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부처님은 모든 중생을 뿌리로 삼으신 분이라 大悲의 물로 적셔 주시니 시들지 아니하옵더라. 法界에 가득히 굼실굼실하는 나도 부처님과 함께 살고 함께 죽으니 생각생각 끊임없이 부처님이 하듯이 중생을 공경하리라. (후렴) 아, 중생이 편안하다면 부처님도 기뻐하시리로다.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고려 초 균여(均如:923∼973)가 지은 11수의 십구체(十句體) 향가.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 또는 《원왕가(願往歌)》라고도 한다. 이 향가는 균여가 불교의 대중화를 위하여 《화엄경》의 보현십행원(普賢十行願)의 하나하나에 향가 한 수씩을 짓고, 11장은 그 결론으로 된 사뇌가(詞腦歌)이다. 고려 제4대 광종 연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은 경남 합천(陜川) 해인사 장판(藏版)으로 전하는 《균여전》에 향찰(鄕札)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14수와 함께 현재까지 발견된 향가의 전부이며, 고려시대 향가의 연구와 해독(解讀)에 소중한 자료가 된다. 또 《균여전》에는 균여대사와 같은 시대 사람인 최행귀(崔行歸)가 《보현십원가》 11수를 번역한 한역시(漢譯詩)도 함께 실려 있다. 11수의 제목은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총결무진가(總結无盡歌)> 등이다 이 보현십원가 노래는 모든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고 담벽 여기저기에도 써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평군에 사는 나필급간(那必及干)은 3년 동안 병을 앓았는데 약이 없었으나 이 행원가를 부지런히 외웠더니 어느 날 공중에서 축복하는 소리가 들려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대는 대성(大聖)의 가력(歌力)을 입어 병이 반드시 나을 것이다.” 그런 뒤에 나필급간은 자리에서 일어나게 되었다고 합니다. 실로 대단한 자비이고 가피입니다. 이러한 것은 분열되었던 신라 말 이후의 불교를 끝없는 자비심과 보살도로써 새롭게 재무장한 것이라 하겠습니다.그 당시 이 노래가 얼마나 좋았던지 최행귀는 이두로 되어 있는 이 ‘보현행원가’를 다시 한문으로 옮기기도 하였습니다. 그것을 송나라 사신이 보고는 진불(眞佛)의 작품이라고 뵙기를 원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눈물을 흘리며 돌아갔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대사의 열반에도 재미있는 일화가 있습니다. 김해 앞바다에 한 이승(異僧)이 나타나길래 그의 이름과 거처를 물었더니 스스로 비바시(毘婆尸)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후삼국은 통일되었지만 불법이 왕성하지 못하므로 전세의 인연을 생각하여 잠시 송악에 머물러 ‘여(如)’의 이름을 가지고 법을 폈는데 이제 일을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 간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는 자취를 감추었는데, 나중에 계산해 보니 그 날이 바로 균여대사가 입적한 날이라고 합니다. ---------------------무비 스님 "보현행원품"에서 이 노래(보현행원가를 가르킵니다.)는 병든 자가 암송하여 병이 나았고 사람들의 입으로 전파되어 담벼락에 종종 쓰였다는 〈균여전〉의 기록으로 보아 주력과 신이한 영험을 지녔던 작품으로 평가되기고 한다. 균여와 같은 시대 사람이며 그의 〈원왕가〉를 한문으로 번역한 최행귀는 균여의 향가를 중국의 사부를 능가하는 작품으로 평가하였다. 송나라의 군신들에게까지 전파되어 호평을 받았으며, 그들은 균여를 일컬어 "진실로 한 부처가 세상에 오신것"이라고 칭송하였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고려 시대의 대중에게 향가를 통해 부처님의 뜻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으로 짐작되며, 또한 그 시대는 불교가 흥했다는 것을 미루어 알 수 있다. -------------- 이완근, 이학준 희망의 문학에서...--------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고려 균여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는 고려초 균여대사(923-973)가 지은 11수의 십구체 향가다. 균여대사가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화엄경의 보현보살 열가지 행원에다 낱낱이 향가 한수씩을 짓고, 11장은 그 결론으로 된 사뇌가이다.고려 제4대 광종 연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 글은 해인사 장경판으로 전하는 '균여전'에 향찰로 기록되어 있다. 1.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以心爲筆盡空王瞻拜唯應遍十方 一一塵塵諸佛國重重刹刹衆尊堂 . 見聞自覺多生遠 禮敬寧辭浩劫長 身體語言兼意業 總无疲厭此爲常 마음의 붓으로 그린 부처님 앞에 절 하옵는 이 내 몸아 法界의 끝까지 이르러라. 티끌마다 부처님 나라요, 나라마다 모시옵는, 법계에 가득한 부처님 九世 다하도록 절하고 싶어라. (후렴) 아, 몸과 말과 뜻에 싫은 생각 없이 이에 부지런히 사무치리. 2.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遍於佛界懃丹衷一唱南无讚梵雄 辯海庶生三寸抄言泉希涌兩唇中 稱揚覺帝塵沙化頌詠禪王刹上風 縱未談窮一毛德 此心直待盡虛空 오늘 모든 무리가 ‘南無佛’이라 부르는 혀에 끝없는 辯才의 바다가 한 생각 안에 솟아 나누나. 속세의 허망함이 모시는 공덕의 몸을 다하겠기에 끝없는 덕의 바다를 부처로써 기리고 지고. (후렴) 아, 비록 한 터럭만큼도 부처님의 덕은 사뢸 수가 없어라. 3.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至誠照明佛前僚願此香籠法界興 香似妙峯雲曖帶油如大海水洪澄 攝生代苦心常切 利物修行力漸增 餘供取齊斯法供 直饒千萬摠難勝 부젓가락 잡고 부처님 앞 등잔을 고치려 들면 심지는 수미산이요, 기름은 큰 바다를 이루는구나. 손은 法界가 다하도록 합장하며 손에 손에 佛法의 공양거리로 법계에 가득하신 부처님께 부처님마다 한결같이 이바지하고 싶으니. (후렴) 아, 공양이야 많으나 이것이 가장 큰 공양이로다. 4.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自從無始劫初中三毒成來罪幾重 若此惡緣元有相盡諸空界不能容 思量業障堪趣紂懃竭丹誠豈墮幇 今願懺除持淨戒 永難塵染似靑松 넘어져 보리를 향함이 어지러우매 지은 죄업은 법계에 넘치옵니다. 모진 버릇에 떨어진 三業은 戒行을 지키고서 오늘 무리의 주저없는 참회를 시방세계의 부처님은 아옵소서. (후렴) 아, 중생계가 다하고 나의 참회도 다하여 내세에는 길이 악업을 짓지 않으리라. 5.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聖凡眞妄莫相分同體元來普法門 生外本無餘佛義我邊寧有別人論 三明積集多功德 六趣修成少善根 他造盡皆爲自造 摠堪隨喜摠堪尊 어리석음과 깨달음이 하나인 연기(緣起)의 이치를 찾아보고는 부처와 중생을 다 들어도 어디 내 몸 아닌 남이 있을까? 닦으신 도(道)를 내가 지금 닦으니 얻는 사람마다 남이 없네 어느 사람의 착함들이야, 어찌 아니 기쁠 것인가. (후렴) 아, 이같이 생각해 감에 질투의 마음 이르지 못하도다. 6.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佛抒成道數難陳我願皆趨正覺因 甘露酒消煩惱熱戒香熏滅罪愆塵 陪隨善友瞻慈室勸請能人轉法輪 雨寶遍沾沙界後 更於何處有迷人 저 넓은 법계(法界) 안의 부처님 회상(會上)에 나는 또 나아가서 법(法)의 비를 빌었더라. 무명(無明)의 흙 깊이 묻고 번뇌의 열로 달여냄에 의해 착한 싹을 못 기르는 중생의 밭을 적셔 주심이여. (후렴) 아, 보리(菩提)의 열매가 온전한 마음 달이 밝은 가을 밭이여. 7. 청불주제가(請佛住世歌) 極微塵數聖兼賢於此浮生畢化緣 欲示泥洹歸寂滅請經沙劫利人天 談眞盛會猶堪戀滯俗群迷實可憐 若見惠僚將隱沒 境傾丹憩乞淹延 모든 부처님께서 비록 교화(敎化)의 인연을 마치셨으나 손 모아 비비며 세상에 머무시기를 비옵노라. 새벽이나 아침과 밤에 함께 갈 벗을 알았노라 이것을 알고 나니 길 잘못 든 무리들이 가엾기 그지 없어. (후렴) 아, 우리 마음의 물만 맑으면 어찌 부처님 그림자 응하지 않으시리. 8.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此娑婆界舍那心 不退修來迹可尋 皮紙骨毫兼血墨國城宮殿及園林 菩提樹下成三點衆會場中演一音 如上妙因摠隨學 永令身出苦河深 우리 부처님께서 사시던 세상을 닦으려 하시던 난행(難行)과 고행(苦行)의 원(願)을 나는 기꺼이 쫓으리라. 몸은 부서져 티끌이 되어가는 것이니 목숨을 버릴 사이에도 그같이 함을 배우리 모든 부처님도 그같이 하신 분이로다. (후렴) 아, 불도(佛道)를 향한 마음아. 다른 길로 빗겨가지 않도록 조심하라. 9.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樹王偏向野中榮欲利千般萬種生 花果本爲賢聖體幹根元是俗凡精 慈波若洽靈根潤覺路宜從行業成 恒順遍敎群品悅 可知諸佛喜非輕 부처님은 모든 중생을 뿌리로 삼으신 분이라 大悲의 물로 적셔 주시니 시들지 아니하옵더라. 法界에 가득히 굼실굼실하는 나도 부처님과 함께 살고 함께 죽으니 생각생각 끊임없이 부처님이 하듯이 중생을 공경하리라. (후렴) 아, 중생이 편안하다면 부처님도 기뻐하시리로다. 10.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從初至末所成功廻與含靈一切中 咸蕃得安難苦海摠斯消罪仰眞風 同時共出煩塵域異體咸歸法性宮 我此至心廻向願 盡於來際不應終 내가 닦은 일체의 善을 돌이켜서 중생의 바다 안에 헤매는 무리들 없도록 알리고 싶어라. 부처의 바다가 이룩되는 날에는 참회하고 있는 모진 業도 法性의 집 보배라고 예로부터 그렇게 이르셨도다. (후렴) 아, 예배드리는 부처님도 내 몸이어니 그 무슨 남이 있을까? 11.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 盡衆生界以爲期生界无窮志豈移 師意要驚俗子夢法歌能代願王詞 將除妄境須吟誦欲返眞願莫厭疲 相續一心无間斷 大堪隨學普賢慈 중생의 세상이 다하면 내 소원도 다할 날 있으련가. 중생을 일깨움이 끝없는 내 소원인가 이다지 큰 원(願) 세우고 이렇게 나아가니 향하는 대로가 착한 길이로다. 보현보살 행원(行願)이 또한 부처님 일이어라. (후렴) 아, 보현의 마음을 알게 되니 이로부터 딴 일은 버리고 싶네. '普賢十願歌' 11수는 '화엄경'에 있는 보현십원을 주제로 하여 10장을 읊었고, 마지막장은 화엄경 권 40에 있는 게(偈)의 내용을 주제로 하여 결론을 읊었다. 11수 모두가 불찬(佛讚)을 내용으로 한 서정시이다. 이 普賢十願歌는 뒷날 최행귀에 의해 한시로 번역된 바 있다. 그는 이 노래를 "가사가 맑고 싯구가 고우며 그 뜻이 매우 높다."고 하였다. 출처: 부처님의 정법을 함께 나누는 곳 원문보기 글쓴이: 돌도사 |
첫댓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는 퍼 온 글입니다. 읽으시는 분께서 혹시라도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이 드시면
수정할 수 있게끔 댓글로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_()()()_
어릴 때 시험 공부로 뜻도 모르고 달달 외웠던
균여대사 향가 11수가 보현십원가 화엄경 보현행원품이라니 신기합니다
덕분에 공부 잘 했습니다
'부처님은 모든 중생을 뿌리로 삼으신 분이라
..........'
보다가 갑자기 생각이 나서 찾아봤어요~!
부대사(傅大士, 497~569)
夜夜抱佛眠(야야포불면) 밤마다 부처를 안고 자고
朝朝還共起(조조환공기) 아침마다 함께 일어나네
起坐鎭常隨(기좌진상수) 앉으나 서나 늘 따라 다니고
語默同居止(어묵동거지) 말할 때나 안 할 때나 함께 있으며
纖毫不相離(섬호불상리) 털끝만치도 서로 떨어지지 않으니
如身影相似(여신영상사) 몸에 그림자 따르듯 하는구나.
欲識佛去處(욕식불거처) 부처가 간 곳 알고자 하는가?
只這語聲是(지저어성시) 단지 이 말소리 나는 곳이 부처이로세
역시 우리 智禪華 님 답다예^^ 오늘 아침 창을 행복하게 열어주십니다. 밤새 내린 비로 길바닥이 온통 화장세계!
잡목 아래 키가 작은 회양목이나 사철나무는 곱디 고운 조바위를 쓴 것 같아예^^ 오늘도 환하게...
역시 우리 카페의 든든하신 두 보살님!!
그 누가 두 분을 따라올 수 있으리~..
우리 화엄산림 카페의 버팀목이십니다. 두 분은!!!!
고맙고 고맙습니다.^^
알라딘 요술램프처럼 어디에서나 짠~하시고 나타나셔서 인도하시는 보살님,
고맙고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
불교음악사상 첨으로 보현행원송을 1시간의 시간동안 대합창으로 펼치는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틱한 작품을 접하면서 가슴울렁거림을 느꼈어요..그런데 보현십원가를 읽는 동안 같이 울림이되어 노래했네요..너무나 감사한마음 전합니다_()()()_
智禪華보살님 학창시절부터 알았던 노래였군요. 저는 말로만 들었던것 같아요. 액기스를 일찍부터 접하셨네요.. ^^
無相行보살님 덕분에 또 알고 갑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