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텃밭재배캘린더

2. 텃밭작물(모종부터 시작하는 텃밭정원용 식물이름표,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 첨부화일 참조



170613 모종부터 시작하는 텃밭정원 식물이름표_정순진_홈페이지용.pdf
3. 농사용어
[텃밭]
- 고랑 : 종자를 뿌리거나 모종을 심는데 이때 아래로 움푹 들어간 부분
- 두둑 : 밭가의 지경을 이루어 두두룩한 곳. 논, 밭을 갈아 골을 타서 만든 우뚝한 부분
- 이랑 : 밭가의 지경을 이루어 두두룩한 곳. 논, 밭을 갈아 골을 타서 만든 우뚝한 부분
- 복토(흙덮기) : 씨앗을 뿌린 다음 씨앗이 싹을 틔우기 위해 필요한 수분을 간직하고 비, 바람에 씨앗이 날아가 버리는 것을 막기위해 덮는 흙과 그러한 일
- 멀칭 : 농작물을 재배할 때 경지토양의 표면을 덮어주는 일
[씨앗]
- 파종(점뿌림) :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자를 1~수립씩 띄엄띄엄 파종하는 방식
- 파종(줄뿌림) : 호미로 홈을 줄 긋듯이 파서 죽 심는 방법
- 파종(흩어뿌림) : 종자를 흩어뿌리는 것.
- 발아 : 씨앗이 싹을 틔우는 것
- 실생 : 종자에서 발아하여 생긴 유식물, 배축, 어린 뿌리, 떡잎, 어린줄기, 어린싹
- 채종 : 씨앗을 골라서 따는 것, 종자를 채취
- 휴면 : 성숙한 종자 또는 식물체에 적당한 환경조건을 주어도 일정기간 발아·발육·성장이 일시적으로 정지해 있는 상태
[작물]
- 모종 : 옮기어 심기 위하여 가꾼 씨앗의 싹
- 곁순 : 식물의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는 싹
- 곁순자르기 : 본줄기 혹은 잎이 잘 자라게 하기 위하여 곁순을 따 주는 것
- 순 : 식물의 어린 싹
- 순지르기 : 햇가지의 선단을 잘라 주는 것
- 삽목(꺽꽂이) : 식물의 영양기관인 가지나 잎을 잘라낸 후 다시 심어서 식물을 얻어내는 재배 방식으로 무성생식에 속한다
- 정식(아주심기) : 식물이나 작물을 이전에 자라던 곳에서 수확할 때까지 재배할 곳에 옮겨 심는 것
- 결구 : 호배추나 배추 따위의 채소 잎이 여러 겹으로 겹쳐서 둥글게 속이 드는 일
- 덩굴손 : 덩굴식물이나 줄기있는 식물의 가지나 잎이 변하여, 식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얽히고 서로 감기는 형태로 된 것
- 도장 :
- 괴근(덩이뿌리) :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 고구마 등
- 괴경(덩이줄기) : 저장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땅속의 줄기, 감자나 튤립 등
- 후작(뒷그루) : 주되는 작물을 수확한 후 다음의 재식기까지의 기간을 이용하여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일
- 밀식(밀생, 배다) : 씨를 뿌리거나 어린 모종을 옮겨 심을 때 촘촘하게 심는 것
- 솎아내기 : 식물의 밀도를 줄여 나머지가 더 잘자라게 줄이는 과정
- 윤작(돌려짓기) : 한 경작지에 여러 가지의 다른 농작물을 돌려가며 재배하는 경작법
- 연작 : 한 땅에 같은 작물을 해마다 계속해서 재배하는 것
- 간작(사이짓기) : 어떤 작물의 이랑이나 포기 사이에 한정된 기간 동안 다른 작물을 심는 일
[기타]
- 밑거름(기비) : 작물을 파종 ·이앙 및 이식하기 전에 시용하는 비료
- 웃거름(덧거름, 추비) : 씨앗을 뿌린 뒤나 또는 옮겨 심은 뒤에 농작물이 자라고 있는 중에 주는 거름
- 액비(액체비료) : 액체상태의 비료
- 유기질비료 : 식물질 및 동물질비료의 총칭. 어분, 골분, 누에번데기. 깨묵, 콩깨묵, 계분, 가공비료 등이 포함됨
- 퇴비(두엄) : 짚·잡초·낙엽 등을 퇴적하여 부숙시킨 비료
- 유기농 : 화학비료나 농약을 최소 3년 이상 사용하지 않은 땅에서 재배한 성분으로 만든 제품
- 갈무리 : 가을걷이한 곡식이나 채소를 식량과 종자로 쓰기 위해 잘 챙겨 간수하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