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와 협의체 구성 논의부터 시작
협의체에 시민 참여 중요
해체되기 열흘 전 세월호 기억공간 모습. ⓒ김수나 기자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이하 가족협의회)가 5일 광화문광장 세월호 기억공간 해체를 마쳤다. 향후 기억공간에 대해서는 서울시와 협의체 구성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가족협의회 유경근 집행위원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5일 기억관 건물 해체가 완료됐고 기둥, 보 등을 안산 가족협의회로 옮겨, 이후 사용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임시 기억공간은 모금을 통해 조성되며 서울시의회 본청 앞에 설치된다.
지난 7월 30일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요청으로 가족협의회와 서울시장 간 면담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유 집행위원장은 오 시장이 “가족협의회의 이번 결정을 보며 광화문광장 공사 후 세월호참사 기억공간에 대해 협의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협의체 구성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만나자고 했다”고 전했다.
면담에서 오 시장은 “이후 관련 협의는 3자의 개입 없이 서울시와 가족협의회 사이에서만 하고 싶다”고 밝혔다. 하지만 가족협의회는 “광화문광장 세월호참사 기억공간은 세월호참사 피해자만이 아닌 시민들의 공간”인 만큼 협의체에 시민들이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입장 차이를 확인한 가족협의회는 “우선은 기존 소통 채널이었던 서울시 총무과장, 행정국장과 협의체 구성을 위한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족협의회는 3일 서울시의회, 박주민, 고영인 국회의원과의 간담회에서도 “시민의 뜻을 대변하는 시의회가 협의체 구성에서 빠지는 것은 맞지 않다”면서 “협의체 참여를 떠나 서울시의회가 시민의 뜻을 적극 수렴해 새로운 광화문광장에 생명과 안전, 민주주의를 향한 시민의 공간을 제대로 설치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억공간이 있던 곳은 세월호 참사 직후부터 약 5년 동안 참사의 진상 규명과 안전사회를 향한 시민들의 열망이 모이면서 천막 14개 동이 설치됐던 자리다. 세월호 가족들과 시민들은 지난 2019년 3월 그 천막들을 자진 철거했고, 4월 서울시는 그 자리에 기억공간을 만들면서, 안전 사회를 향한 상징적 공간이 됐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