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장 솔로몬의 여러 가지 잠언(계속)
6절. 의인의 집에는 많은 보물이 있어도 악인의 소득은 고통이 되느니라
“의인”은 히브리어로“차디크”인데 “올바르다, 의롭다, 정당함이 입증된다”를 뜻하는“처다크”에서 유래한 것으로“의로움, 공정한”을 말한다,
이 말은 [재판관의 특성으로서]정의, 공의를 행하다(히11:33), 정당하게 판단하다(행17:31, 계19:11).[도덕적 신앙적 의미로 사용된 경우, 하나님이 사람에게 요구하는 특성으로서]의(마3:15, 눅1:75, 고후3:9), 의로움(고전1:30, 엡5:9)을 말한다. 이 말이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적용할 때에는 신분상 칭의를 말하며. 그리스도인들에게 사용될 때는 신분상 칭의를 말하기 보다는 실재적인 삶에서 드러나는 도덕적인 청렴으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시드니 멕스웰-
“집”은 히브리어로“바이트”인데“짓다, 세우다”를 뜻하는“바나”에서 약어로 보이며, 문자적으로는“장막, 집, 무덤, 거주지, 처소, 궁, 처소, 권속”을 뜻한다.
또한 이 말은 비유적으로 표현하여“권속, 궁중, 가족, 종족, 자손”등 한 솥밥을 먹는 식구을 의미하기도 한다,
“많은”을 히브리어로“라브”인데“증가하다, 늘어나다”를 뜻하는“라바브”에서 유래한 것으로“풍성한, 풍부한, 넘치는, 많은, 넘치는, 만족한, 족한”것을 의미한다.
“보물이 있어도”는 히브리어로“호쎈”인데“강하다, 튼튼하다, 부유하다, 저장하다, 저축하다, 쌓아두다”를 뜻하는“하싼”에서 유래한 것으로“부, 재산, 보배, 보물, 풍요”를 뜻한다.
여기서“보물”은 강하고 튼튼한 힘을 뜻하기도 한다, 곧 의인은 합당한 방법으로 그 재산을 늘려감으로써 많은 힘과 소유를 축적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악인의 소득은 고통이 되느니라”
“악인”은 히브리어로“라샤”인데“시끄럽게 하다, 소란하다, 사악하다, 위반하다, 옳지 않다”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사악한, 옳지 않은, 악한 자, 악인, 행악자, 죄인”을 말한다.
이런 악인의 사상에는“하나님이 없다”하는 자들이다(시10:4).
“소득”은 히브리어로“테부아”인데“넘겨지다, 양도하다”를 뜻하는“보”에서 유래한 것으로“산출, 소산, 열매, 이익, 소득, 소산물”을 뜻한다.
“고통이 되느니라”는 히브리어로“아카르”인데“물을 휘젓다, 괴롭히다, 곤란하게 하다, 화를 당하게 하다, 해롭게 하다, 고통스럽다”를 뜻한다
곧 악인이 부정하고 부당한 방법을 통해 획득한 재물은 표피적이고일시적인 안락을 가져다 줄지는 몰라도 궁극적으로는 모든 고통스러운 문제의 원인이 될 것이란 의미이다.
'보물' ἀγαθόν, οῦ, τό [아가톤]~~~~~~~~~~~~~~~~~~
< 옳은 것, 선, 좋은 것, 롬2:10.소유물, 보물, 눅1:53, 갈6:6. 선행, 착한 일, 요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