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야구팬을 들뜨게 하는 소식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돔구장 건설...매년 장마철마다 나오는 소리중 하나고 저 초등학교때 부터 줄기차게 들었던 소리입니다...
엘지와 서울시가 협력해서 만든다고 계획만 세울뿐 예산이 너무 들어간다 어쩐다 하면서 말만많은 사업이었는데 이번에는 정말로 돔구장 건설할려구 하나봅니다...
돔구장얘기는 여기서 각설하고 주제로 돌아가면 여기저기서 팀을 늘려야한다는 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야구팬의 한사람으로 팀이 늘어나는 것은 좋지만 우리나라의 여건상 팀은 지금의 8개구단이 제일 좋을듯합니다...
여러분들도 다아시겠지만 5공시절 국민들의 정치적관심을 다른곳으로 돌리기위하여 정부에서는 3S정책을 실시하였고 그중 하나인 스포츠의 프로화를 추진하게 되었죠...
그래서 82년 프로야구는 6개구단으로 출범을 하였고 지역연고제와 함께 그해 열린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서 우리나라가 일본을 이기고 우승을하면서 야구를 국민적 스포츠로 만들었습니다...
그후 2개구단이 늘면서 지금의 8개구단이 되었습니다...
일단 제가 구단이 늘어나는것에 반대하는것은 우리나라의 선수층의 너무 빈약하다는 것을 제일 첫번째로 꼽을수 있습니다...지금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야구팀은 제가알기론 56개팀으로 알고있습니다...
일본같은 경우는 고등학교팀을 4000개가 넘게 보유하고 사회인야구를 탄탄히 갖고있지만 그래두 선수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면서 지금의 12개구단에서 2개구단을 줄이려고 하고있습니다...
이렇게 자원이 많은데도 팀을 줄이려 하는데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일본의 반도 안되는 상황에서 팀을 늘리는 것은 현시점에서 불가능합니다...
제가나온 학교(공주고)를 예를 들어보면 저 1학년때 야구부원이 22명이었고 졸업당시에는 23명이었습니다...다른학교같은 경우에는 잘모르겠지만
저희 학교는 이랬습니다...
두번째는 경기장 문제...
지금 우리나라의 프로축구는 12개구단입니다...요번에 광주와 대구가 새식구가 되었죠...여기서 볼수있는것은 광주와 대구 모두 월드컵을 치루었던 도시입니다...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를 치루면서 거기에서 부수적으로 얻은것이 경기장입니다...이렇게 축구는 일단 운동의 필수조건인 경기장이 갖추어져 있던 상태에서 팀이 창단되는데 야구같은 경우는 팀을 창단하려면 경기장을 새로 지어야 하며 또 구단의 홍보와 재정 여러가지 수지타산을 생각해
경기장 건설지역등 여러문제를 검토해야 합니다....
세번째는 재정문제....
농구를 예로들면 코리아텐더가 인수할 기업을 찾지못하여서 지금 시민구단으로 만들기 위하여 여수시민들이 힘쓰고 있는것을 볼수있습니다...
야구보다 상대적으로 돈이 조금 투자되는 농구단도 운영이 어려워 해체되는 위기에 처해있는데 과연 야구단을 운영하겠다고 선뜻 나설 기업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일단 제가 생각하는 것은 요정도 입니다...팀이 늘어난다는 것은 야구팬으로서 기쁜일이지만 우리나라의 현상활을 봤을때는 무리인듯 합니다...
대구같은 대도시에 결국 야구부있는 고등학교는 3개교밖에 없구 대전같은
경우는 1개교밖에 없습니다...
결국 우리나라의 선수층을 두텁게 쌓지않고 팀부터 늘린다면 우리나라의프로야구는 용병들한테밖에 의존할수밖에 없는 상황이 됩니다...
미약하지만 저의 생각을 이렇게 적습니다...
첫댓글똑똑하시네요 일본 고교야구대회는 갑자원이라는 대회 밖에 없어요 우리나라처럼 승부를 위해 매일 연습하는 것이 아닌 동아리의 의미가 강하죠 그리고 우리나라가 일본에 지는 이유가 우선 투수층이 얇다는 것이 이유가 되죠 쿠바의 대통령은 야구는 자본주의 운동이라고 한 적이 있는데 야구를 하려면 돈이 많이 들어요
첫댓글 똑똑하시네요 일본 고교야구대회는 갑자원이라는 대회 밖에 없어요 우리나라처럼 승부를 위해 매일 연습하는 것이 아닌 동아리의 의미가 강하죠 그리고 우리나라가 일본에 지는 이유가 우선 투수층이 얇다는 것이 이유가 되죠 쿠바의 대통령은 야구는 자본주의 운동이라고 한 적이 있는데 야구를 하려면 돈이 많이 들어요
일본에 전국대회로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갑자원)이 있는데 봄리그, 가을리그로 치루어져서 지역예선과 본선을 감안한다면 거의 겨울빼고 계속 대회가 치루어진다고 보면됩니다..또 지역리그도 무지 많고요..
현실적으로 문제가 많긴하죠. 그래서 용병수 5명으로 늘려준다는데 이것도 돈이 많이 들긴 마찬가지고 우리나라 들어오는 용병 수준도 워낙 낮고... 여러가지 문제가 있네요. 그냥 밀어부치지 말고 앞뒤 따져가며 양적 확대보단 질적 확대를 도모하는 편이 훨씬 좋을듯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