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화신에서 연신환허까지 20여년
20여년의 세월은 강산도 변화무쌍하고 인생살이에도 변화가 많다.
어린 아기는 청년으로 성장을 하고, 청년들은 중년으로,
중년은 서산(西山)에 걸린 해처럼 죽음의 길목에서 서성이는 나이가 된다.
수련이 뭔지도 모르면서 시작된 수련은 어느새 연기화신하는 과정이 일어나면서
변화된 몸은 초기에는 엄청난 변화를 겪지만 외부에는 큰 변화가 없으매
사람들은 어떠한 상황인지 몰랐다.
먹지 않고 몸에 축적된 음식에서 얻은 에너지를 말리는 과정이어서
큰 병을 얻은 환자로 보이기 십상이었다.
진단(眞丹)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眞氣가 피어오르는 몸이라 피로감도 없고
배고픔도 없어 먹고 자는 것이 보통사람들보다 훨씬 적어도 활동하는데 무리가 없는
활기찬 몸이지만 타인들의 눈에는 환자로 보일만큼 허약해 보였다.
환골탈태(換骨脫兌), 말로만 듣던 환골탈태를 겪었다.
연기화신 수련 과정(단계, 경지)은 근골(筋骨, 뼈와 근육)의 구조가 바뀌고
생체리듬 생리현상 생체에너지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아기를 출산한 산모(産母)와 비교가 되는 그런 현상이 실제로 나타난 것이다.
아기를 출산한 産母는 산후(産後)에 생기는 부작용을 겪지 않기 위해서 몸조리를 해야 하지만
아기를 출산한 産母처럼 몸에 엄청난 변화가 있으나 몸조리는 하지 않아도 되었다.
환골탈태는 정화 해독 재생 복원하는 자정능력을 강화하였고
면역력 치유력 저항력을 지닌 자생능력을 온전하게 보통사람들의 몸과 차별이 되도록 하였다.
천천히 늙고 몸에 병이 없는 무병장수하고 불로장생하는 길이 열려졌다.
연신환허 수련 과정(단계, 경지)의 초기에 나타나는 虛 無 功은
먹고 마시면서 수곡의 영양소에서 에너지를 취해 생존하던 방식이 바뀌어
단전호흡으로 기식(氣食)을 하면서 음식을 먹지 않아서 수곡의 영양소가 없는 虛 無 功이었고
환허합도(還虛合道)는 일종무종일로 수련과정이 끝나는 환골탈태(還骨奪胎)로
진기가 피어오르는 眞丹을 완성한 경지였다.
연신환허 수련 과정(단계, 경지)는 연기화신 수련과정에서 먹지 않았던 음식을 조금씩 먹게 되면서
感 息 觸이 자극을 받아 날뛰게 함으로써 수련이 얼마나 잘 되었는지 판단을 하는 수련과정이 펼쳐졌다.
이때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감정이 밖으로 표출되지 않도록 하는 누진(漏盡)수련 과정이다.
삼망(三妄)과 삼도(三途)가 무엇인지 확연하게 드러나는 경지가 연신환허 수련경지였다.
욕망 욕심 욕구와 탐 진 치가 사라진 경지여서 번뇌 망상과 근심걱정이 없는 마음상태가 되었다.
외부에서 전이되는 정보로 기감(氣感)을 느끼면서 느껴지는 기감에서 감정과 호흡과 감각을
자극하므로써 삼망(三妄)과 삼도(三途)는 욕망 욕심 욕구와 탐 진 치라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20여년의 세월동안 엄청난 변화를 겪으면 수련은 완결되었고
수련이 완결된 것을 성통공완이라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제는 성통공완 자 조 영득쾌락(性通功完 者 朝 永得快樂)의 의미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부러운 것도 없고
탐나는 것도 없고
가지고 싶은 것도 없는 ........ 비소유의 즐거움까지
첫댓글 虛 無 功에서 공은 빌 空으료 표기해야 할 것을 功으로 잘못 표기된 것인데 지적을 하는 사람들이 없네요 ^,~
축하드립니다. 성통공완후에는 무슨 일을 하여야하나요? 홍익인간? 죽음은 맘대로 결정하나요? 영생이 가능한지요....
고맙습니다^^
성통공완이 된 사람이 남긴 자료가 없고 그래서 성통공완자가 무엇을 하는지 , 해야 하는지 아직은 잘 모릅니다.
죽음을 초월하고 영생한다는 건 자연의 순리에 벗어나는 것이니
건강하게 살다가 어느 날 홀련히 세상을 떠나리라 생각됩니다.
@草然 고대에는 몇백년도 살았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