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출신 영화감독 리들리 스콧의
신작 '나폴레옹'을 둘러싸고 영국과
프랑스 간 확연한 온도 차를 드러냈다.
영국 매체들이 나폴레옹에 열렬한
호평을 쏟아낸 반면, 프랑스에서는
역사를 왜곡한 영화라는 혹평이 나오고 있다.
11월20일(현지시간)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이 영화는 14일 프랑스 파리에서,
15일엔 영국 런던에서 각각 시사회가 열렸다.
두 나라의 반응은 엇갈렸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스콧 감독이
기병대의 돌격 장면을 성공적으로
그려냈고 나폴레옹 역을 맡은
호아킨 피닉스의 연기 역시 맛깔났다며
별점 5점을 매겼다.
일간 더타임스도
"눈을 뗄 수 없는 장대한 대서사시에
배우들의 화려한 연기가 등장한다"며
별 4개를 줬고, 영화 잡지 엠파이어는
"나폴레옹에 대한 스콧의 재미있고
그럴듯한 해석"을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영국 감독이 그려낸 나폴레옹을 바라보는 프랑스인들의 시선은 곱지 않았다.
르피가로는 영화 제목을
나폴레옹 대신 '제국 아래의 바비(Barbie)와
켄(Ken)'으로 바꿀 수 있다고 조롱했고,
잡지 프랑스 지큐(GQ)는
1793년 프랑스 군인들이 미국식
억양으로 '프랑스 만세'를 외치는 모습이
"매우 서툴고 부자연스럽다"고 꼬집었다.
프랑스 역사학자이자 나폴레옹
전기 작가인 파트리스 그니페는
주간지 르푸앙과의 인터뷰에서
"매우 반프랑스적이고 친영적인
시각에서 재구성됐다"고 비판했다.
그니페는 "이 영화가 영국인 작품이라는
증거는 가정 성공적인 시퀀스가
워털루 전투와 마지막에 영웅으로
승격되는 웰링턴(영국 장군)의
복수에 할애돼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영화 속에서는 나폴레옹이
루이 16세의 왕비인 마리 앙투아네트의
단두대 처형식 현장에 참석하고
전쟁 중 이집트 피라미드에 대포를
발사하는 장면이 나오지만,
이는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스콧 감독은 이 같은 프랑스
비평가들의 혹평에 BBC 인터뷰에서
"당신이 거기에 있었느냐.
없었는데 어떻게 아느냐"라고 반문했다.
이어 "프랑스인들은 그들 스스로를
좋아하지 않는다"며
"파리에서 영화를 본 관객은
모두 좋아했다"고 비판을 일축했다.
피라미드에 대포 발사하는 반달리즘에 프랑스 평론가들이
열받았나 봅니다.
영.프의 역사도 서로 보통 고집들이 아니네요.
그런데 사실 나폴레옹도 100% 프랑스 사람은
아니라는 점.
그의 고향 코르시카는 원래 제노바 공국 땅이었다가
1768년에 프랑스에 합병되었지요.
나폴레옹 탄생 1년전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