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cocktail의 upgrade version입니다.
풀이하는 언어가 94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먼저 발음을 따르면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의미로 보면
“(여러 술들을) 섞었데이”로 보입니다.
“꺾었다”와 “섞었다”가
하나로 표현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결과는 아마도 초창기 k(ㄱ,ㅋ)발음이
점차 kh로 되었다가 ch로 변화해서
c로 정착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니 kh ⇌ ch ⇌ c 이렇게 말이죠.
우리나라의 발음도 이렇게 많이 변했습니다.
제가 만든 공식이 하나 있죠.
ㄱ(ㅋ) ⇌ ㅅ(ㅆ,ㅈ,ㅊ) ⇌ ㅎ, 이렇게 됩니다.
예를 들면,
김빠지다⇌심빠지다⇌진빠지다⇌힘빠지다
경상도사투리도 자연스럽게 들어가 있습니다.
지금도 어르신들이 자주 쓰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셀 수 없이 많이 있습니다.
유럽어 쪽에서는 크흐 ⇒스흐 ⇒ 흐,
spell로는 kh ⇒ ch ⇒ h,
이런 변천과정을 적용해서 예를 들면,
칸(khan) ⇒ 킹(king) ⇒ 황(皇) ⇒ 왕(王),
이렇게 됩니다.
“마립간”등의 “간”도 “칸”의 일종입니다.
지금도 쓰는 경상도 지방의 사투리입니다.
“(니가) 했나 안 했나?”를
“(니가) 캤나 안 캤나?”라고 합니다.
cocktail을 놓고 제 공식을 넣고 해 보면
“(술들을) 섞었데이” ⇌ “(한 잔) 꺾었데이”
⇌“((섞어서 한 잔) 했데이“로 해도
의미가 서로 통한다는 것이지요.
❒ cocktail 어원은? "Cocktail"의 어원은 꽤 흥미롭고 논쟁도 많습니다. 정확한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며,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아래는 주요 어원설과 역사적 맥락입니다. ✅ 1. 가장 일반적인 정의 (1806년) 1806년 뉴욕의 The Balance and Columbian Repository 신문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습니다: "Cocktail is a stimulating liquor composed of spirits of any kind, sugar, water, and bitters.“ 이 정의는 고전적인 칵테일 공식 (스피릿 + 설탕 + 물 + 비터스)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 2. 어원설들 🐓 닭 꼬리(cock-tail) 설 바(bar)에서 혼합 술을 따르던 유리병의 바닥에 남은 술들을 섞어 만든 싸구려 술을 "cock-tail"이라 부르며, "닭 꼬리처럼 여러 색이 섞였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는 설. 또는 말의 꼬리에 장식을 다는 것을 "cocktail"이라 부르기도 했는데, 말의 "순수 혈통이 아닌 혼혈(hybrid)"이라는 의미에서 혼합주에 빗대어 사용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 프랑스어 ‘coquetier’ 설 프랑스어 coquetier [kɔ.kə.tje] — "달걀컵(egg cup)"을 뜻함. 뉴올리언스의 약사 Antoine Peychaud가 브랜디와 비터를 계란컵에 섞어 제공하면서 "cocktail"이란 표현이 나왔다는 설. 하지만 어원이 확실하지 않고, 시기적으로도 영어권에 "cocktail"이라는 단어가 먼저 존재함. 💂♂ 영국 군대 속어 설 영국에서 말의 꼬리를 다듬는 방식 (꼬리를 세우고 장식하는)을 ‘cock-tailed’라 불렀으며, 말처럼 활기차고 씩씩한 느낌을 주는 혼합 술에도 이 표현이 적용되었다는 설. ✅ 어원 요약 어원 설 설명 닭 꼬리 혼합 설: 여러 색이나 재료가 섞여 닭 꼬리처럼 보인다는 이미지 프랑스어 coquetier 설: 계란컵에 술을 제공한 것에서 유래 말 꼬리 장식 설 혼혈 말처럼 혼합된 술이라는 의미 군사용 속어 설 ‘cock-tailed’ = 활기찬, 에너지 있는 느낌 |
3385. cocktail (칵테일, 혼합(음료, 약제), 꼬리자른 말,
(소스를 친 굴·새우·게 등의) 전채(前菜) 요리):
1.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섞어서 한 잔) 꺾다가 어원.
2. (혼합) 음료, 약제, 술.
(여러 종류를) 섞었데이, ) (* k ⇌ c 호환)
⇒ (여러 종류를) 섞다가 어원.
3. (털을) 깎았데이, (* 꼬리자른 말)
⇒ (털을) 깎다가 어원
4. (껍질을) 깠데이 (* (소스를 친 굴, 새우, 게등의)
전채(前菜)요리)
⇒ (껍질을) 까다가 어원
5. (음식을) 깔았데이 (* 본 음식 전에 먹는 간편 음식)
⇒ (음식을) 깔다가 어원.
❒ 세계 94개 언어 ⚽ 서유럽 * 프랑스어: mélange (me.lɑ̃ʒ) [멜랑주⇒ 혼합, 섞기] ((함께 섞어서) 말았지) * 독일어: Cocktail (ˈkɔk.teɪ̯l) [콕테일⇒ 혼합주, 혼합 조합] * 네덜란드어: cocktail (ˈkɔk.tɛl) [콕텔⇒ 혼합 주류 음료, 여러 요소가 섞인 조합] * 스코틀랜드(게일어): deoch mheasgaichte (dʲɔx vɛsɡʲɪçtʲə) [죠흐 베스기흐체⇒ 혼합 음료 (mixed drink)] ((같이 혼합하니) 좋아 보였었겠제?) * 아일랜드(게일어): deoch mheasctha (dʲɔx ˈvaskə) [죠흐 배스커⇒ 혼합된 음료 (mixed drink)] ((잘 섞으니) 좋아 보였을까?) * 웨일스어: diod gymysg (ˈdɪɔd ˈɡəmɨsk) [디오드 거미스크⇒ 혼합 음료 (mixed drink)] ((같이) 띄워도 (맛있다는) 감이 있었고) ⚽ 남유럽 * 스페인어: miscela (miˈʃɛla) [미셸라⇒ 혼합, 섞음] ((섞어서) 마실라) * 이탈리아어: bevanda mista (beˈvanda ˈmista) [베반다 미스타⇒ 혼합 음료 (알코올 관계없이)] ((섞어서) 비빈다 마셨다) * 그리스어: κοκτέιλ (koˈkteil) [코크테일⇒ 술과 재료가 섞인 혼합 음료] ((여러 술들을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포르투갈어: coquetel (ko.keˈtɛw) [코케텔⇒ 여러 재료를 섞은 혼합 알코올 음료] ((여러 술들을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라틴어: miscellanea [미셀라네아⇒ 섞인 것들, 혼합물] ((섞어서) 마셨을려나) ⚽ 북유럽 * 아이슬란드어: blandaður drykkur (ˈplantaðʏr ˈtrɪkʏr̥) [블란다드르 드릭퀴르⇒ 혼합 음료, 믹스드 드링크] ((섞어) 보란다더라 들이켜라) * 덴마크어: blandet drink (ˈplanəð ˈtʁeŋk) [블라넬 드링크⇒ 섞은 음료, 믹스드 드링크] ((섞어) 보랬댔다 들이키) * 노르웨이: blandet drink (ˈblɑnə ˈdriŋk) [블라네 드링크⇒ 혼합 술, 섞은 음료] ((섞어) 보라네 들이켜) * 스웨덴어: drink (drɪŋk) [드링크⇒ 칵테일, 섞은 술 (구어체)] ((음료를, 칵테일을) 들이켜) * 핀란드어: sekoitusjuoma (ˈsekoitusˌjuo̯mɑ) [세코이투스유오마⇒ 혼합 음료 (직역형 표현)] ((서로 다른 것들을) 섞었댔으며) ⚽ 동유럽 * 체코어: koktejl (ˈkoktɛjl) [콕텔⇒ 혼합음료, 혼합주] ((섞어서 한 잔을) 꺾더라) * 폴란드어: koktajl (ˈkɔktail) [콕타일⇒ 칵테일, 혼합주, 혼합음료]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헝가리(우랄어): koktél (ˈkokteːl) [콕테엘⇒ 칵테일, 혼합주, 혼합음료] ((섞어서 한 잔) 꺾더라) * 루마니아(동유럽의 로망스어): cocktail (ˈkok.tejl) [콕테일⇒ 칵테일, 혼합주, 혼합음료]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슬로바키아어: koktail (ˈkoktɑjl) [콕타일⇒ 칵테일, 혼합주, 혼합음료] ((섞어서 한 잔) 꺾었다이) * 크로아티아어: koktel (ˈkɔktel) [콕텔⇒ 칵테일, 혼합주, 혼합음료] ((섞어서 한 잔) 꺾더라) * 러시아어(키릴문자): смешанный напиток (ˈsmʲeʂənnɨj nɐˈpʲitək) [스먀샨늬 나삐톡⇒ 혼합 음료] (섞어 마셨니? (좋은 맛이) 나삤다꼬?) * 조지아어: კოქტეილი (kʼɔktʰeili) [코크테일리⇒ 칵테일 음료] ((술들을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알바니아: pije e përzier (ˈpi.jɛ ɛ pəɾˈzi.jɛɾ) [피예 에 퍼르지에르⇒ 혼합 음료] ((술들을) 퍼옇어 (흔들어 골고루) 퍼져라) * 불가리아어: смесена напитка (ˈsmɛsɛna nɐˈpitka) [스메세나 나피트카⇒ 혼합 음료] ((술들을) 섞어 마셨나 (희한한 맛이) 나삤다꼬?) * 에스토니아어: segujook (ˈse.ɡu.joːk) [세구요크⇒ 혼합 음료] ((술들을 흔들어서) 섞어 옇고⇒ 섞어 놓고) * 라트비아어: jauktais dzēriens (ˈjauktais ˈdzæːriens) [야욱타이스 드제리에스⇒ 혼합 음료] ((술들을 섞어) 옇었댔어 (맛있다고) 더 주라했어) * 리투아니아어: maišytas gėrimas (ˈmɐɪ̯ʃiː.tɐs ˈɡʲeː.rʲi.mɐs) [마이쉬타스 게리마스⇒ 혼합 음료, 혼합주] ((술들을 섞으면) 맛있댔어 그리 마셔) * 벨라루스어: змяшаны напой (ˈzmʲaʂanɨ naˈpoj) [즈먀샤니 나포이⇒ 혼합 음료, 칵테일] ((술들을 섞어서) 줘 마시니 (희한한 맛이) 나뿌) * 슬로베니아어: mešana pijača (ˈmɛːʃana piˈjaːtʃa) [메샤나 피야차⇒ 혼합 음료, 논알콜, 칵테일] ((술들을 섞어서) 마셨나? (맛있으면) 퍼옇자) * 세르비아어: мешани пијачa (ˈmɛʃani piˈjat͡ʃa) [메샤니 피야차⇒ 혼합 음료, 칵테일, 믹스 음료] ((술들을 섞어서) 마셨나? (입에) 퍼옇자) * 북마케도니아(마케도니아어): мешан пијалок (ˈmɛʃan piˈjalok) [메샨 피얄록⇒ 혼합 음료] ((술들을 섞어서) 마셨(나) (입에) 퍼옇을라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세르보크로아트어): miješani napitak (ˈmijɛʃani ˈnapitak) [미예샤니 나피탁⇒ 혼합 음료] ((섞어서) 마셨니? (희한한 맛이) 나삤다꼬?) ⚽ 동아시아 * 일본어: 混合酒(こんごうしゅ) [콩고슈⇒ 혼합주, 섞은 술] (混合酒: 혼합주) * 훗가이도(아이누어): [⇒ ] * 중국어: 混合酒(hùn hé jiǔ) [훈허쥬⇒ 혼합 술] (混合酒: 혼합주) * 광둥어(廣東語): 混合酒 (wàhn hahp jáu) [완합 자우⇒ 혼합 술] (混合酒: 혼합주) * 대만민난어(臺灣閩南語): 混合酒 (hûn-ha̍p-tsiú) [훈합 쥬⇒ 섞은 술 (혼합주)] (混合酒: 혼합주) * 대만카키어(臺灣客家語): 混合酒 (vùn-hap zíu) [분합 주⇒ 혼합 술, 분합 주] (混合酒: 혼합주) * 만주어(滿洲語): 없음 * 한국어: 칵테일, 혼합주, 믹스드 드링크 * 몽골어: коктейл (kok-teyl) [콕테일⇒ 혼합주, 혼합음료]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동남아시아 * 인도네시아어: minuman campuran (miˈnuman tʃamˈpuran) [미누만 참푸란⇒ 혼합 음료, 칵테일, 혼합 음료] ((술들을) 밀어 넣으면 참해뿌라는(⇒ 참해 버리는)) * 자바어(인도네시아 자바지역언어): omah ombenan campuran (ˈomah ˈombenan tʃamˈpuran) [오마 옴베난 참푸란⇒ 혼합 음료, 칵테일 포함] ((새로운 것들을 섞어서 맛을 보니) 어머 얼마나 참해뿌라는) * 말레이시아(말레이어): minuman campuran (miˈnuman tʃamˈpuran) [미누만 참푸란⇒ 혼합 음료, 칵테일] ((술들을) 밀어 넣으면 참해뿌라는(⇒ 참해 버리는)) * 필리핀(타갈로그어): halo-halong inumin (halo-haloŋ ɪnuˈmɪn) [할로-할롱 이누민⇒ 혼합 음료, 칵테일] ((술들을 섞어서) 하라 해놓은 거구만) * 동티모르(테툼어, 오스트로네시아계 언어): bokál mistura (boˈkal miʃˈtuɾa) [보칼 미스투라⇒ 혼합 음료, 혼합주] ((술들을 섞게) 붓거라 믹였었더라) * 태국어: เหล้าปรุง (lâw.pruŋ) [라오 쁘룽⇒ 혼합한 술, 전통주, 혼합주] ((혼합할 술들을 같이) 넣어뿌러) * 미얀마(버마어): အရက်ရောနှောမုန့် (ʔə.jɛʔ jɔ́.nɔ́ mo̰ʊɴ) [아얫 요노 몬⇒ 섞은 술 음료, 칵테일] ((술들을 섞어서 같이) 아예 옇어 놓으면) * 방글라데시(벵골): মদ্য মিশ্রণ (ˈmoddʲo ˈmiʃrɔn) [모드뵤 미슈론⇒ 술 혼합물, 칵테일] ((술들을 섞어 보게) 모다 봐 마시라는) * 라오스(라오어): ເຫຼົ້າຜະສົມ (láo.pʰa.sǒm) [라오 파솜⇒ 혼합된 술, 전통술, 칵테일] ((술들을 섞어서) 넣어 봤음) * 캄보디아(크메르어): ស្រាខ្ទិះ (sra khteh) [스라 크떼⇒ 섞은 술, 혼합주] ((술들을 함께) 섞었대) * 베트남어: rượu pha chế [즈우 파 체⇒ 혼합주, 믹스된 술] ((술을 섞게 술들을) 줘 봤제) ⚽ 남아시아 * 파키스탄(우르두): مخلوط مشروب (makhlūt mashrūb) [마흘루트 마슈루브⇒ 혼합 음료, 혼합된 술] ((술들을 섞으니 멋진) 맛을 냈다 마셔라삐) * 네팔어: मिश्रित पेय (miśrit peya) [미슈릿 페야⇒ 혼합 음료] ((술들을 맛있게 섞어서) 마시라 해삐야) * 힌디어: मिश्रित पेय (miśrit peya) [미슈릿 페야⇒ 혼합 음료] ((술들을 맛있게 섞어서) 마시라 해삐야) * 산스크리트어: मिश्रित मद्य (miśrita madya) (ˈmɪʂ.rɪ.tɐ ˈmɐd.jɐ) [미슈리타 마댜⇒ 혼합된 술] ((술들을 섞어서) 마시랬다 (냄새를) 맡아) * 타밀어(드라비다어): காக்டெயில் (kākteyl) (ˈkaːɡʈeɪl) [카크테일⇒ 칵테일 음료] ((술들을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스리랑카 (싱할라어): මිශ්ර පානය (miśra pānaya) [미슈라 파나야⇒ 혼합 음료, 믹스 드링크] ((칵테일을) 마셔라 (가게에서) 파냐?) ⚽ 중동(서아시아) * 이스라엘(히브리): משקה מעורבב (mashké me'urváv) (maʃˈke meʔuʁˈvav) [마쉬케 메우르바브⇒ 혼합 음료, 칵테일] (마시게 (술들을) 모아 봐봐) * 아랍어: مشروب مختلط (mashrūb mukhtalaṭ) (maʃˈruːb muxˈtˤa.latˤ) [마슈루브 무흐탈라트⇒ 혼합 음료, 칵테일] ((섞어서) 마시라 해뿌 (맛있게 하려고) 뭐 탈라했다) * 이란(페르시아): نوشیدنی مخلوط (nūshīdani-ye makhlūt) [nuːʃiːdæˈniːje mæxˈluːt] [누쉬다니예 마흘루트⇒ 혼합 음료, 칵테일] ((여러가지의 재료를) 넣었었다니 뭘 넣다) * 튀르키예어: kokteyl (kokˈtejɫ) [콕테일⇒ 칵테일, 혼합주] ((술들을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아제르바이잔어: kokteyl (kokˈtejɫ) [콕테일⇒ 칵테일, 혼합주] ((술들을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아르메니아어: կոկտեյլ (kokṭeyl) [콕테일⇒ 칵테일, 혼합주] ((술들을 섞어서 한 잔) 꺾었데이) ⚽ 중앙아시아 * 위구르(튀르크어): խառնուրդ ըմպելիք (kharnurd əmpelikh) (χɑɾˈnuɾt əmpeˈlikʰ) [카르누르트 음펠리크⇒ 혼합 음료] ((술들을 쭉) 깔아 놓으랬다- ((괜찮은 것끼리) 오마뿔라꼬) * 카자흐스탄어: аралас сусын (ɑrɑˈlɑs sʊˈsən) [아랄라스 수슨⇒ 혼합 음료] ((섞는 법을) 알아라 했었음) * 키르기스스탄어: аралаш суусундук (ɑrɑˈlɑʃ suːsʊnˈduk) [아랄라쉬 수우순두크⇒ 혼합 음료] ((섞는 법을) 알아라 했었었다꼬) * 우즈베키스탄어: aralash ichimlik (ɑrɑˈlɑʃ ɪt͡ʃɪmˈlɪk) [아랄라쉬 이침릭⇒ 혼합 음료] ((섞는 법을) 알아라 했어 (잘) 익히니) * 타지키스탄(타지크어): нӯшокии омехта یا نوشاکیِ آمیخته(nuːʃɔːˈkiː jɔːˈmeχt̪a) [누쇼키 오메흐타⇒ 혼합 음료] ((재료들을) 넣었어가 (같이) 오맜다) * 투르크메니스탄(투르크멘어): garyşyk içgi (ɡɑˈrɯʃɯk it͡ʃˈɡi) [가르위슉 이치기⇒ 혼합 음료, 혼합주] ((재료를 잘) 가려서 익히기) * 아프가니스탄(다리어): مشروب الکلی ترکیبی (mæʃˈruːb ælkʰoːˈliː tæɾˈkiːbiː) [마슈룹 알코리 타르키비⇒ 알코올 혼합 음료] ((혼합주를) 마셔라 알콜을 따르기삐) * 아프가니스탄(파슈토어): مخلوط مشروب (mɑxˈluːt mæʃˈruːb) [마흘룻 마슈룹⇒ 혼합 음료, 혼합주] ((재료를) 모으라 (혼합해서) 마시래) ⚽아프리카 * 동아프리카지역(스와힐리어): Kinywaji mchanganyiko (kinʲwaˈdʒi mtʃangaɲiˈko) [킨유와지 므창가니코⇒ 혼합 음료] ((칵테일을) 꺼내왔지 멋진거니까) * 서아프리카지역(하우사어): Hadin giya da ruwan 'ya'yan itace (ha.dɪn ˈɟi.ja da ru.ˈwan ja.jan i.ˈta.tʃe] [하딘 기야 다 루완 야얀 이타체⇒ 과일주, 혼합주] ((옛날부터) 하던 거야 다 넣은 짜잔! 있다했제) (*ㅇ ⇌ ㅈ 호환) * 남아프리카, 나미비아(아프리칸스어): skemerkelkie (skɛmər.kəl.ki) [스케머르컬키⇒ 칵테일, 혼합주] ((술들을 맛있게) 섞어 무으라카기) * 남아프리카(줄루어): isiphuzo sokuxubana (isiˈpʰuːzo so.ku.ɬuˈbaː.na) [이시푸조 소쿠슙바나⇒ 혼합 음료, 섞은 음료] ((혼합할 음료들이) 있어뿌지 섞어서 봤나?) * 르완다어: ikinyobwa cy’imvange (ikiɲobwa t͡ʃiː imˈvaŋɡe) [이키뇨브와 치 임방게⇒ 혼합 음료] ((술을 혼합해서) 익혀놔 봐 취해본께) * 보츠와나(세츠와나어): mosegare mix (mʊˈsɛχaɾɛ mɪks) [모세하레 믹스⇒ 낮술 믹스, 믹스 음료] ((사람들을) 모셔와라 (다) 모였어) * 암하라어(에티오피아 공식언어): አሰላጣ (asäläṭa) (ä.sä.lä.tʼä) [아셀라타⇒ 혼합 음료, 뒤섞인 술] ((술들을 섞어서) 왔으랬다) * 요르바어(나이지리아어): omi àtọgbẹ́ (ɔ̀.mì à.tɔ̀.ɡ͡bɛ́) [오미 아토그베⇒ 특별한 약물 혼합음료 (약술 등)] ((술을 섞으니 온도가)오메 뜨거버⇒ 어머 뜨거워) ⚽ 북아메리카 * 체로키어(미국 남동부 원주민어): ᏧᏍᏆᏞᏍᏗ ᎠᎹ (jusquatlvsdi ama) [주스콰틀러스디 아마⇒ 칵테일과 유사한 의미] ((과일을) 짜서 꽉 틀었었다메) * 아이마라어(볼리비아근처): uma phayaña [우마 파야냐⇒ 혼합 음료, 칵테일] ((맛있어서) 어머! (입에) 퍼옇나?) * 케추아어(잉카, 안데스, 인디오) (국가: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aqha miski [아크하 미스키⇒ 칵테일처럼 달콤한 혼합주류] ((섞은 술이 맛있어서) 아껴 마시기) * 아즈텍어(나우아틀어, 중앙 멕시코): tlachiuatl ‘조제된 물’이라는 뜻으로 칵테일에 가까운 개념. [틀라치우아틀⇒ 혼합된 음료, 조제된 마실 것] ((맛을 보려고 섞을 술들을) 다 털어 치웠더라) * 유카텍 마야어 (멕시코, 과테말라, 벨리즈등): mixba’ [믹스바⇒ 섞다, 혼합하다] ((다양한 술들을) 모아서 봐) * 과라니어(파라과이): guaripola 특히 달고 알록달록한 칵테일류에 가까운 개념. [과리폴라⇒ 혼합된 음료, 달콤한 칵테일류] ((술 속에 과일들을) 깔아뿌라) ⚽ 오세아니아 * 마오리어 (뉴질랜드 폴리네시아계 언어): waipiro whakaranu (ˈwai.pi.ɾɔ ˈfa.ka.ɾa.nu) [와이피로 화카라누⇒ 섰은 술, 혼합주] ((섞은 술을 가지고) 와봐라 (맛이) 와그렇노?) * 크리올어 (호주 원주민 언어): Torres Strait Creole (Yumplatok) [토레스 스트레이트 크리올⇒ 칵테일] ((다양한 맛을 봐야 하니) 더 넣으랬더랬다- (다른 것을) 끌어올) * 사모아어(폴리네시아어): meainu (drink, beverage) [메아이누⇒ 일반 음료, 혼합 음료] ((섞을 음료들이) 모였누?) * 하와이어(폴리네시아어): inu ʻona (alcoholic drink) [이누 오나⇒ 술, 주류, 칵테일포함] ((칵테일) 있나?) * 타히티어: vai ‘ona [바이 오나⇒ 술, 알코올 음료] ((술을) 비웠나?) * 피지어(오스트로네시아계 언어): waini raraba [와이니 라라바⇒ 혼합 와인, 칵테일 류] ((섞을 술들이) 와있니? 넣어 놔 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