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유틸/상사/기계 유재선]
유틸리티
송전 인프라 부족과 계통관리변전소
□ 하남시 동서울변전소 증설 불허 조치
언론에 따르면 8월 21일에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HVDC 변환소 신설을 위해 한국전력이 제출한 건축허가 등 인허가 신청 4건을 불허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유는 주거단지 밀집지역이기 때문에 전자파 발생 등으로 수용성이 낮고 입지 선정 과정이 불투명했다는 내용이다. 2026년까지 6,996억원을 투입해 변전소를 옥내화하고 남는 부지를 활용해 HVDC 변환소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오래 전부터 운영되고 있었고 기존 전기공급시설 부지 안에서 진행될 사업은 전원개발 촉진법에 따른 입지선정위원회 대상이 아니란 점에서 향후 재개 가능성은 높다. 하지만 이번 불허 조치로 2026년 6월에 준공 목표였던 동해안-수도권 HVDC 2단계 사업이 지연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 동해안 계통관리변전소 접속가능시기 지연 가능성
계통관리변전소는 수용용량이 포화된 변전소로 연계된 발전설비에 대해 출력제어가 상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변전소다. 송전선로, 변압기 과부화율, 과도안정도, 전력수급 불균형, 전압안정도 등을 검토하여 계통관리변전소가 도출된다. 6월 17일 기준으로 205개소가 지정되었고 동해안 지역에 25개가 위치하고 있다. 현재 HVDC 설비가 지어지고 있는 지역으로 기존에 언급되었던 접속가능시기는 2026년 7월 이후다. 현재 해당 지역의 전체 발전설비 용량이 송전가능 용량을 초과한 상황이며 원자력 발전소보다 급전순위가 낮은 민간 유연탄 발전소 이용률 하락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중이다.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용량은 총 8GW로 건설 중인 신가평변환소로 4GW, 동서울변환소로 4GW의 전기가 공급되는 계획이다. 이번 불허 조치로 공기가 지연되는 만큼 송전제약 현상 해소도 늦어질 수밖에 없다.
□ 정부는 계통포화현상 해소 위한 노력 지속 중
호남 지역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약 11GW이며 이후 2032년까지 32.5GW의 추가 연계가 예정되어 있는데 계통용량은 포화된 상황이다. 모든 발전기의 계통관리변전소 접속은 접속가능시기 이후 가능하다. 준비기간이 8년인 해상풍력은 2032년까지 여유가 있지만 기간이 짧은 태양광의 경우 사업 추진이 당분간 불가능하며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불확실성 확대 원인으로 작동할 전망이다. 정부는 계통질서 재정립을 위해 허수 사업자를 선별하는 한편 ESS, STATCOM과 같은 계통안정화 설비 설치 조건부 허가, 보증금 예치제도 설정 검토 등 여러 수단을 고민하고 있다. 근본적으로 송변전설비 투자가 빠르게 이뤄져야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법률적 지원, 전력 수요-공급 지역적 불균형 해소 노력이 추가로 동반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송변전설비 건설 인허가권을 갖고 있는 지자체의 협조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보고서 링크: https://url.kr/tmty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