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곡목 | 연주자 | 소요시간 | 비고 |
1 | 길놀이 | 청배연희단 | 10 |
|
2 | 창작탈놀이극 ‘왼손이’ | 극단 꼭두광대 | 30 |
|
3 | 가야금병창 ‘새타령, 꽃노래 등’ | 노래: 문수정 외 | 5 |
|
4 | 울림과 청배 | 청배연희단 | 10 |
|
5 | 판소리 ‘흥보가’ | 소리 민혜성, 북: 권은경 | 10 |
|
6 | 대금독주 ‘아름다운 동행’ | 대금: 박진경 | 5 |
|
7 | 여창가곡 중 ‘편수대엽’ | 노래: 김경은 반주: 전통예술단 아우름 | 5 |
|
8 | 대붓 퍼포먼스와 즉흥무 | 대붓: 중리 하상호, 춤: 신미경 | 10 |
|
9 | 시나위 | 전통예술단 아우름 | 10 |
|
10 | 아리랑 민요연곡 | 노래: 문수정, 민혜성, 김경은, 소을소리판 | 10 | MR사용 |
11 | 국악가요 ‘배띄워라, 홀로아리랑, 장타령, 진도아리랑’ | 노래: 오정해 | 20 |
|
12 | 판놀음 | 청배연희단 | 15 |
|
*사회 김지영(극단 꼭두광대)
*특별출연 오정해 (영화 ‘서편제’ 주인공, 제31회 대종상 신인여우상)
*음악구성 전통예술단 아우름(국립국악원 청년공감 최우수작품선정 단체)
*총감독 송영숙(가얏고을 풍류극장 대표)
곡목소개
*꼭두광대의 탈놀이극 ‘왼손이’ 지네에게 잡혀간 할머니를 구하려는 왼손이의 모험이야기 중 할머니의 꾸중을 들은 오른손,이들은 왼손이를 따돌리고, 집채만한 호랭이를 찾아 할머니를 구하는 내용.
*가야금병창 병창(竝唱)은 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하는 방식을 말한다. 오늘은 ‘내 고향의 봄, 꽃타령, 꽃노래’, 등 봄과 자연과 어울리는 소재로 흥겹고 신명나는 가야금병창과 전통예술단 아우름 연주와 함께 어우러지는 무대이다.
*울림과 청배 소나기퍼포먼스와 전통고깔을 쓰고 추는 북춤의 신명나는 깨알재미가 가득한 울림과 무속장단으로 펼치는 타악연주의 향연인 청배작품.
*흥보가 중 첫 박 타는 대목 형제간의 우애를 소재로 다룬 흥보가의 이야기 중 '흥보가 놀보에게 쫓겨나서 가난하지만 착하게 살아가다가 제비의 은혜을 받아 박을 타서 돈과 쌀이 많이 나와 부자가 된다는 대목'을 노래한다. 이 소리는 동편제의 소리로 대마디 대장단의 짜임새가 특징을 가지고 꿋꿋하고 힘이 있는 소리로 구성되어 있다.
*대금 독주 ‘청성곡‘ 대금 정악독주곡의 백미라고 불리는 곡. 청성곡 또는 청성자진한잎을 높고 맑은 소리에 얹어 연주하는 의미로서, 대금특유의 높고 맑은 청소리와 청명한 소리를 아름다운 가락과 선율로 감상할 수 있는 곡이다.
*여창가곡 편수대엽 한국정악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가곡(歌曲) 중 여창가곡 속하며, 여러 가지 꽃들의 심상과 풍류를 노래한 조선시대 김수장의 사설시조로 가곡 중 가장 빠른 속도의 노래로 여창가곡의 특징인 속소리의 청아한 매력을 경쾌하게 감상할 수 있다.
*대붓 퍼포먼스와 즉흥무 우리나라 서예의 대가인 중리 하상호선생의 대붓 퍼포먼스와 신미경의 즉흥무, 전통예술단 아우름의 음악이 어우러지는 악, 가, 무, 서화의 총체적인 무대로서, 대모산의 초록 숲 속과 옛선인들의 서화의 멋스러움을 야외무대에서 대붓 퍼포먼스와 춤, 음악으로 선보이는 작품.
*시나위 남도지방의 굿 반주음악에 바탕을 둔 기악곡, 일정한 장단흐름만을 정해놓고 여러악기가 각각 짜임새 있는 독립적인 가락을 연주하면서 동시에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즉흥곡이다.
*민요연곡 민요는 예로부터 민중들 사이에 불려오던 소박한 노래로 작사작곡자가 따로 없으며 민중들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오는 노래이다. 오늘은 남도민요연곡으로 전라도와 충청도 일부 노래로 다른지역 민요에 비해 아주 극적인 요소가 많고 노래 부를 때 굵은 농음으로 눌러내어 표현을 깊이 나타낸다. 오늘은 흥겨운 남도민요 연곡으로 함께 부르는 무대를 마련하였다.
*국악가요 국악인이며 영화배우 오정해의 특별무대로 대중들이 사랑하는 국악가요중 ‘배띄워라, 홀로아리랑, 장타령 진도아리랑’을 오정해의 소리로 함께 하는 무대.
<배띄워라>는 박범훈곡으로 경기민요 형식의 국악가요로 배를 띄운다는 희망의 의미를 담은 곡이다. <홀로아리랑>은 서유석이 부른 대한민국의 노래이다. 독도를 소재롤 한곡이 작사,작곡,<진도아리랑> 영화 서편제로 잘 알려진곡으로 남도민요를 대표하는 이 곡은 제 2의 아리랑으로도 불린다.<장타령>은 판소리 흥보가의 한 대목으로 각설이타령으로 더 잘 알려진 곡이다.
*판놀음 아슬아슬한 배틀 판굿과 관객 참여형 전통기예의 총집합인 청배 하이라이트 작품
주요출연진
1) 전통예술단 아우름 (가야금 송영숙, 거문고 박소연, 대금 박진경, 아쟁 서준웅, 소리 김경은, 장구 권은경) 서울 강남지역을 기반으로 1995년 창단된 젊은 풍류단체. 한국의 악, 가, 무 총체적인 전통예술을 바탕으로 현시대에 전통 음악이 나아갈 바를 모색하며 매년 국내외에서 수차례 전통음악공연과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2010.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등재기념 축하공연, 2012. 국립국악원 주최' 청년 공감 우수작품 선정', 2013. UN협회 초청공연, 미국, 중국, 일본, 프랑스, 벨기에 등 다수해외공연
2) 극단 꼭두광대 (전통연희 상설공연 창작연희작품 우수상(국립국악원장상)
극단 꼭두광대는 탈, 소리, 움직임을 통해 아이들과 함께 보는 창작탈놀이극을 통해 이 시대 최고 광대를 지향하는 탈 전문극단.
2012 제8회 전국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공모수상작 공연 [지네전], 고양호수예술축제 공식초청작 [우주이야기], 2013 전통연희 활성화 사업 창작연희 작품공모 당선작 [왼손이]
3) 청배 연희단 (제15회 세계사물놀이 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01년 결성.서울아트마켓 in 2010 PAMS CHOICE 선정. 영국 웨일즈 Llangollen Festival 2011 FOLK SHOWCASE 부문 공식 초청, 해외공연 다수
4) 문수정 (중요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02 전국국악대경연 병창부문 대상, 05 KBS 국악대경연대회 일반부 병창부문 금상수상
현) 한국전통예술진흥재단 문화학교 교수, 백석대학교 출강
5) 민혜성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흥보가 이수자, 한양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현) 소을소리판 대표, 서울교대, 경인교대, 경희대, 원광대학교 디지털대학 출강
6) 김경은 (경제시조보존회원, 평안남도 문화재 제2호 항두계놀이 이수자)
제7회 전국정가경연대회 전체대상(문화체육부장관상), 제15회 경기국악제 시조부문 대상
7) 박진경
2009. 여성국악콩쿠르 명인부 금상
2012. 제6회 추담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2010~2011 세종문화회관 AIP 서울시청년예술단 대금 수석역임
현) 전통예술단 아우름, 전통예술단 나무 , 도로시아 동인
8) 중리 하상호 (대한민국 미술협회 초대작가)
고하서예연구실대표, 중하묵연회 고문
9) 신미경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이수자)
전)서울예술단 창단멤버,(사) 디딤무용단 지도위원, 현) 예술단 ‘결’ 단장
10) 오정해 (원광디지털대학, 동아방송예술대학 전임교수)
영화 서편제, 태백산맥, 축제, 천년학, 등 배우, 제31회 대종상 신인여우상, 제29회 프랑스 낭뜨영화제 여우주연상(천년학), 제14회 청룡영화제 신인여우상, 2010 문화관광부 ‘아리랑’ 홍보대사, 국가기록원 기록문화홍보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