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재고 86만7천톤 경동 올해 광부 145명 감원 무연탄 발전지원 기반기금 적어 … 정치권 나서야
속보=이중고를 겪고 있는 탄광업계(본보 12일자 1면 보도)를 살릴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역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내 유일의 자급 에너지이자 서민연료인 연탄이 가정용 공급이 줄면서 매년 재고량이 늘어나는 데다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셧다운 및 조기 폐지 정책에 따라 국내 무연탄 전용 발전소의 사용량이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치할 경우 민영탄광의 감원과 대규모 실직 사태, 폐광 시기 조기 도래, 새 정부 주요 정책과제인 일자리 창출의 역행 등 각종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실상=대한석탄공사(석공)와 경동탄광 등 국내 5개 광산의 6월 말 기준 생산량은 79만8,828톤인 반면 판매량 52만2,139톤에 그치고 누적 재고량만 86만7,258톤에 이르고 있다.
기온 상승과 연탄가격 인상, 도시가스 공급 확대, 생활환경변화에 따른 가정용 연탄사용 급감, 화훼농가 운영난 등이 주된 이유다.
국내 단일 광산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은 경동의 경우 지난해 69만138톤 생산량에서 올해는 14만6,138톤(21%)이 감산된 54만4,000톤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만 광부 145명이 감원된 상태다.
2003년 271만톤이던 국내 무연탄의 발전소 배정량이 지난해 24만톤으로 10분의 1로 감축됐고,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방침에 따라 동해화력에만 의존해야 할 처지로 몰렸다.
■해결방안은=김양호 삼척시장은 최근 남부발전 삼척그린파워에 탄광업계의 이 같은 어려움을 전달하고, 공생방안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 남부발전이 국내 무연탄 10%만 혼용할 경우 연간 70만톤의 소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건은 비용이다. 3등급 국내 무연탄 가격이 16만원 선인 반면 수입탄은 운반비와 세금 등을 포함해 12만원 선에 수입, 차액에 대한 손실 보전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연간 국내 무연탄 20만톤 소비 시 134억원 정도의 비용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게 남부발전 측의 계산이다.
이를 위해 전력산업기반기금 적용대상으로 지정돼야 하지만, 무연탄 발전지원 기반기금이 10억원 수준인 데다 전력시장에서 손실반영을 위한 정산조정계수 적용이 불가능해 손실 보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단, 수입탄과 동일한 가격(열량단가)으로 국내 발전용 무연탄을 공급하고 탄광지역의 비용손실 부분은 폐광기금 등을 활용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권정복 삼척시의회 부의장은 “탄광업계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역 발전소와 상생하기 위해서는 시와 발전업계, 정치권이 나서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
첫댓글 탄광업계는 앞이 보이지 않는다
이런 사태가 찾아오리라곤 에견치 못했다
기후를 보면 탄광업계가 할 말은 없지만
대책은 세워 놓고 저탄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