경화법
라. 질화법
3. 7.3 황동이란?
가. 구리 70% , 주석 30%
나. 구리 70% , 아연 30%
다. 구리 70% , 니켈 30%
라. 구리 70% , 규소 30%
4. 마그네슘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비중이 1.74 로서 실용금속 중 가벼운 금속이다.
나. 표면의 산화마그네슘은 내부의 부식을 방지한다.
다. 산, 알칼리에 대해 거의 부식되지 않는다.
라. 망간의 첨가로 철의 용해작용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5. 다음 그림과 같은 용접의 인장응력 계산식은? (단, W : 인장하중(㎏f), ℓ : 용접부 길이(㎜), t : 용접부 목 두께(㎜), σ : 인장응력(㎏f/㎟)이다.)
6. 두 축의 회전방향이 같으며, 높은 감속비의 경우에 쓰이며, 원통의 안쪽에 이가 있는 기어는?
가. 내접 기어
나. 하이포이드 기어
다. 크라운 기어
라. 스퍼 베벨 기어
7. 모듈이 같은 두 기어가 외접하여 서로 물려 있다. 두 기어의 잇수가 30, 50 이고 축간거리가 80㎜ 일 때, 모듈은?
가. 4
나. 3
다. 2
라. 1
8. 탄소 공구강이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가. 열처리성이 양호할 것
나. 내마모성이 클 것
다. 고온 경도가 클 것
라. 내충격성이 작을 것
9. 평행한 두 축 사이에서 외접하거나 내접하는 2개의 원통형 바퀴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가. 홈붙이 마찰차
나. 원뿔 마찰차
다. 원통 마찰차
라. 변속 마찰차
10. 합금강에서 0.28∼0.48 %의 탄소강에 약 1∼2 %의 Cr을 첨가하여 Cr에 의한 양호한 담금질성과 뜨임 효과로 기계적 성질을 개선한 구조용 합금강은?
가. Ni-Cr 강
나. Cr 강
다. Ni-Cr-Mo 강
라. Cr-Mo 강
11. 푸아송의 비(poisson's ratio)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탄성 한도 이내에서는 일정한 값을 가진다.
나. 주철의 푸아송의 비가 납보다 크다.
다. 푸아송의 수와 역수 관계에 있다.
라. 가로 변형률과 세로 변형률과의 비이다.
12. 나사 곡선을 따라 축의 둘레를 한 바퀴 회전하였을 때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가. 나사산
나. 피치
다. 리드
라. 나사홈
13. 다음 중 캠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판 캠
나. 직동 캠
다. 반대 캠
라. 구름 캠
14. 응력의 단위를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가. kgf/㎣
나. ㎨
다. kgf.㎜
라. N/㎟
15. 원동차의 직경이 100㎜, 종동차의 직경이 140㎜, 원동차의 회전수가 400rpm일 때 종동차의 회전수는?
가. 300 rpm
나. 200 rpm
다. 560 rpm
라. 286 rpm
16. 드릴 1회전 하는 동안에 이송거리 s = 0.05 ㎜ 라 하고 드릴 끝 원뿔의 높이 h = 1.6㎜ , 구멍의 깊이 t = 25㎜라 하면 이 구멍을 뚫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단, 절삭속도 ν = 50 m/min 드릴지름 d = 12 ㎜ 이다.)
가. 약 0.12 분
나. 약 0.8 분
다. 약 0.4 분
라. 약 1 분
17. 호브(래크)를 사용하여 기어(피니언)소재에, 인벌류트 치형을 정확히 가공할 수 있는 방법은?
가. 형판법
나. 성형법
다. 오돈토 그래프
라. 창성법
18. 래핑작업에 사용하는 랩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탄화규소
나. 산화철
다. 산화크롬
라. 흑연가루
19. KS규격에서 물체를 측정할 때, 표준 온도는?
가. 16℃
나. 20℃
다. 24℃
라. 36.5℃
20. 극압유는 절삭 공구가 고온 고압 상태에서 마찰을 받을 때 사용하는데, 이 극압유의 극압 첨가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가. S
나. Cr
다. Pb
라. P
21. 선반의 절삭력을 전달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자중, 절삭저항, 회전력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은?
가. 본체
나. 안내면
다. 바이트
라. 스핀들
22. 드릴을 연삭하면 웨브의 두께가 두꺼워져 절삭성이 나빠진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하는 작업은?
가. 시닝(Thinning)
나. 드레싱(Dressing)
다. 트루잉(Truing)
라. 그라인딩(Grinding)
23. 밀링작업에서 하향 밀링가공이란?
가. 공작물의 밑면을 깎는 것이다.
나. 커터의 회전방향과 공작물의 이송방향이 반대인 것을 말한다.
다. 커터의 회전방향과 공작물의 이송방향이 같은 것을 말한다.
라. 커터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이송을 주는 것이다.
24. 선반 작업 중 일감 1회전당 바이트가 이동되는 거리를 나타내는 것은?
가. 이송(㎜/rev)
나. 절삭속도(m/min)
다. 회전수(rpm)
라. 절삭깊이(㎜)
25. 밀링작업의 안전관리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정면커터 작업시에는 칩이 튀므로 칩 커버를 설치한다.
나. 가공 중에 가공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므로 얼굴을 가까이 대고 본다.
다. 절삭가공 중에는 브러쉬로 칩을 제거하지 않는다.
라. 절삭공구나 공작물을 설치할 때에는 전원을 끄고 작업한다.
26. 다음 보기의 도면과 같이 40 밑에 그은 선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가. 기준치수
나. 비례척이 아닌 치수
다. 다듬질치수
라. 가공치수
27. 그림과 같이 3각법에 의한 투상도의 평면도와 측면도가 있을 때 이 투상도에 맞는 겨냥도는?
28. 축의 도시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가. 축은 주로 길이방향으로 단면도시를 한다.
나. 긴축은 중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린다.
다. 모따기는 각도와 폭을 기입한다.
라. 45° 모따기의 경우 C 로 표시할 수 있다.
29. 다음 CAD 시스템의 입/출력의 장치 중 출력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가. 마우스(mouse)
나. 스캐너(scanner)
다. 하드 카피(hard copy)
라. 태블릿(tablet)
30. 다음 중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 모델링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wire frame modelling)
나. 서피스 모델링(surface modelling)
다. 솔리드 모델링(solid modelling)
라. 시스템 모델링(system modelling)
31. 외접 헬리컬 기어의 주투상도(측면도)를 단면으로 도시할 때 잇줄 방향은 어떻게 도시하는가?
가. 2개의 가는 2점쇄선
나. 3개의 가는 2점쇄선
다. 2개의 가는 실선
라. 3개의 가는 실선
32. V벨트 풀리의 호칭이 도면에 다음과 같이 기입되어 있다. 잘못 설명된 것은?
KS B 1403 250 A1 II 40H8
가. 250 : 호칭지름
나. A1 : 풀리의 종류
다. II : 등급
라. 40H8 : 보스의 구멍가공 치수
33. 다음은 CAD System의 구성과 그들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안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가. CPU
나. RAM
다. Register
라. Accumulator
34. 동력전달이 가장 원활한 나사로 공작기계의 수치제어용으로 많이 쓰이는 나사는?
가. 미터나사
나. 사다리꼴나사
다. 둥근나사
라. 볼나사
35. 핸들의 암(arm), 주물품의 리브(rib)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시법으로 적합한 것은?
가. 전 단면도
나. 부분 단면도
다. 한쪽 단면도
라. 회전도시 단면도
36. 컴퓨터 시스템에서 정보를 기억하는 최소단위인 정보단위는 어느 것인가?
가. 비트(bit)
나. 바이트(byte)
다. 워드(word)
라. 블럭(block)
37. 공학적인 해석을 할 때 사용되는 여러 가지 물리적 성질(무게중심, 관성모멘트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링은?
가. 솔리드 모델링
나. 서피스 모델링
다.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라. 시스템 모델링
38. 리벳의 도시법으로 옳은 것은?
39. "∅100 H7/g6"은 어떤 끼워맞춤 상태인가?
가. 구멍 기준식 중간 끼워맞춤
나. 구멍 기준식 헐거운 끼워맞춤
다. 축 기준식 억지 끼워맞춤
라. 축 기준식 중간 끼워맞춤
40. 개스킷, 박판, 형강 등과 같이 두께가 얇은 것의 절단면 도시에 사용하는 선은?
가. 가는 실선
나. 굵은 1점 쇄선
다. 가는 2점 쇄선
라. 아주 굵은 실선
41. 구의 지름을 나타내는 치수 보조기호는?
가. 잉
나. C
다. S잉
라. R
42. 다음 도면에서 전체 길이를 표시하고 있는 (A)부의 치수는?
가. 1020
나. 1080
다. 1170
라. 1220
43. 호칭지름이 50㎜, 피치 2㎜인 미터 가는 나사가 2줄 왼나사로 암나사 등급이 6일 때 KS나사 표시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가. 좌 2줄 M50×2 6H
나. 좌 2줄 M50×2 6g
다. 왼 2N M50×2 6H
라. 왼 2N M50×2 6g
44. 다음 표면거칠기의 표시에서 C가 의미하는 것은?
가. 주조가공
나. 밀링가공
다. 가공으로 생긴 선이 무방향
라. 가공으로 생긴 선이 거의 동심원
45. 다음 기어의 쌍 중 회전 가능한 쌍은?
가. 잇수 = 100, 피치원의 지름 = 400과 잇수 = 80, 피치원의 지름 = 320
나. 잇수 = 80, 피치원의 지름 = 320과 잇수 = 70, 피치원의 지름 = 210
다. 잇수 = 60, 피치원의 지름 = 320과 잇수 = 80, 피치원의 지름 = 320
라. 잇수 = 100, 피치원의 지름 = 400과 잇수 = 50, 피치원의 지름 = 300
46. 상하 또는 좌우 대칭인 물체는 1/4을 떼어 낸 것으로 보고, 기본 중심선을 경계로 하여 1/2은 외형 1/2은 단면으로 동시에 나타내는 단면 도법은?
가. 전 단면도
나. 한쪽 단면도
다. 부분 단면도
라. 회전 단면도
47. CAD 시스템을 이용한 설계에서 얻을 수 있는 좋은 점이 아닌 것은?
가. 설계의 표준화
나. 설계오류 증가
다. 설계시간 단축
라. 도면품질 향상
48. 컴퓨터의 처리 속도 단위 중 가장 빠른 시간 단위는?
가. ㎳
나. ㎲
다. ㎱
라. ㎰
49. 다음은 리벳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리벳은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한다.
나. 리벳을 크게 도시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리벳구멍을 약도로 도시한다.
다. 리벳의 체결 위치만 표시할 경우에는 중심선만을 그린다.
라. 같은 위치로 연속되는 같은 종류의 리벳 구멍을 표시할 때는 피치의 수 × 피치의 간격 = (합계 치수)로 기입할 수 있다.
50. 다음 평벨트 풀리의 도시 방법으로 맞는 것은?
가. 암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다.
나. 벨트 풀리는 축 직각 방향의 투상을 정면도로 한다.
다. 암의 단면 모양은 도형의 안이나 밖에 회전 단면을 하여 도시하지 않는다.
라. 암의 테이퍼 부분 치수를 기입할 때 치수 보조선은 경사선으로 그어서는 안 된다.
51. 다음 기하 공차 중에서 자세 공차에 해당하는 것은?
가. - : 진직도 공차
나. ⊥ : 직각도 공차
다. ◎ : 동심도 공차
라. ↗ : 원주 흔들림 공차
52. CAD시스템의 3차원 모델링 중 서피스 모델링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가. 은선 처리가 가능하다.
나. 물리적 성질을 계산할 수 있다.
다. 단면도 작성을 할 수 있다.
라. NC가공 데이터 생성에 사용된다.
53. 도면이 구비하여 할 요건이 아닌 것은?
가. 적합성,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
나. 국제성이 있어야 한다.
다. 표현상 명확한 뜻을 가져야 한다.
라. 가격, 유통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54. 도면의 폭과 길이의 비는?
55. 호칭지름 40㎜, 피치가 7㎜인 미터 사다리꼴 왼나사의 표시 방법은?
가. TM40×7LH
나. Tr40×7LH
다. TM40×7H
라. Tr40×7H
56. 스프링의 코일 중간 부분을 생략도로 그릴 경우 생략 부분은 어느 선으로 표시하는가?
가. 가는실선
나. 가는 2점 쇄선
다. 굵은실선
라. 은선
57. 다음 중 치수 기입의 원칙으로 틀린 것은?
가. 치수는 선에 겹치게 기입해서는 안 된다.
나. 치수는 되도록 계산이 필요하게 기입한다.
다. 치수는 되도록 정면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라. 치수는 중복기입을 피한다.
58. 절단면 및 파단면을 나타낼 목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가는실선을 그어서 표시하는 것은?
가. 3차원 그믈망
나. 스머징
다. 해칭
라. 빗줄
59. 다음 겨냥도에서 화살표방향을 정면도로 할 때 제3각법 투상의 우측면도로 알맞은 것은?
60. 물체의 표면에 기름이나 광명단을 칠하고 그 위에 종이를 대고 눌러서 실제의 모양을 뜨는 스케치 방법은?
가. 모양 뜨기 방법
나. 프리핸드법
다. 사진법
라. 프린트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