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봄에 즐겨 먹던 음식
(1) 화전 : 봄철에는 진달래꽃의 꽃술은 따버리고 깨끗이 손질하여 화전을 만들어 먹었다.
(2) 쑥떡 : 어린 쑥을 절구로 찧어 부드럽게 만든 후, 찹쌀가루에 섞어 시루에 앉히고 푹
쪄서 만드는 떡을 말한다.
(3) 두견주 : 진달래꽃을 다른 말로는 '두견화'라고도 한다. 진달래로 담은 술을 '두견주'라 부르는데, 진달래꽃에는 다른 꽃보다도 꿀이 많아 술에 단맛이 난다.
2. 여름에 즐겨 먹던 음식
(1) 삼계탕 : 계삼탕이라고도 한다. 병아리보다 조금 큰 영계를 이용한 것은 영계백숙 이라고 한다. 내장을 꺼낸 닭의 뱃속에 깨끗한 헝겊으로 싼 찹쌀·마늘·대추 등을 넣고, 물을 넉넉히 부은 냄비나 솥에 푹 삶아 고기가 충분히 익었을 때 건져 내어 먹는 음식이다. 인삼을 헝겊에 싸서 국에 넣고 푹 고아 인삼 성분을 우러나게 하여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고기와 국물을 먹는다.
(2) 수리치떡 : 단옷날(음력 5월 5일) 쑥이나 취같이 짙은 초록색의 산나물을 떡가루에 섞어 수레바퀴모양의 둥근 떡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고 먹는다. 단오가 우리 나라 말로 '수리' 라고 하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며 '수리떡' 이라고도 한다.
(3) 수단 : 멥쌀가루로 흰떡을 쳐서 잘게 썬 것에 녹말가루를 묻혀 찬물에 헹구어 꿀이나 오 미자물에 띄워 먹는 한국 고유의 화채이다.
(4) 밀쌈 : 유두날(음력 6월 6일)에 먹는 음식의 하나이다. 구절판을 만드는 재료들을 볶아
서 넓적하고 얇게 부친 전병에 말아 알맞게 썰어 먹는다. 구절판을 간소화시킨 듯한 음
식으로 봄과 여름철에 술안주나 교자상 음식으로 좋다.
미꾸라지로 만드는 추어탕은 내장까지 함께 끓여서 조리하기 때문에 비타민 A와 D를 손실 없이 모두 섭취할 수 있다. 특히 뼈까지 먹기 때문에 칼슘의 공급을 충분히 해준다.
추어탕은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고 끈적한 점액질인 뮤신으로 인해 위궤양 예방 효과까지 있다. 여름철 대표적인 보양식품으로 손꼽힌다.
'남성에게는 피부와 혈관, 내장에 생기를 주어 젊음을 유지시키고, 숙취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특히 추어탕에 함유되어 있는 콘드로이친과 황산은 숙취 해소는 물론 발기불능에도 효과가 있다. 여성에게는 세포조직의 수분을 유지시켜 피부가 윤택해지고 혈관과 내장에 생기를 준다..
추어탕
장어는 단백질이 14.4%, 지방이 17%, 비타민 A가 3500 IU 함유되어 있어서 계절적으로 비타민 A가 부족하기 쉬운 여름철에 보양식으로 좋다. 항암효과가 있다는 토코페롤도 대단히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 미용과 노화 방지 효과가 크다. 특히 남성이 토코페롤을 많이 복용하면 정자수가 증가한다는 사실도 최근 밝혀졌다. 기력이 떨어질 경우에 몸에 좋은 강장식품으로 장어, 미꾸라지, 닭날개 등을 꼽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끈끈하다는 것. 점액질의 미끄러운 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뮤신은 단백질을 잘 흡수시켜 강정 효과가 있다.
장어탕
메기는 다른 생선보다 질 좋은 단백질과 철분이 많이 들어 있는 영양 만점의 보양식이다.
여름철에 입이 마르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어지럼증이 있고 피곤할 때 메기를 먹으면 좋다 황련 가루를 메기의 타액으로 개어서 환으로 만들어 오매(매실을 구워 말린 약재)를 끓인 물로 5~7알씩, 하루 3회 공복에 먹으면 좋다. 특히 명의별록이라는 고서에 ‘메기는 백병을 다스리며 곰국을 만들어 먹으면 몸을 보한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메기를 장시간 중불에서 푹 고아서 곰국으로 만들어 먹으면 여름철 이열치열 보양탕으로 으뜸이다.
메기탕
흑염소는 지방질의 함량이 적은 반면에 단백질과 칼슘, 철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임산부뿐만 아니라 회복기 환자, 발육기 어린이에게 좋은 식품이다. 흑염소 고기는 근육섬유가 연해서 소화흡수율이 매우 높다. 지방 함량은 쇠고기의 절반밖에 되지 않아 소화기능이 약해서 고기를 잘 먹지 못하는 사람이나 위장병 환자, 허약한 사람에게 좋은 보양식품이다.
비타민 E, 즉 토코페롤이 많이 들어 있어서 불임 예방에 좋고,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흑염소 고기는 보혈 작용과 함께 근육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과도 있다. 생후 1년 전의 어린 염소가 특히 약효가 좋다. 그러나 흑염소 특유의 누린내가 심하므로, 요리를 할 때는 마늘과 생강을 듬뿍 넣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