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aweed
(한국의 김)
[입이트이는영어 2021.8.23]
https://blog.naver.com/jydecor/222480748213
~~~~~~~~~~
8월 23일 월요일자
[Korean Seaweed]
한국의 김
한국의 김 생산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세요.
Speech Practice
한국과 중국, 일본은 김의 주요 생산지로,
우리나라는 전 세계 김 생산의 약 5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김 수출 1위 국가이다.
-Korea, China and Japan are the major producers
of dried seaweed.
Korea is responsible for 50% of global dried
seaweed production.
Korea is the top exporters of dried seaseed
in the world.
+ be responsible for : ~을 차지하다
+ dried seaweed : 김
+ major producer : 주요 생산자
작년에 6억 달러의 수출을 달성하며 신기록을
세웠다.
그래서 김은 '검은 반도체'라고 불리는 수출
효자 상품이다.
- The country set a new record last year with
600 million dollars in exports.
That's why dried seasweed is called "the black
semiconductor" a profitable product for export.
+ semiconductor : 반도체
+ profitable product : 수익성이 좋은 상품
+ that's why 주어 동사 : 그래서 ~이다
+ set a record : 기록을 세우다, 기록을 달성하다
김은 겨울에만 생산된다.
겨울에 채취한 김을 사각형 형태로 말려, 1년 동안
주로 냉동 보관한다.
김은 갯벌이 있는 바닷가에서만 양식이 가능하다.
- Dried seaweed is only produced in the winter.
Seaweed harvested in the winter is dried into
sheets, and mostly kept frozen throughout the year.
Seasweed can only be farm-raised in oceans along
mud flats.
+ throughout the year : 일년 내내
+ be farm-raised : 양식이 되다
+ mud flats : 갯벌
우리나라는 서해와 남해에서만 김이 채취된다.
갯벌의 풍부한 영양분과 염류를 먹고 자라기 때문이다.
특히 서해는 조석 간만의 차가 크고 갯벌이 넓기 때문에
김을 양식하는 데 최적의 조건이다.
- It's only harvested o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It's because the plants thrive on the abundant
nutrients and salts of the mud flats.
The western coast in particular has a wide tidal
range and wide mud flast, which are ideal
conditions for farming seaweed.
+ harvest : 수확하다, 추수하다
+ western : 서부의,서쪽의
+ southern ; 남부의, 남쪽의(south 싸우쓰 로 발음되지만
/southern은 써~ㄹ던 으로 발음)
+ thrive on : ~을 먹고 잘 자라다, 번식하다
+ abundant : 풍부한
+ nutrient : 영양분
+ in particular : 특히(=particularly)
+ wide tidal range : 큰 조차(조수 간만의 차)
c) tide : 밀물과 썰물(조수)
cf) tidal : 조수의
cf) high tide : 밀물
cf) low tide(=ebb) : 썰물(간조)
cf) at low tide : 썰물 때
cf) at a low ebb : 평소보다 더 저조한, 더 안좋은
+ ideal conditions for : ~에 최적의(이상적인) 조건
+ farm : 양식하다,경작하다,기르다
어민들은 새벽 일찍 나가 김을 채취하거나 김발을
뒤집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는 칼바람을 맞으며 혹독한 추위를 견뎌야 하는
고된 작업이다.
- Workers must go out in the small hours of
the morning to harvest seaweed or flip the nets.
It's back-breaking work, performed in the bitter
cold and biting winds.
+ the small hours of the morning : 새벽 이른 시간
cf) at the crack of dawn : 꼭두새벽에
+ flip : 홱 뒤집다, 뒤집히다
+ back-breaking :허리를 휘게하는,등골 빠지는/
매우 고된
+ bitter cold : 혹독한 추위
+ biting winds : 칼바람
출처:https://cafe.naver.com/talkativeinenglish.cafe
~~~~~~~~~~
입이트이는영어 8월23일 (Monday)
Korean Seaweed
Talk about Korea's seaweed production
Korea, China, and Japan are the major producers
of dried seaweed.
Korea is reesponsilble for 50% of global dried
seaweed production.
Korea is the top exporter of dried seaweed
in the world.
The country set a new record last year with
600 million dollars in exports.
That's why dried seaweed is called "the black
semiconductor,"a profitable product for export.
Dried seaweed is only produced is the winter.
Sea weed harvested in the water is dried into
sheets,and mostly kept frozen throughout
the year.
Seaweed can only be farm-raised in oceans
along mud flats.
It is onlly harvested o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It's because the plants thrive on the abundant
nutrients and salts of the mud flats.
The wetern coast in partivular has a wide tidal
range and wide mud flats, which are ideal
conditions for farming seaweed.
Worker must go out in the small hours of
the morning to harvest seaweed or flip the nets.
It's back-breaking work, performed in the bitter
cold and biting winds.
한국의 김 생산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세요.
한국과 중국, 일본은 김의 주요 생산지로, 우리나라는
전 세계 김 생산의 약 5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김 수출 1위 국가이다.
작년에 6억 달라의 수출을 달성하며 신기록을 세웠다.
그래서 김은 '검은 반도체'라고 불리는 수출 효자
상품이다.
김은 겨울에만 생산된다.
겨울에 채취한 김을 사각형 형태로 말려, 1년 동안
주로 냉동 보관한다.
김은 갯벌에 있는 바닷가에서만 양식이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서해와 남해에서만 김이 채취된다.
갯벌의 풍부한 영양분과 염류를 먹고 자라기
때문이다.
특히 서해는 조석 간만의 차가 크고 갯벌이 넓기
때문에 김을 양식하는 데 최적의 조건이다.
어민들은 새벽 일찍 나가 김을 채취하거나 김밭을
뒤집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는 칼바람을 맞으며
혹독한 추위를 견뎌야 하는 고된 작업니다.
Key Expressions
1. major producer 주요 생산지
2. be responsible for ~을 차지하다
3. the top exporter of ~의 수출 1위
4. set a new record 신기록을 세우다
5. profitable product 수익성이 좋은 상품
6. keep frozen 냉동 보관하다
7. be farm ~ raised 양식되다
8. mud flats 갯벌
9. thrive on ~을 먹고 잘 자라다
10. abundant nutrients 풍부한 영양분
11. wide tidal range 큰 조차
12. ideal conditions for ~에 이상적인 조건
13. the small hours of the morning 새벽 이른 시간
14. back-breaking work 매우 고된 일
15. bitter cold 혹독한 추위
16. biting winds 칼바람
17. buy it in bulk 대량으로 구입하다.
18. mouth-watering 아주 맛있는
19. It's no wonder 이상할 것도 없다.
출처:https://blog.naver.com/darkwing36/222480722149
~~~~~~~~~~
NOTES
●[입이트이는영어 홈페이지]
http://home.ebs.co.kr/speakinge
●[권주현의 진짜 영국 영어]
https://5dang.ebs.co.kr/auschool/detail?courseId=10204333
He is still wet behind the ears.
그는 아직 미숙해.
A: It's written all over his face that he is worried.
그가 걱정하는 게 얼굴에 다 쓰여 있어.
B: He is still wet behind the ears.
It's no wonder he feels that way.
그는 아직 미숙해.
그가 그렇게 느끼는 건 당연하지.
*wet behind the ears :
(직역:'귀 뒤가 젖은,미숙한,풋내기의')
㊟갓 태어나 몸에 묻어 있는 양수가 점점 마르게
되면서 마지막으로 귀밑 부분만 젖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 표현으로 직역하면
'귀 뒤가 젖은→미숙한, 풋내기의' 라는 의미.
*dry behind the ears :
(직역:'성숙한,풋내기가 아닌')이라는 의미.
~~~~~~~~~~
Korean Seaweed
(한국의 김)
[입이트이는영어 2021.8.23]
***************
Ref.http://blog.daum.net/cozygarden/11776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