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 기억한다는 표현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기억 저장을 담당하는 뇌세포 이외의 세포도 기억 능력이 있으며
반복적 자극에 반응해 기억 유전자가 작동한다는 것이다.
미국 뉴욕대 연구팀은
뇌세포가 아닌 두 가지 유형의 인간세포(신경조직과 신장조직)를
서로 다른 패턴의 화학신호에 노출시킴으로써 ‘분산 효과’가 발생하도록 했다.
이들 세포에 대해선 기억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을 재구성할 때 켜지는
‘기억 유전자’가 켜져 있을 때와 꺼져 있을 때를 구별할 수 있게
관련 단백질이 빛을 발하도록 조작을 가했다.
연구 결과
뇌세포가 정보에서 패턴을 감지하면 기억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비뇌세포의 기억 유전자도 빛을 발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특히 화학물질을 집중적으로 전달하는 것보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달했을 때
기억 유전자가 더 강력하게, 더 오랫동안 빛을 발했다.
이 연구는
시험을 앞두고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보다
휴지 기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학습할 때 정보를 더 잘 기억하는
‘집중-분산 효과’를 입증했다.
이는 간격을 두고 반복 학습하는 능력이 뇌세포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든 세포의 기본 속성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 니콜라이 쿠쿠슈킨 교수는
“이 연구는 미래에 우리 몸을 뇌처럼 대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건강한 혈당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췌장이 과거 식사 패턴을 기억하는 것이나
암세포가 화학요법 패턴을 기억해 이를 회피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다”고 말했다.
----------------------------------------------------------------------------------------------------------------
육신의 세포도 기억하는 기능이 있어서
몸도 마음과 같이 함께 염불 정진하면 진전이 훨씬 빠르며
육신이 오랫동안 기억하며 수행에 시너지 효과를 발합니다.
금강염불 (세포염불 단전염불 전신염불 차크라염불)
금강염불수행자모임
첫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