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회관[마을會館]
마을회관은 마을의 공공 행사와 집회, 의례, 놀이, 휴식, 친목, 정보 교환 등을 목적으로 지은 건물로 행정리 또는 마을에서 건립한 공공건물이다. 그 전신(前身)은 일제강점기의 공회당이며, 1970년대 새마을운동으로 보편화되기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마을회관에서는 크고 작은 연중행사가 열리며,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살아가기 위한 중심적인 기능을 한다. 또한 마을회관은 문화·복지를 포괄하는 다목적 생활 문화 공간으로도 기능하고 있다.
정의
마을의 공공 행사와 집회, 의례, 놀이, 휴식, 친목, 정보 교환 등을 목적으로 지은 건물.
연원
마을은 행정구역에서 가장 작은 단위이다. 인간이 태어나서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공동생활을 ‘모둠살이’라고 할 때, 마을은 모둠살이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여러 조직이 있다. 마을회· 동계· 대동계는 마을 운영을 위한 상위 조직이고, 여기에 노인회 · 부녀회 · 청년회 등이 결합되어 있다. 마을회관은 주민 총회인 대동회를 비롯하여 공동체의 각종 대소사와 집회가 열리는 상징적인 문화 공간으로 기능한다.
시설과 기능
마을회관은 행정리 단위로 건립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거리가 다소 떨어진 산촌(散村)의 경우 생활 문화를 공유하는 자연촌별로 세우기도 한다. 가령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형산리는 원형산 · 구수동 · 주교마을이 하나의 행정리를 구성하지만 마을회관은 각각 보유하고 있다. 행정구역과는 무관하게 예전부터 독자적인 동계(洞契)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변천사항
최근 농어촌의 노령화 및 공동화에 따라 마을회관은 그 기능과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마을회관은 단순한 집회 장소가 아니라 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중심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과 그린투어리즘(Green Tourism) 등의 영향도 빼놓을 수 없다. 이로 인해 마을회관이나 그 인근에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갖추고 사무 및 휴식 공간과 급식 시설, 놀이 시설 등을 운영하는 마을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마을회관은 공동체의 모둠살이와 연중행사는 물론 복지를 포괄하는 다목적 생활 문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참고문헌
강성복, 『공주 상여소리와 쑥불동화의 고향 봉현리』(공주시, 2011)
강성복, 『황금담치, 외연열도 사람들』(민속원, 2019)
『원산도』(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1)
최재율, 「모정이 농촌사회경제에 미친 영향」(『호남문화연구』 4,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96)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3-16 작성자 청해명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