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합성
- 식물이 고정한 탄소는 화석화 에너지로 사용됨 : 석탄, 펠릿 등
- 식량,목재 제공
- 탄소고정 : 지구온난화 방지
◎녹색 댐
- 녹색댐의 저수기능 : 192억 톤
- 소양강댐 (유효저수용량 19억 톤) 10개의 양
- 충주댐 (유효저수용량 17.8억 톤) 11개의 양
- 비가 올 때 빗물이 넘치는 양을 줄이는 "홍수조절 기능"
- 계곡의 물이 마르지 않게 하는 "갈수완화기능"
- 물을 깨끗하게 하는 " 수질정화기능"
◎세계 산림자원과 우리나라 산림자원
- 전 세계 산림면적 : 40억 ha, 육지의 31%
침엽수 : 북반구의 춥고 건조한 기후 / 활엽수 : 열대림, 따뜻하고 습윤한 지역
- 우리나라 산림면적 : 636만 ha/ 국토면적 1,000만 ha
침엽수 : 258만 ha /약 40%, 활엽수:171만 ha/약 27%, 혼효림: 186만 ha/약 29%
◎산림정책의 역사
- 광복 이후 산림청 발족이전 (1946~1966)
산림보호임시조치법 : 산림경찰
연료림조성 5개년 계획 : 1957년
임산물단속에 관한 법률 : 1961년
산림법제정 : 1961년
- 산림청 발족 이후 치산녹화기 이전 (1967-1972)
산림청 발족 : 1967년 (농림부 산림국-산림청)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농림분야 (치산 7개년 계획)
◎산림정책의 역사
- 산지자원화 추진기 이후 (1988-1997)
목표 : 산림소득원개발 + 공익기능증진의 추진= 산지효용 극대화
추진방향: 산지의 합리적 이용, 유량목재자원조성, 경영기반확충, 임산물유통체계 정비,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 제4차 산림기본계획기 (1998-2007)
목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기반 구축
추진방향 : 경쟁력 있는 산림산업 육성, 건강하고 쾌적한 산림환경 증진
- 제5차 산림기본계획기 (2008-2017)
비전: 온 국민이 숲에서 행복을 누리는 녹색복지국가
목표: 숲을 활력 있는 일터, 숨터, 삼터로 재창조
추진방향: 산림자원 산림탄소, 산림사업, 산림생태계, 산지 및 재해, 산림복지, 해외산림 등 7대 전략으로 다양한 재화와 가치를
순환창출하여, 임업인, 산주, 국민, 미래세대에 경제, 환경, 사회적 혜택을 제공하는 선 순한 구조 구축
◎숲의 인위적 피해
- 임산물 도취, 무허가 벌채, 산불, 대기오염 및 산성비, 지구온난화
◎ 숲의 병해충
- 산림병해, 산림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