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소개
사회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질서가 필요하며 이 질서는 흔히 법률과 같은 강제적 형태로 존재하곤 한다. 하지만 모든 것을 법률로 규약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법으로도 규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보다 건전하고 원활한 공동체의 운영을 위한 자발적인 구성원간의 약속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속의 구체적인 형태가 바로 에티켓과 금기이다. 지중해는 세계 3대 계시 종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발생지로서 여타 지역에 비해 종교색이 강한 지역이며, 이들 지역의 에티켓과 금기 역시 유대교와 기독교 및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고 있다. 저자는 지중해 지역 각 나라별 에티켓과 금기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타 문화의 에티켓과 금기에 대하여 아는 것이 세계 시민 의식의 배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자신과 타자를 구분하는 차별이 아닌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공영 의식은, 더욱 중요한 가치로서 빛을 발할 것이다.
👦 저자 소개
지중해지역원
윤용수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現원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박사
세바스티안 뮐러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HK교수
독일, Freie Universitat Berlin 고고학박사
모나 파루끄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HK교수
이집트, Zagazig University 비교종교학박사
무함마드 하산 모자파리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HK연구교수
밀리아 이슬라미아(Jamia Millia Islamia) 대학교 법학박사
양민지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HK 교수
터키, Erciyes University 투르크 민속학박사
김수정
부산외국어대학교 아랍학과 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아랍 지역학 박사
진소영
부산외국어대학교 아랍학과 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글로벌지역학과 박사과정수료
📜 목차
머리말
│에티켓과 금기의 사회적 의미_윤용수
1. 에티켓(Etiquette)
2. 금기(禁忌, Taboo)
3. 지중해의 에티켓과 금기
│이슬람 세계의 허용과 금기_황의갑
1. 허용과 금기에 관한 이슬람 원칙
2. 사적 생활에서의 허용과 금기
3. 결혼과 가정생활에서의 허용과 금기
│이스라엘의 금기와 에티켓_신성윤
1. 서론
2. 이스라엘의 금기
3. 이스라엘의 에티켓
4. 결론
│그리스인 일상의 도덕과 관습_최자영
1. 출생
2. 양자 들이기
3. 양자 내주기
4. 세례
5. 중매
6. 약혼
7. 혼인
8. 생일
9. 사망
10. 장례식에 즈음한 우리의 부조문화와 그리스의 기부문화
│이탈리아의 금기와 에티켓_김희정
1. 이탈리아 축제와 금기
2. 이탈리아 결혼, 장례와 금기
3. 이탈리아 일상생활과 에티켓
4. 이탈리아 음식과 금기 그리고 에티켓
5. 이탈리아 공연 및 박물관 관람 그리고 에티켓
6. 이탈리아 제스처와 금기 그리고 에티켓
7. 지중해 손가락 제스처
│프랑스어를 통한 문화적 금기_장니나
1. 비언어-언어 커뮤니케이션과 금기
2. 제스처, 표정, 몸짓을 통한 문화적 금기
3. 언어·비언어 문화적 금기에 관한 해석
│프랑스 결혼식과 예법_임지영
1. 들어가며
2. 결혼제도와 종류
3. 결혼의 예식
4. 하객의 예의
5. 나오며
│스페인에서의 금기와 에티켓_임주인
1. 에티켓과 금기의 일상적 의미
2. 일상생활에서의 금기와 에티켓
3. 사업상의 금기와 에티켓
4. 사회 질서유지와 관련된 금기와 에티켓
5. 종교 및 정치와 관련된 금기와 에티켓
6. 음식에서의 금기와 에티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