雨(비 우)가 부수로 쓰인 漢字들 - 모두 雨(비)와 관계가 있다.
零 령/영 떨어지다 雨 부수에 소리요소 令(하여금 령)가 합하여 형성된 字입니다.
하늘에서 비가 떨어지면 대지에서 더이상 떨어지지 않죠. 그래서 수에서 떨어지지 않는 숫자 0에 이 字의
음을 대입하였습니다. 본래 숫자 0은 인도에서 만든 숫자인데 0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0을 '(영=零)'이라 부르게 된 것이죠.
예문 "오늘은 零下(영하) 5度(도)야."
靈 령/영 신령,영혼,귀신 雨 부수에 口(입 구)와 巫(무당 무) 字가 합하여진 형성문자입니다.
부수로 쓰인 雨(비 우)는 (하늘에서)떨어진다의 의미를 갖고, 하늘에서 내리는 말씀(口)을
무당(巫)이 듣는다... 신내림을 받는 무당은 귀신이 씌인 상태. -> 귀신,영혼의 의미.
무당 巫(무)는 무당의 옷차림(소매 모양)를 보고 만든 상형문자입니다.
需 수 쓰다/구하다/기다리다 雨 부수에 而(어조사 이)가 합한 회의문자입니다.
而(어조사 이)는 수염의 모양을 본따 만든 字. 비가 내리는데 수염을 쓸어내리고 있다는 건..
비가 그치길 기다리고 있는 것이죠? ^^
활용단어
需給(수급) 수요(需要)와 공급(供給)
需要(수요) 구매력(購買力)의 뒷받침이 있는 상품(商品) 구매(購買)의 욕망(慾望)
雷 뢰/뇌 우레 雨 부수에 소리요소 田(밭 전)이 합한 형성문자입니다.
이 字의 音(음)으로 쓰인 田(전)은 畾(밭사이의땅 뢰)의 축약된 字로 쓰였습니다.
밭 사이사이로 떨어지는 벼락의 의미.
그리고 흔히 쓰이는 우뢰는 틀린 말입니다. 우레가 맞는 말입니다.
霧 무 안개 雨 부수에 소리요소 務(힘쓸 무)가 합한 형성문자입니다.
대지를 수증기가 힘으로 누르고 있는 것? 어쩌면 그렇게 보였을 수도 있겠네요.ㅎㅎ
雪 설 눈 雨 부수와 彗(살별,빗자루 혜)에서 彐(터진가로 왈)이 합하여진 회의문자입니다.
雪의 본자는
인데 雪로 축약되어 쓰입니다. 하늘에서 내리면 빗자루로 쓸어야 하는 것은? 군대시절 생각나네요;
.
電 전 전기,번개 雨 부수와 소리요소 申(거듭 신->전으로 전음)이 합하여진 형성문자입니다.
申은 번갯불 모양을 본따 만든 상형문자인데 여러가지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본래 번개의 의미로 쓰일 때는
雨를 붙여 電으로 쓰입니다.
雲 운 구름 雨 부수와 소리요소 云(구름,이를 운)이 합하여진 형성문자입니다.
音(음)으로 쓰인 云이 본래 구름의 모양을 그린 형성문자(二부수)이나, 云이 말하다,이르다라는 뜻으로 쓰이면서
본래 구름의 의미로 쓰일때는 雲으로 쓰입니다.
霜 상 서리 雨 부수와 소리요소 相(서로 상)이 합하여진 형성문자입니다.
수증기가 대지에서 서로붙으며 얼어버린 것=서리.
露 로 이슬 雨 부수와 소리요소 路(길 로)가 합하여진 형성문자입니다.
路는 이어져 있다는 의미를 갖고, 수증기가 낱알모양으로 이어져 있는 것이라는 의미.
이슬의 사전의미는 수증기가 물체에 응결하여 생기는 물방울.
첫댓글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건강하세요.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건강하세요.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늘 행복하세요...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잘봤읍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참 좋은 인연 입니다()()()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