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을 씀에 있어서 원고지를 바르게 쓰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그런데 원고지에 대한 사용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물론 학교에서 원고지 쓰는 법을 체계적으로 배우지 않은 까닭도 있겠어요. 원고지에 글을 쓰게되면 띄어쓰기, 줄바꾸기, 문단 나누기 등이 명확해짐으로써 글쓰기가 체계적으로 되었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 한 칸에 한 자씩 쓰되(로마 숫자와 알파벳 대문자, 그리고 낱자로 된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 두 자 이상의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씁니다.
♠ 한 칸에 두 자씩 이어 쓰는 영어나 숫자는 끊어지는 느낌이 들지 않게 써야 됩니다.
♠ 반 칸에 쓸 수 있는 숫자, 알파벳, 문장 부호들이 교차되어 만나면 이들은 서로 성격이 다르므로 각각 적습니다.
헤 |
밍 |
웨 |
이 |
( |
H |
em |
in |
gw |
ay |
, |
E |
rn |
es |
t |
|
M |
il |
le |
r) |
는 |
|
18 |
99 |
년 |
|
7 |
월 |
|
21 |
일 |
|
시 |
카 |
고 |
|
교 |
외 |
의 |
|
오 |
크 |
파 |
크 |
에 |
서 |
|
출 |
생 |
하 |
였 |
다 |
. |
|
|
|
|
|
|
|
♠ 제목은 둘째 줄 중앙에 약간 크게 씁니다. 제목이 길 경우 2∼3줄에 나누어 쓸 수도 있습니다.(대개의 논술문에서는 제목을 쓰지 말라는 유의사항이 나옵니다.)
♠ 이름과 소속은 셋째 . 넷째 줄 우측에 씁니다. 이름과 소속을 2행으로 쓸 경우 맨 우측의 두 칸을 비워 오른쪽 끝을 맞추면 보기 좋습니다. 또 본문은 이름 혹은 소속의 행 아랫줄을 비우고 5행 혹은 6행부터 시작합니다.(대개의 논술문에서는 소속과 성명 등 신원을 알 수 있는 표기를 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삶 |
의 |
|
일 |
관 |
성 |
에 |
|
관 |
하 |
여 |
|
|
|
|
|
|
|
|
|
|
|
|
|
|
|
|
|
홍 |
일 |
고 |
등 |
학 |
교 |
|
|
|
|
|
|
|
|
|
|
|
|
|
|
|
|
|
김 |
지 |
원 |
|
|
|
|
|
|
|
|
|
|
|
|
|
|
|
|
|
|
|
|
|
|
♠ 문단이 시작되거나 바뀔 때에는 반드시 첫 칸을 비웁니다. 앞줄이 다 채워지지 않았더라도 문단이 구분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반드시 줄을 바꾸고 다음 줄의 첫 칸을 비우는 것입니다. 그래서 단락이 바뀌지 않으면, 띄어 써야 하는 경우라도 그것이 첫 칸에 해당할 때에는 띄어 써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첫째, 둘째, 셋째 등으로 전개될 경우에는 제시된 내용을 분명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각 항목마다 매번 첫 칸을 비울 수 있습니다.
|
소 |
설 |
에 |
는 |
|
세 |
|
가 |
지 |
|
의 |
혹 |
된 |
|
바 |
가 |
|
있 |
다. |
|
첫 |
째 |
는 |
|
헛 |
것 |
을 |
|
내 |
세 |
우 |
고 |
|
빈 |
|
것 |
을 |
|
천 |
착 |
하 |
며 |
, |
귀 |
신 |
을 |
|
논 |
하 |
고 |
|
꿈 |
을 |
|
말 |
하 |
였 |
으 |
니 |
지 |
은 |
|
사 |
람 |
이 |
|
의 |
혹 |
이 |
요 |
, |
|
|
|
|
|
|
|
|
|
둘 |
째 |
는 |
|
허 |
황 |
된 |
|
것 |
을 |
|
감 |
싸 |
고 |
|
비 |
루 |
한 |
|
것 |
을 |
|
고 |
취 |
시 |
켰 |
으 |
니 |
|
논 |
평 |
한 |
|
사 |
람 |
이 |
|
의 |
혹 |
♠ 대화는 말하는 사람이 바뀔 때마다 줄을 바꾸고, 둘째 칸에 따옴표를 하고, 셋째 칸부터 씁니다.
|
“ |
아 |
저 |
씨 |
|
술 |
값 |
만 |
|
있 |
다 |
면 |
… |
… |
” |
이 |
라 |
고 |
|
내 |
가 |
|
말 |
했 |
다 |
. |
|
|
|
|
|
|
|
|
|
|
|
|
|
|
“ |
함 |
께 |
|
가 |
시 |
죠 |
.” |
라 |
고 |
|
안 |
도 |
|
내 |
|
말 |
을 |
|
♠ 대화나 인용문 뒤에 이어지는 지문은 글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므로 한 칸을 들여 쓰지만 대화나 인용문 다음에 연결되는 -할, -(라)고, -하고, -하고는, -하기에, -등의, -한다 등 이어받는 말은 다음 줄 첫 칸부터 씁니다.
강 |
아 |
지 |
|
똥 |
은 |
|
할 |
|
말 |
이 |
|
없 |
어 |
졌 |
습 |
니 |
다 |
. |
목 |
안 |
에 |
|
가 |
득 |
|
치 |
미 |
는 |
|
분 |
통 |
을 |
|
억 |
지 |
로 |
|
참 |
습 |
니 |
다 |
. |
그 |
러 |
다 |
가 |
, |
|
|
|
|
|
|
|
|
|
|
|
|
|
“ |
똥 |
이 |
면 |
|
어 |
떠 |
니 |
? |
|
어 |
떠 |
니 |
! |
|
|
|
|
|
|
발 |
악 |
이 |
라 |
도 |
|
하 |
듯 |
|
소 |
리 |
지 |
릅 |
니 |
다 |
. |
눈 |
물 |
이 |
글 |
썽 |
해 |
집 |
니 |
다 |
. |
흙 |
덩 |
이 |
는 |
|
여 |
전 |
히 |
|
빙 |
글 |
거 |
리 |
며 |
, |
|
|
|
|
|
|
|
|
|
|
|
|
|
|
|
|
|
|
|
“ |
똥 |
|
중 |
에 |
서 |
도 |
|
제 |
일 |
|
더 |
러 |
운 |
|
개 |
똥 |
이 |
야.” |
하 |
고 |
는 |
|
용 |
용 |
|
죽 |
겠 |
지 |
|
하 |
듯 |
이 |
|
쳐 |
다 |
봅 |
니 |
다. |
♠ 인용문은 본문과 구분하기 위해 위아래 한 줄씩 비웁니다.
♠ 인용문이나 대화문이 두 줄 이상 계속될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줄마다 인용부호를 쓰지 않으며, 시작되는 행은 두 칸, 다음 행부터는 첫 칸을 비우고 씁니다. 즉, 인용 부분 전체를 한 칸씩 들여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인용 부분과 본문을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또 인용문 내부에서 단락이 바뀌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두 칸을 들여 씁니다. 시를 인용할 땐 한 줄을 비우고 한두 칸을 비우고 쑬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연과 연이 바뀔 때 한 줄을 비웁니다.
|
큼 |
과 |
|
작 |
음 |
의 |
|
차 |
이 |
를 |
|
명 |
확 |
히 |
|
밝 |
히 |
기 |
|
위 |
해 |
|
장 |
자 |
는 |
|
다 |
음 |
과 |
|
같 |
은 |
|
이 |
야 |
기 |
를 |
|
하 |
였 |
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녘 |
|
바 |
다 |
에 |
|
곤 |
( |
鯤 |
) |
이 |
란 |
|
물 |
고 |
기 |
가 |
|
있 |
다 |
. |
그 |
|
몸 |
집 |
은 |
|
몇 |
|
천 |
|
리 |
나 |
|
되 |
는 |
지 |
|
알 |
|
수 |
|
없 |
을 |
|
정 |
도 |
로 |
|
크 |
다 |
. |
그 |
|
물 |
고 |
기 |
♠ 문장 부호도 한 칸씩 차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느낌표(!)나 물음표(?) 등은 한 칸의 가운데에 쓰나, 따옴표(" "), 반점(,), 온점(.) 등은 칸의 구석에 치우치도록 씁니다.
♠ 물음표(?)와 느낌표(!)와 말줄임표(……)다음에는 한 칸을 비우고 글을 쓰며, 그 밖의 문장 부호는 칸을 띄지 않고 씁니다.
|
“ |
아 |
! |
|
정 |
말 |
로 |
, |
너 |
무 |
도 |
|
아 |
름 |
답 |
구 |
나 |
! |
” |
|
“ |
뭐 |
가 |
? |
” |
|
|
|
|
|
|
|
|
|
|
|
|
|
|
♠ 말줄임표(……)와 줄표(―)는 두 칸에 쓰되 세로 줄을 무시하고 자연스럽게 붙여 씁니다.
♠ 줄임표 다음에 쓰는 온점( . ), 반점( , )은 줄임표 마지막 칸에 함께 씁니다.
|
“ |
하 |
지 |
만 |
… |
… |
|
어 |
떻 |
게 |
|
도 |
리 |
야 |
|
있 |
느 |
니 |
라. |
어 |
디 |
|
월 |
급 |
쟁 |
이 |
가 |
|
되 |
드 |
래 |
두 |
, |
두 |
|
식 |
구 |
|
입 |
에 |
|
풀 |
칠 |
이 |
야 |
|
못 |
헐 |
라 |
구 |
… |
…. |
|
|
|
|
|
|
|
|
어 |
머 |
니 |
― |
― |
|
끝 |
까 |
지 |
|
자 |
식 |
편 |
에 |
|
서 |
계 |
셨 |
던 |
분 |
|
는 |
|
어 |
디 |
|
월 |
급 |
|
자 |
리 |
라 |
도 |
|
구 |
할 |
|
생 |
각 |
♠ 문장이 맨 끝 칸에서 끝나면, 구두점은 앞 글자와 같은 칸에 찍거나 칸밖에 찍습니다.
♠ 문장이 끝나 문장 부호가 다음 줄 첫 칸에 와야 할 때에는 그 줄 마지막 칸에서 다 처리해야 합니다. 만약 마땅한 곳이 없으면 원고지 여백에 쓰면 됩니다. 다만 인용문이나 대화문의 따옴표가 짝을 이룰 때에는 다음 줄 첫 칸에 올 수도 있습니다.
|
생 |
명 |
은 |
|
우 |
선 |
하 |
는 |
|
가 |
치 |
라 |
고 |
|
배 |
웠 |
습 |
니 |
다. |
♠ 따옴표(큰따옴표, 작은따옴표)속에서 대화를 마치고 찍는 온점과 반점은 따옴표 부호와 함께 한 칸에 함께 씁니다.
♠ 따옴표(큰따옴표, 작은따옴표)속에서 대화를 마칠 때, 끝에 찍는 물음표(?)와 느낌표(!)와 줄임표(……)는 따옴표 부호와 따로 씁니다.
|
“ |
권 |
선 |
생 |
님 |
, |
저 |
쪽 |
으 |
로 |
|
가 |
실 |
까 |
요 |
? |
” |
|
|
|
“ |
그 |
러 |
시 |
죠 |
.” |
|
|
|
|
|
|
|
|
|
|
|
|
|
|
“ |
물 |
론 |
|
잘 |
|
아 |
시 |
겠 |
지 |
만 |
… |
…. |
” |
|
|
|
|
|
♠ 맨 끝 칸 다음에 띄어쓰기를 할 경우는 난 밖에 ∨표를 하고, 다음 줄 첫 칸은 비우지 않습니다.
♠ 퇴고할 때에 수정하고 싶은 부분이 있을 때에는 아래의 교정부호에 의거하여 수정하시면 됩니다.
♠ 원고 쓰기가 끝나면 '끝'이라 쓰고, 페이지 번호를 매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