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한켜는 길이쌓기로 하고 다음은 마구리쌓기로 하며 모서리에 칠오토막을 써서 아무리는 벽돌쌓기법은?
가. 영식 쌓기
나. 화란식 쌓기
다. 불식 쌓기
라. 미식 쌓기
2. 다음 중 테두리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철근콘크리트 블록조에 있어서 벽체를 일체화하기 위해 설치한다.
나. 테두리보의 나비는 보통 그 밑의 내력벽 두께보다는 작아야 한다.
다. 최상층의 경우 지붕 슬래브를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으로 할 경우에는 테두리보를 따로 쓰지 않아도 좋다.
라. 테두리보는 폐쇄된 수평면의 골조를 구성해야 한다.
3. 철근콘크리트 사각형 기둥에는 주근을 최소 몇 개 이상 배근해야 하는가?
가. 2개
나. 4개
다. 6개
라. 8개
4. 다음 중 내민보(cantilever bea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연속보의 한 끝이나 지점에 고정된 보의 한 끝이 지지점에서 내민 형태로 달려 있는 보를 말한다.
나. 보의 양단이 벽돌, 블록, 석조벽 등에 단순히 얹혀있는 상태로 된 보를 말한다.
다. 단순보와 동일하게 보의 하부에 인장주근을 배치하고 상부에는 압축철근을 배치한다.
라. 전단력에 대한 보강의 역할을 하는 늑근은 사용하지 않는다.
5. 다음 중 목조벽체를 수평력에 견디게 하고 안정한 구조로 하는데 필요한 부재는?
가. 멍에
나. 가새
다. 장선
라. 동바리
6. 다음 중 철골조에서 기둥과 기초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가. 기초판(base plate)
나. 사이드 앵글(side angle)
다. 클립 앵글(clip angle)
라. 거셋 플레이트(gusset plate)
7. 다음 중 건물의 부동침하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가. 연약층
나. 경사지반
다. 지하실을 강성체로 설치
라. 건물의 일부 증축
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구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간 사이를 길게 할 수 있어서 넓은 공간을 설계할 수 있다.
나. 부재 단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진동이 없다.
다.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시공과정을 기계화할 수 있다.
라. 고강도 재료를 사용하므로 강도와 내구성이 큰 구조를 만들 수 있다.
9. 다음 건축구조의 분류 중 라멘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가. 철근콘크리트구조
나. 조적조
다. 벽식구조
라. 트러스구조
10. 다음 중 철근의 정착길이의 결정요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가. 철근의 종류
나. 콘크리트의 강도
다. 갈고리의 유무
라. 물-시멘트비
11. 다음 중 철계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피난계단에 적당하다.
나. 철계단의 접합은 보통 볼트조임, 용접 등으로 한다.
다. 구조가 복잡하여 형태가 자유롭지 못하다.
라. 공장, 창고 등에 널리 사용된다.
12. 다음 중 블록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외관이 장중 미려하다.
나. 내화적이다.
다. 내구성 내마멸성이 우수하다.
라. 목구조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다.
13. 다음 중 주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붕이 아닌 것은?
가. 모임지붕
나. 박공지붕
다. 평지붕
라. 톱날지붕
14. 다음 중 목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전각·사원 등의 동양고전식 구조법이다.
나. 가구식구조에 속한다.
다. 친화감이 있고, 미려하나 부패에 약하다.
라. 큰 단면이나 긴 부재를 얻기 쉽다.
15. 다음 중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데 쓰이는 긴결재는?
가. 꺽쇄
나. 컬럼밴드
다. 세퍼레이터
라. 듀벨
16. 다음 중 지붕 및 바닥 등을 인장력을 가한 케이블로 지지하는 구조양식은?
가. 커튼월구조
나. 일체식구조
다. 조적식 구조
라. 현수구조
17. 다음 중 흙막이벽 공사시 토질에 생기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가. 보일링
나. 파이핑
다. 언더피닝
라. 히빙
18. 다음 중 용접 결함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언더컷(under cut)
나. 엔드탭(end tab)
다. 오버랩(overlap)
라. 블로홀(blowhole)
19. 다음 중 철골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벽돌구조에 비하여 수평력에 강하다.
나. 장스팬 구조가 가능하다.
다.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서 적당한 내화피복이 필요하다.
라.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하여 동절기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0. 다음 중 아치(Arch)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조적벽체의 출입문 상부에서 버팀대 역할을 한다.
나. 아치대에는 압축력만 작용한다.
다. 아치벽돌을 특별히 주문 제작하여 쓴 것을 층두리 아치라 한다.
라. 아치의 종류에는 평아치, 반원아치, 결원아치 등이 있다.
21. 건축재료의 성질에 관한 용어로서 어떤 재료에 외력을 가했을 때 작은 변형만 나타나도 곧 파괴되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가. 전성
나. 취성
다. 탄성
라. 연성
22. 2장 또는 3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을 띄우고 둘레에는 틀을 끼워 내부는 기밀하게 하고 건조공기를 넣어 방서, 단열, 방음용으로 쓰이는 유리는?
가. 강화유리
나. 무늬유리
다. 복층유리
라. 망입유리
23. 다음 중 석고 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시공이 용이하고 표면가공이 다양하다.
나. 부식이 안되고 충해를 받지 않는다.
다. 단열성이 높다.
라. 내수성이 높아서 흡수로 인한 강도저하가 거의 없다.
24.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물-시멘트비가 일정한 경우 공기량을 증가시키면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나. 시공연도가 좋아지므로 재료분리가 적어진다.
다. 동결융해작용에 의한 마모에 대하여 저항성이 증대시킨다.
라. 철근에 대한 부착강도가 감소한다.
25. 다음 중 현대 건축 재료의 일정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고성능화, 공업화
나. 프리패브화의 경향에 맞는 재료개선
다. 수작업과 현장시공에 맞는 재료개발
라. 에너지 절약화와 능률화
26. 건축물의 내외면 마감, 각종 인조석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시멘트는?
가. 실리카시멘트
나. 조강포틀랜드시멘트
다. 팽창시멘트
라. 백색포틀랜드시멘트
27. 다음 중 요소수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착색이 용이하지 못하다.
나. 마감재, 가구재 등에 사용된다.
다. 내수성이 약하다.
라. 열경화성 수지이다.
28. 다음 중 천연 아스팔트가 아닌 것은?
가. 레이크 아스팔트
나. 로크 아스팔트
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라. 아스팔트타이트
29. 다음 중 점토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점토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3.5~3.6 정도이다.
나. 양질의 점토일수록 가소성은 나빠진다.
다. 미립점토의 인장강도는 3~10MPa 정도이다.
라. 점토의 압축강도는 인장강도의 약 5배정도이다.
30. 건축재료의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구조재료
나. 인공재료
다. 마감재료
라. 차단재료
31. 다음 점토제품 중 흡수성이 가장 큰 것은?
가. 토기
나. 도기
다. 석기
라. 자기
32. 황동은 구리와 무엇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가?
가. 주석
나. 아연
다. 알루미늄
라. 납
33. 다음 중 건물의 외부 벽체 마감용으로 적당하지 않은 석재는?
가. 화강암
나. 안산암
다. 점판암
라. 대리석
34. [보기]의 목재 강도에 대하여 그 강도가 큰 순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보기]
A. 섬유방향의 압축강도
B. 섬유방향의 인장강도
C. 섬유방향의 휨강도
D. 섬유직각방향의 인장강도
가. A-B-C-D
나. D-C-B-A
다. A-D-B-C
라. B-C-A-D
35. 경량콘크리트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일반적으로 기건단위용적중량이 2.0ton/㎥ 이하인 것을 말한다.
나. 동일한 물-시멘트비에서는 보통콘크리트보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약간 크다.
다. 흡수율이 커서 동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다.
라. 경량콘크리트는 직접 흙 또는 물에 상시 접하는 부분에는 쓰지 않도록 한다.
36. 콘크리트에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나. 방동효과가 있다.
다.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라. 콘크리트의 경화가 촉진된다.
37. 20kg의 골재가 있다. 5㎜체에 몇 kg이상 통과해야 잔골재라 할 수 있는가?
가. 3kg
나. 10kg
다. 12kg
라. 17kg
38. 다음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 가운데 벽체를 구성하는 구조재로 사용 할 수 있는 것은?
가. 석면시멘트판
나. 목모시멘트판
다. 퍼라이트시멘트판
라. 속 빈 시멘트 블록
39. 다음 중 바닥 마감재인 비닐 타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아스팔트, 석면, 안료 등을 혼합․가열하고 시트형으로 만들어 절단한 판이다.
나. 착색이 자유롭다.
다. 내말멸성,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라. 아스팔트 타일보다 가열변형의 정도가 크다.
40. 다음 중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수축 균열이 발생한다.
나. 표면 경도가 회반죽보다 크다.
다. 점성이 적어서 풀로 반드시 반죽한다.
라. 마그네시아 석회라고도 하며 비중이 2.4정도 이다.
41. KS D 3503에서 강재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인 SS490의 첫 번째 S가 의미하는 것은?
가. 재질
나. 형상
다. 강도
라. 지름
42. 다음의 단면용 재료 표시 기호 중 석재에 해당되는 것은?
43. 다음 중 건축제도의 치수 기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치수 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나.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다.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를 원칙으로 하고, 반드시 단위 기호를 명시하여야 한다.
라.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44.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투시도 묘사용구는?
- 밝은 상태에서 어두운 상태까지 폭넓게 명암을 나타낼 수 있다.
- 다양한 질감 표현이 가능하다.
- 지울 수 있는 장점이 잇는 반면에 번지거나 더러워지는 단점이 있다.
가. 포스터 칼라
나. 연필
다. 잉크
라. 파스텔
45. 건축도면 중 건물벽 직각 방향에서 건물의 외관을 그린 것은?
가. 입면도
나. 전개도
다. 배근도
라. 평면도
46. 조적조 벽체에서 1.5B 쌓기의 두께로 옳은 것은? (단, 표준형 벽돌 사용)
가. 190㎜
나. 220㎜
다. 280㎜
라. 290㎜
47. 다음의 건축물의 묘사와 표현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윤곽선을 강하게 묘사하면 공간상의 입체를 돋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나. 각종 배경 표현은 건물의 배경이나 스케일, 그리고 용도를 나타내는데 꼭 필요한 때만 적당히 표현한다.
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그림자는 건물 표면의 그늘보다 밝게 표현한다.
라. 그늘과 그림자는 물체의 위치, 보는 사람의 위치, 빛의 방향, 그림자가 비칠 바닥의 형태에 의하여 표현을 달리한다.
48. 건축계획과정 중 평면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평면계획은 일반적으로 동선계획과 함께 진행된다.
나. 평면계획은 2차원적인 공간의 구성이지만, 입면 설계의 수평적 크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다. 실의 배치는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계획한다.
라. 평면계획시 공간 규모와 치수를 결정한 후 각 공간에서의 생활행위를 분석한다.
49. 다음 중 근린생활권의 주택지의 단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인보구
나. 가로 구역
다. 근린 분구
라. 근린 주구
50. 다음 설명에 알맞은 아파트 평면 형식은?
- 프라이버시가 양호하다.
- 통행부 면적이 작아서 건물의 이용도가 높다.
- 좁은 대지에서 집약형 주거 등이 가능하다.
가. 편복도형
나. 중복도형
다. 계단실형
라. 집중형
51. 다음 설명에 알맞은 주택의 실 구성형식은?
- 소규모 주택에서 많이 사용된다.
- 거실 내에 부엌과 식사실을 설치한 것이다.
- 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가. K 형
나. DK 형
다. LD 형
라. LDK 형
52. 다음 중 같은 색상의 청색 중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은?
가. 순색
나. 명청색
다. 암청색
라. 탁색
53. 건축물의 외벽, 창, 지붕 등에 설치하여 인접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화재의 연소를 방재하는 설비는?
가. 스프링쿨러 설비
나. 연결 살수 설비
다. 옥내 소화전 설비
라. 드렌처 설비
54. 주택의 단위 공간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거실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가 정사각형의 형태보다 가구의 배치나 실의 활용상 우리하다.
나. 식당의 위치는 기본적으로 부엌과 근접 배치시키는 것이 이용상 편리하다.
다. 거실은 통로로 쓰이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현관애서 먼 곳이나, 평면상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침실은 소음원이 있는 쪽은 피하고, 정원 등의 공지에 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55. 증기, 가스, 전기, 석탄 등을 열원으로 하는 물의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온수를 만들어 공급하는 설비는?
가. 변전설비
나. 배수설비
다. 급수설비
라. 급탕설비
56. 다음 중 온수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예열 시간이 증기난방에 비해 짧다.
나. 증기난방에 비해 방열면적과 배관이 작다.
다. 한랭시 난방을 정지하였을 경우 동결의 우려가 없다.
라. 현열을 이용한 난방이므로, 증기난방에 비해 쾌감도가 높다.
57. 건축 계획 단계에서 설계자의 머릿속에서 이루어진 공간의 구상을 종이에 형상화하여 그린 다음,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가. 에스키스
나. 스킵
다. 켑쳐
라. 뎃상
58. 잔향 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음 에너지의 밀도가 최소 값보다 30dB 감소하는데 걸리는 기간이다.
나. 잔향 시간은 실의 용적에 비례하고 흡음력에 반비례한다.
다. 잔향 시간이 길면 음량이 적어지고, 잔향 시간이 없으면 음이 명료하지 않아 음을 듣기 어렵게 된다.
라. 잔향 시간은 실의 형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59. 액화석유가스(LP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용기(bomb)에 넣을 수 있다.
나. 가스 절단 등 공업용으로도 사용된다.
다. 프로판 가스(propane gas)라고도 한다.
라. 공기 보다 가볍다.
60. 다음은 건축법에 따른 지하층의 정의이다. ( )안에 알맞은 내용은?
“지하층” 이란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 ) 이상인 것을 말한다.
가. 2분의 1
나. 3분의 1
다. 4분의 1
라. 5분의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