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 dictionary of phonetics and phonology 150쪽에 다음과 같이 나와있습니다!
eat의 t가 coda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aspirated 된다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2005 전국21번에 나오는 aspirated voiceless stops occur at the beginning of a stressed syllable이라는 규칙은 안 지켜지기도 하는 건가요?
첫댓글 aspiration의 가능성은 모든 position에서 어느정도 다 있다고 AEP에도 나오더라구요그때그때 지문 내용을 따라가야 하지않을까요?
와!! 답변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aspiration만 (특정환경 조건이 있긴 하지만) 모든 position에서 일어나는 경향이 있고, 아래의 현상들은 그런 경향이 없는 걸까요? 특정환경 조건이 철저하게 지켜지는지요!(a) flap: intervocalic position in unstressed syllables(d) /l/-velarization: coda, nucleus(e) vowel nasalization: nasal 앞그래서 첨부해드리는 2012 31번 기출의 (a, d, e)가 complementary distribution이 되는 건지요! (막 아무데서나 일어나면 complementary distribution이 안 일어나니까요!)🤔❤️
첫댓글 aspiration의 가능성은 모든 position에서 어느정도 다 있다고 AEP에도 나오더라구요
그때그때 지문 내용을 따라가야 하지않을까요?
와!! 답변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
aspiration만 (특정환경 조건이 있긴 하지만) 모든 position에서 일어나는 경향이 있고,
아래의 현상들은 그런 경향이 없는 걸까요? 특정환경 조건이 철저하게 지켜지는지요!
(a) flap: intervocalic position in unstressed syllables
(d) /l/-velarization: coda, nucleus
(e) vowel nasalization: nasal 앞
그래서 첨부해드리는 2012 31번 기출의 (a, d, e)가 complementary distribution이 되는 건지요! (막 아무데서나 일어나면 complementary distribution이 안 일어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