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질빈빈(文質彬彬)
외견이 좋고 내용이 충실하여 잘 조화를 이른 상태를 뜻한다.
文 : 무늬 문(文/0)
質 : 바탕 질(貝/8)
彬 : 빛날 빈(彡/8)
彬 : 빛날 빈(彡/8)
출전 : 논어(論語) 第6 옹야(雍也)
문(文)은 겉으로 드러나는 아름다운 장식, 태도(態度), 학식(學識)을 가리킨다. 질(質)은 내면의 인격(人格), 실질(實質)을 말한다.
빈빈(彬彬)은 잘 조화(調和)를 이루어 균형(均衡)이 잡힌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이다. 즉, 외관과 내면이 적당하게 조화(調和)를 이뤄야 진실(眞實)한 교양인이라 이를 수 있다.
논어금독에서 공자가 말하였다. “본바탕(本質)이 교양(敎養)을 능가하면 야비하게 되고, 교양이 본바탕을 능가하면 가식적(假飾的)이게 된다. 본바탕과 교양이 조화를 이룬 후에야 비로소 군자가 된다(文質彬彬, 然後君子).”
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 彬彬然後, 君子.
문채는 여기에서 각종 예절, 의식을 가리킨다. 오늘날 어떤 사람은 호방하게 아무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말이 직설적이어서 거친 데로 빠지고, 어떤 사람은 공경하고 공손하며 태도가 엄숙한데 도리어 고지식한 데로 빠진다.
문채와 질박함이 알맞게 결합된 군자의 외적 풍모를 갖추기는 쉽지 않고, 내적인 문채와 질박함을 조화시키기는 더욱 어렵다.
문채는 또한 어떤 형식주의, 문서주의, 세세한 틀, 화려한 장식으로, 보기에는 매우 좋지만 사실은 한없이 진부한 판박이라 말할 수 있다.
다음은 이상국 시인의 ‘사야(史野), 허울과 바탕에 관하여’의 글이다.
(前略)
공자가 이 문제를 거론한 것은 글쓰기에서였다. 바탕(質)이 허울(文)보다 앞서면 거칠어진다(質勝文則野). 표현하고자 하는 뜻이 아무런 장식 없이 노출되면 글이 거칠어진다.
허울도 필요하다는 얘기이다. 글을 쓰는 기교를 무조건 배격할 것이 아니라 바탕을 잘 표현해내는 솜씨가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또 허울이 바탕을 앞서면 사(史)해진다(文勝質則史). 사(史)는 역사를 기록하는 사람들의 글쓰기를 꼬집은 말로 화사한 말로 잘 꾸며내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식으로 표현하자면 '번드르르해진다'에 해당할 것이다.
공자는 문(文)과 질(質)이 둘 다 잘 갖춰져 함께 빛나는 것이(彬彬), 훌륭한 글이라고 말했다.
문질빈빈의 생각은 내용만을 중시하고 기교를 배격하는 것도 옳지 않고, 내용보다 기교에만 치중하는 태도도 옳지 않다는 것을 천명한 것이다.
추사는 어느 날 '사야(史野)' 두 글자를 썼다. 내용도 중요하지만 형식도 중요하다는 얘기다. 글은 깊이를 담아야 하지만 주의를 기울여 제대로 쓰는 것도 중요하다.
▶️ 文(글월 문)은 ❶상형문자로 攵(문)의 본자(本字)이다. 사람 몸에 ×모양이나 心(심)자 꼴의 문신(文身)을 한 모양이다. 살갗에 바늘로 찔러 먹물이나 물감 등으로 글씨나 그림이나 무늬를 들이는 것을 문신이라 하고, 형벌로서 하는 수도 있지만 축하(祝賀)하는 표로도 하였다. 나중에 '무늬', '글자', '학문', '문화' 따위의 뜻에 쓰였다. ❷상형문자로 文자는 '글'이나 '문장'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文자는 양팔을 크게 벌린 사람을 그린 것이다. 그런데 文자의 갑골문을 보면 팔을 벌리고 있는 사람의 가슴에 어떠한 문양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몸에 새긴 '문신'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文자의 본래 의미는 '몸에 새기다'였다. 그러나 文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문서'나 '서적'과 같이 글을 새겨 넣은 것과 관련된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文자가 이렇게 글자나 서적과 관계된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지금은 여기에 糸(실 사)자를 더한 紋(무늬 문)자가 '무늬'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文자는 부수로 지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용한자에서는 관련된 글자가 없다. 그래서 文(문)은 (1)문장(文章) (2)무(武)에 대하여 학문, 학예, 문학, 예술 등을 이르는 말 (3)어떤 명사 아래에 쓰이어 문서, 문장(글)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4)신발의 치수의 단위 (5)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글월, 문장(文章) ②어구(語句; 말의 마디나 구절), 글 ③글자 ④문서(文書) ⑤서적(書籍), 책 ⑥문체(文體)의 한 가지 ⑦채색(彩色), 빛깔 ⑧무늬 ⑨학문(學問)이나 예술(藝術) ⑩법도(法道), 예의(禮義) ⑪조리(條理) ⑫현상(現狀) ⑬산문(散文) ⑭결, 나뭇결 ⑮얼룩, 반점(半點) ⑯돈의 한 가지, 그 돈의 개수를 나타내는 말 ⑰신발의 치수의 단위 ⑱아름다운 외관(外觀) ⑲주문왕의 약칭(略稱) ⑳빛나다, 화려하다 ㉑아름답다, 선미(鮮美)하다 ㉒몸에 새기다 ㉓꾸미다 ㉔입묵(入墨)하다, 자자(刺字)하다 ㉕어지러워지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책 책(冊), 글 서(書), 글 장(章), 문서 적(籍),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호반 무(武), 말씀 언(言)이다. 용례로는 생각이나 느낌이나 사상 등을 글로 표현한 것을 문장(文章), 글자나 숫자 따위로 일정한 뜻을 나타낸 것을 문서(文書), 공적인 성격을 띤 문서나 서류를 문건(文件), 좋은 글을 가려서 뽑음을 문선(文選), 옛날의 제도나 문물을 아는 데에 증거로 되는 기록이나 서적을 문헌(文獻), 글의 성분들이 서로 맺고 있는 관계를 문맥(文脈), 글의 구절을 문구(文句), 글을 짜고 꾸미는 법칙을 문법(文法), 글을 볼 줄도 쓸 줄도 모름을 문맹(文盲), 살갗을 바늘로 찔러 먹물이나 다른 물색을 넣음 또는 그렇게 만든 몸을 문신(文身), 한 사람의 시문을 모아서 엮은 책을 문집(文集), 서재에 꼭 있어야 할 네 벗 즉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을 일컫는 말을 문방사우(文房四友), 전문식과 무략을 다 갖추고 있음을 이르는 말을 문무겸전(文武兼全), 문화의 모든 산물이 서로 오고 감을 일컫는 말을 문물교류(文物交流), 남의 글이나 저술을 베껴 마치 제가 지은 것처럼 써먹는 사람을 일컫는 말을 문필도적(文筆盜賊), 허물도 꾸미고 잘못도 꾸민다는 뜻으로 잘못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뉘우침도 없이 숨길 뿐 아니라 도리어 외면하고 도리어 잘난 체함을 일컫는 말을 문과식비(文過飾非), 까막눈인 사람들을 가르쳐 글 모르는 이가 없도록 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문맹퇴치(文盲退治), 문장이 썩 잘 되어서 한 점도 가필할 필요가 없을 만큼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을 문불가점(文不加點), 문도 번거롭고 예도 번거롭다는 뜻으로 규칙이나 예절이나 절차 따위가 번거롭고 까다로움을 일컫는 말을 번문욕례(繁文縟禮), 가난한 사람은 농사 짓느라고 여가가 없어 다만 삼동에 학문을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를 겸손히 이르는 말을 삼동문사(三冬文史), 유교를 어지럽히는 도적이라는 뜻으로 교리에 어긋나는 언동으로 유교를 어지럽히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사문난적(斯文亂賊), 어떤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기는 어렵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창업수문(創業守文), 용과 같이 위엄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나 실은 물고기라는 뜻으로 옳은 듯하나 실제는 그름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어질용문(魚質龍文) 등에 쓰인다.
▶️ 質(바탕 질, 폐백 지)은 형성문자로 貭(질)의 본자(本字), 貭(질), 貭(지), 贄(지)와 통자(通字), 质(질), 质(지)는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조개 패(貝; 돈, 재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斦(은, 질)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斦(은, 질)은 날붙이를 두 개 가지런히 한 모양으로, 나무나 풀을 자르는 도구(道具)에서 잘라서 가지런히 하는 일을 뜻하고, 貝(패)는 돈이나 물건을 뜻한다. 質(질)은 물건과 비등한 돈을 빌리다, 인질(人質), 성질(性質) 따위의 뜻으로도 쓰인다. 그래서 質(질, 지)은 (1)타고 난 성질(性質) 됨됨이의 바탕 천성(天性) (2)어떤 사물의 유용성(有用性), 내용의 좋고 나쁨, 가치(價値), 등급(等級), 속성 따위의 총체 (3)어떤 사물 현상의 본질적인 특성과 속성의 유기적인 통일에 기초한, 그 사물 현상을 다른 대상과 구별하는 특색으로 되어 있는 것 양(量)에 대응하는 말임 (4)논리학(論理學)에서는, 판단이 근정 판단이냐 부정(否定) 판단이냐 하는 차별을 판단의 질이라 한다. 바탕, 바탈, 등의 뜻으로, ①바탕 ②본질(本質) ③품질(品質) ④성질(性質), 품성(稟性) ⑤저당물(抵當物), 저당품(抵當品) ⑥맹세(盟誓) ⑦모양 ⑧소박(素朴)하다, 질박(質樸)하다(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⑨대답하다 ⑩솔직하다 ⑪이루다 ⑫정(定)하다 ⑬저당(抵當)잡히다, 그리고 ⓐ폐백(幣帛)(지) ⓑ예물(禮物)(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성씨 박, 칠 복, 성씨 부(朴), 순박할 박, 나무 빽빽할 복(樸), 바를 정/정월 정(正), 본디 소/흴 소(素), 재물 자(資)이다. 용례로는 의문이나 이유를 캐 물음을 질문(質問), 의심나는 점을 물어서 밝힘을 질의(質疑), 갈피를 잡고 헤아려서 작정함을 질정(質定), 책망하여 바로잡음을 질책(質責), 겉으로 꾸미거나 공교로움이 없음을 질박(質樸), 재질에 따라 달리 느껴지는 독특한 느낌을 질감(質感), 사리의 옳고 그름을 물어서 의논함을 질의(質議), 질박하고 예스러움을 질고(質古), 묻거나 따지거나 하여 바로잡음을 질정(質正), 물건의 본바탕을 물질(物質), 사람이나 동물이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마음의 바탕을 성질(性質), 사물이나 현상에 내재하는 근본적인 성질을 본질(本質), 실상의 본바탕을 실질(實質), 물건의 성질과 바탕을 품질(品質), 질이 달라짐을 변질(變質), 타고난 성품이나 소질을 자질(資質), 몸의 성질이나 몸의 바탕을 체질(體質), 재주와 타고난 바탕을 재질(才質), 바탕을 이루는 성질을 기질(氣質), 사람을 볼모로 잡아 두는 일을 인질(人質), 인질을 서로 바꿈을 교질(交質), 재목의 질을 재질(材質), 땅의 성질이나 흙의 성질을 토질(土質), 물건의 품질이 나쁜 상태에 있는 것 또는 그 질을 저질(低質), 개인의 개성을 특징 짓는 경향과 태도를 소질(素質), 사람으로서의 좋은 바탕이나 물품 따위의 좋은 질을 양질(良質), 부드럽고 연한 성질 또는 그러한 물질을 연질(軟質), 꾸밈없이 착실하고 심신이 건강함을 질실강건(質實剛健), 속은 양이고 거죽은 호랑이라는 뜻으로 거죽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양질호피(羊質虎皮), 얼음같이 투명한 모습과 옥과 같이 뛰어난 바탕이라는 뜻으로 용모와 재주가 모두 뛰어남을 빙자옥질(氷姿玉質), 소나무와 잣나무는 서리를 맞고 더욱더 무성해 진다는 뜻으로 건강한 체질을 이르는 말을 송백지질(松栢之質), 외견이 좋고 내용이 충실하여 잘 조화를 이른 상태를 이름을 문질빈빈(文質彬彬), 용과 같이 위엄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나 실은 물고기라는 뜻으로 옳은 듯하나 실제는 그름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어질용문(魚質龍文) 등에 쓰인다.
▶️ 彬(빛날 빈, 밝을 반)은 회의문자로 份(빈)은 고자(古字)이다. 林(림)과 터럭삼(彡; 무늬, 빛깔, 머리, 꾸미다)部의 합자(合字)이다. 문채와 바탕이 잘 섞이고 조화하여 찬란하다는 뜻이 있다. 그래서 彬(빈, 반)은 ①빛나다 ②아름답고 성(盛)하다(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③겸비(兼備)하다 ④훌륭한 모양 ⑤성(姓)의 하나, 그리고 ⓐ밝다(반) ⓑ선명(鮮明)하다(반) ⓒ또렷하다(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빛날 환(奐), 빛날 엽(曄), 빛날 요(曜), 빛날 화(華), 빛날 요(耀), 빛날 혁(赫), 빛날 휘(輝)이다. 용례로는 문채가 찬란함을 빈울(彬蔚), 외견이 좋고 내용이 충실하여 잘 조화를 이른 상태를 이름을 문질빈빈(文質彬彬)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