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선의 주석 dutiyajjhānakatha [청정도론 396쪽~399쪽]
imāsu pana pañcāsu vāsīsu ciṇṇavsainā paguṇa paṭhamajjhānato vuṭṭhāya,
ayaṃ samāpatti āsannanīvaraṇapaccatthikā,
vitakkavicārānaṃ oḷārikattā aṅgadubbalā ti ca tattha dosaṃ disvā,
137. 이 다섯 가지의 자유자재를 얻은 자는 익숙한 초선으로부터 출정하여
'증득은 다섯 가지의 장애(五蓋)라는 적과 가깝고
또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거칠기 때문에
구성요소가 약하다'고 거기서 결점을 본다.
dutiyaṃ jhānaṃ, santato manasikaritvā,
paṭhamajjhāne nikantiṃ pariyādāya, dutiyādhigamāya yogo kātabbo.
그는 제2선을 고요하다고 마음에 잡도리하고
초선에 대한 집착을 종식시킨 뒤 제2선을 얻기 위해 수행을 해야 한다.
ath' assa yadā paṭhamajjhānā vuṭṭhāya satassa sampajānassa
jhānaṅgāni paccavekkhato vitakkavicārā oḷārikato upaṭṭhahanti.
138. 그가 초선으로부터 출정하여 마음챙기고 알아차리면서
禪의 구성요소들을 반조할 때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거칠게 나타나고
pītisukhañ ceva cittekaggatā ca santato upaṭṭhāti.
희열과 행복과 마음의 하나됨이 고요하게 나타나면
tad-assa oḷārikaṅgappahānāya santaṅgapaṭilābhāya ca
tad-eva nimittaṃ pathavī pathavī ti punappuna manasikaroto:
그 거친 구성요소를 버리고 고요한 구성요소를 얻기 위하여
바로 그 표상에 대해 '빠타위(땅), 빠타위'하면서 계속해서 마음에 잡도리한다.
idāni dutiyajjhānaṃ sampajjissatī ti
bhavaṅgaṃ upacchinditvā,
tad-eva pathavīkasiṇaṃ ārammaṇaṃ katvā,
manodvārāvajjanaṃ uppajjati.
그러면 '막 제2선이 일어나려는' [그 순간에]
잠재의식을 끊고
그 땅의 까시나를 대상으로
의문전향(意門轉向, 마노의 문을 통한 전향)이 일어난다.
tato tasmiṃ yev' ārammaṇe cattāri pañca vā javanāni javanti.
그 다음에 그 대상에 네 번 혹은 다섯 번 속행이 일어난다.
yesaṃ avasane ekaṃ rūpāvacaraṃ dutiyajjhānikaṃ
sesāni vuttappakārān' eva kāmāvacarānī ti.
그들 가운데 마지막 하나가 색계의 속행이고 제2선에 속한다.
나머지는 이미 그 종류를 설했고 욕계의 것이다.
제 2선의 정형구
ettāvatā c' esa:-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ṃ
avitakkam-avicāraṃ samādhījaṃ pītisukhaṃ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139. 이때에 "일으킨 생각(尋)과 지속적인 고찰(伺)를 가라앉혔기 때문에
자기 내면의 것이고, 확신이 있으며, 마음의 단일한 상태이고,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은 없고,
삼매에서 생긴 희열과 행복이 있는 제2선(二禪)에 들어 머문다.(Vbh.245)"
evaṃ anena dvaṅgavippahīnaṃ tivaṅgasamannāgataṃ tividhakalyāṇaṃ dasalakkhaṇasampannaṃ
dutiyaṃ jhānaṃ adhigataṃ hoti pathavīkasiṇaṃ. ^156
이와 같이 그는 두가지 구성요소들을 버렸고, 세 가지 구성요소들을 가지며,
세 가지로 좋고, 열 가지 특징을 가지고, 땅의 까시나를 가진 제2선을 얻는다.
tattha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ti
140. 일으킨 생각(尋)과 지속적인 고찰(伺)을 가라앉혔기 때문에:
vitakkassa ca vicārassa cā ti imesaṃ dvinnaṃ vūpasamā samatikkamā,
dutiyajjhānakkhaṇe aṅgapātubhāvā ti vuttaṃ hoti.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라는 이 둘을 가라앉혔기 때문에, 극복했기 때문에,
제2선의 순간에 그들은 나타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tattha kiñcāpi dutiyajjhāne sabbe paṭhamajjhānadhammā na santi,
aññe yeva hi paṭhamajjhāne phassādayo, aññe idha;
oḷārikassa pana aṅgassa samatikkamā paṭhamajjhānato paresaṃ dutiyajjhānādīnaṃ adhigamo hotī ti
dīpanatthaṃ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ti evaṃ vuttan ti veditabbaṃ.
초선에 있는 감각접촉(觸) 등은 제2선의 감각접촉 등과 서로 다르기 때문에
초선에 속하는 법들은 아무것도 제2선에 존재하지 않지만
각각 거친 구성요소를 극복한 뒤 초선으로부터 제2선 등 다른 禪을 얻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을 가라앉혔기 때문에'라고 설했다고 알아야 한다.
ajjhattaṃ ti
141. 자기 내면의 것이고:
idha niyakajjhattaṃ adhippetaṃ.
vibhaṅge pana: ajjhattaṃ paccattan ti ettakaṃ eva vuttaṃ.
여기서 자신의 내면에 속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위방가」 에서 "내면적이고 개인적인(Vbh.258)" 이라고 이만큼만 설했다.
yasmā ca niyakajjhattaṃ adhippetaṃ,
tasmā attani jātaṃ, attano santāne nibbattan ti ayaṃ ettha attho.
자신의 내면을 뜻하기 때문에
'자기한테서 생긴', '자기의 상속(相續, 흐름)에서 생긴'이라는 것이 여기서의 뜻이다.
[內外 http://cafe.daum.net/pali-study/9akA/318
계속해서 주석서는 이 넷을 경의 예문을 들어서 설명한 뒤
‘‘Ajjhattaṃ sampasādanaṃ’’ (dī. ni. 1.228; dha. sa. 161),
‘‘ajjhattaṃ vā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ī’’ti ādīsu (dī. ni. 2.373) niyakajjhatte.
Idha pana niyakajjhatte adhippeto.
여기서는 두 번째인 자기 것으로서의 안()을 뜻한다고 설명하고 있다.(Ibid)
계속해서 주석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Tasmā attano santāne pavattā pāṭipuggalikā dhammā ajjhattā ti veditabbā.
"그러므로 자신의 흐름 안에서 전개되는 개개인에 속하는 법들이
'안의 법들'이라고 알아야 한다.
idaṃ yathā indriyabaddhaṃ parapuggalasantāne bahiddhāti vuccamānampi
tassa attano santānapariyāpannattā niyakajjhattaṃ hoti,
기능에 묶여있지 않는 것이 다른 사람의 상속에 있으면 밖의 것(bahiddha)이라고 말하지만
그 사람에게도 자신의 삶의 흐름(상속)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자기 것으로서의 안(niyakajjhatta)이 된다.]
[*niya (adj.) [Sk. nija, q. v.] one's own Sn 149 (˚putta= orasaputta KhA 248);
niyassakamma at A i.99 & Pv iv.113 (v. l. Minayeff tiyassa) is to be read as nissayakamma (q. v.).
santāna (nt.) [fr. saŋ+tan] 1. spreading, ramification, tendril (valli˚) KhA 48.
-- 2. one of the 5 celestial trees J vi.239 (˚maya made of its flowers).
-- 3. (also m,) continuity, succession; lineage S iii.143; DA i.46; DhsA 63, 217, 297; Vism 555;
VbhA 164. Cp. citta˚ continuity of consciousness Cpd. 1677.
saddahati : [saṃ + dhā + a] believes, to have faith.
dahati : [dah + a] burns; accepts. [*禪?]
sīdati : [sad + a] sinks; subsides; yields.
sādana n. (fr. Caus.) putting together, arranging [*三昧?]
pasādana (nt.) [fr. pa+sad] 1. happy state, reconcilia- tion, purity PvA 132.
-- 2. granting graces, gratification DhA iii.3
(brahmaṇo mama p. ˚ṭṭhāne pasīdati he is gracious instead of me giving graces). -- Cp. sam˚.
sampasādana [saŋ+pasādana] (nt.) tranquillizing]
sampasādanaṃ ti
142. 확신이 있으며:
sampasādanaṃ vuccati saddhā.
믿음(saddhā)을 확신(sampasādana)이라 한다.
sampasādanayogato jhānaṃ pi sampasādanaṃ,
확신과 결합되어있기 때문에 禪이 '확신을 가졌다'고 한다.
nīlavaṇṇayogato nīlaṃ vattham viya.
이는 푸른색과 결합되어있기 때문에 옷이 '푸른색을 가졌다'고 하는 것과 같다.
yasmā vā taṃ jhānaṃ sampasādanasamannāgatattā vitakkavicārakkhobha-vūpasamanena ca
cetaso sampasādayati, tasmā pi sampasādanan ti vuttaṃ.
이 禪이 확신을 가졌기 때문에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의 방해를 가라앉혀서
마음으로 하여금 확신을 갖게 만든다. 그러므로 이 禪을 '확신을 가졌다'고 한다.
imasmiñ ca atthavikappe sampasādanaṃ cetaso ti evaṃ padasambandho veditabbo.
이렇게 뜻을 분별해 보면 [마음이라는 단어가 확신이라는 단어와 연결되는 것으로 봐서]
'마음이 확신이 있으며'270)라고 단어의 결합을 알아야 한다,
270) "이 때 마음(cetaso)은 목적격의 뜻으로 사용된 소유격이다.(Pm.80)"
purimasmiṃ pana atthavikappe cetaso ti etaṃ ekodibhāvena saddhiṃ yojetabbaṃ.
물론 일차적으로 그 뜻을 분별하면 '마음의'라는 단어는 '단일한 상태'와 함께 결합해야 한다.
tatrāyaṃ atthayojanā:-
143. [마음의 단일한 상태이고]:
eko udetī ti ekodi,
vitakkavicārehi anajjhārūḷhattā aggo seṭṭho hutvā udetī ti attho.
하나로 일어나기 때문에 하나이다.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이것을 능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상이요 최고가 되어 일어난다는 뜻이다.
seṭṭho pī hi loke eko ti vuccati.
최고인 것을 세간에서는 '하나'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vitakkavicāravirahito vā eko asahāyo hutvā iti pi vattuṃ vaṭṭati.
혹은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없기 때문에 하나이다. 동료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atha vā sampayuttadhamme udāyatī ti udi uṭṭhapetī ti attho.
혹은 함께한 법들을 일어나게 하기 때문에 '일어나게 하는(udi)'인데 생기게 한다는 뜻이다.
seṭṭhaṭṭhena eko ca so udi cā ti ekodi:
samādhiss' etaṃ adhivacanaṃ,
최고라는 뜻에서 하나(eka)이고 그것은 일어나게 하기(udi) 때문에 단일한 상태(ekodi)라 한다.
삼매와 동의어이다.
iti imaṃ ekodiṃ bhāveti vaḍḍhetī ti idaṃ dutiyajjhānaṃ ekodibhāvaṃ.
이와 같이 이 단일함을 닦고 증장시키기 때문에 이 제2선을 단일한 상태라 한다.
so panāyaṃ ekodi, yasmā cetaso, na sattassa, na jīvassa,
tasmā evaṃ cetaso ekodibhāvan ti vuttaṃ.
이 단일함은 마음에 속한 것이지 중생과 영혼에 속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마음의 단일한 상태라 말한다.
nanu cāyaṃ saddhā paṭhamajjhāne pi atthi, ayañ ca ekodi nāmako samādhi,
atha kasmā idaṃ eva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ñ cā ti vuttaṃ ?
144. [이와 같이 물을지도 모른다.] '초선에도 믿음이 있고, 이 단일한 상태라 불리는 삼매에도 있다.
그런데 무슨 이유로 오직 이 제2선을 '확신이 있고, 마음의 단일한 상태'라 하는가?'라고.
vuccate:- aduṃ hi paṭhamajjhānaṃ ^157
vitakkavicārakkhobhena, vīcitaraṅgasamākulaṃ iva jalaṃ, na suppasannaṃ hoti,
대답한다.
초선은 마치 잔물결로 인해 일렁이는 물처럼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의 방해로 확신에 차있지 않다.
tasmā satiyā pi saddhāya sampasādanan ti na vuttaṃ,
na suppadannattā yeva c' ettha samādhi pi na suṭṭhu pākaṭo, tasmā ekodibhāvanan ti pi na vuttaṃ.
그러므로 비록 믿음은 있지만 확신이 있다고는 하지 않았다.
확신에 차 있지 않기 때문에 삼매도 아주 분명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단일한 상태라고 하지 않았다.
imasmiṃ pana jhāne vitakkavicārapaḷibodhābhāvena laddhokāsā balavatī saddhā.
balavasaddhā sahāya paṭilābhen' eva samādhi pi pākaṭo; tasmā idaṃ eva evaṃ vuttan ti veditabbaṃ.
그러나 이 禪에는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의 방해가 없기 때문에 믿음은 기회를 얻어서 강해진다.
강한 믿음의 동료를 얻어 삼매도 분명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설했다고 알아야 한다.
vibhaṅge pana: sampasādanañ ti yā saddhā saddahanā okappanā abhippasādo.
cetaso ekodibhāvan ti yā cittassa ṭhiti ... pe ... sammāsamādhī ti ettakaṃ eva vuttaṃ:
evaṃ vuttena pana tena saddhiṃ ayaṃ atthavaṇṇanā yathā na virujjhati,
aññadatthu saṃsandati ceva sameti ca evaṃ veditabbā.
145. 물론 [위방가]에서 "확신은 믿음이고, 믿는 것이고, 신뢰하는 것이고, 깨끗한 믿음이다.
마음의 단일한 상태는 마음의 확고함 … 바른 삼매다.(Vbh.258)"라고 이렇게 설했다.
이와 같이 설한 [위방가]와 [본서의] 이러한 주석은 모순되지 않고 서로 부합하고 일치한다고 알아야 한다.
|
@니까야 니까야님, 수행법 공개 하시겠다니 감사히 기다리겠습니다.^^ 아들스님들께서 원하시는 수행의 도과를 성취하셔서 중생들에게 회향 하는 날이 오시길 기원합니다. 모두 건강하시고 원하시는 바 두루 이루시길 기원합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