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동화>
음절(音節) 끝 자음(子音)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기도 하고,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다 바뀌기도 하는 현상. 예를 들어 ‘밥물’이 ‘밤물’로, ‘섭리’가 ‘섭니’로, 이 ‘섭니’가 다시 ‘섬니’로 바뀌는 것을 이른다.
아래 3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我看了。[wǒ kàn le] 원래: [워칸러] ➝ 한국 학생: [워칼러]
최대한 [n] 발음을 내는 것이 아니라, 혀을 애초에 올리며 대놓고 [워칼러]
■ 我问了。[wǒ wèn le] 원래 [워원러] ➝ 한국 학생 [워월러]
최대한 [n] 발음을 내는 것이 아니라, 혀을 애초에 올리며 대놓고 [워월러]
연음법칙처럼 한국학생에게 치명적인 것이 바로 자음동화 현상입니다.
그 순발력 있고, 원어민 뉘앙스 나던 MC 잘 보던 그 학생의 경우도 "워칼러".. -_-;;
이렇듯 자음동화 현상은 충분히 강조할 가치가 있으나!!
하지만 시중의 중국어 교재에서 자음동화를 얘기하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아래의 예는 지인 국문학 선생이 얘기를 자음동화는 아니라네요.
하지만 얼추 비슷하길래 그 선생의 얘기를 써봅니다.
■ 看病。[kàn bìng] 원래: [칸삥] ➝ 한국 학생: [캄삥]
최대한 [n] 발음을 내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입술을 다물며 대놓고 [캄삥]
하지만 ‘看病’은 모음동화라고 볼 수 없습니다. 왜냐면 ㅃ이 앞음절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동화란 말의 뜻이, 같거나 비슷하게 변화된다는 뜻인데, ㅁ과 ㅃ은 그렇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결론: 중국어에서 자음동화도 많이 부각시켜 주십시오. ^^
나의 조국 대한민국, 사랑하는 나의 나라가
일본/중국에 얻어터지는 역사였으니..
이제 평택 어딘가에 차이나타운이 아니라 무슨 차이나 도시가 생긴다는 뉴스도 보았는데요.
중국어 발음도 좋은 많은 나라의 인재들이 일을 해야 할 것인데..
"워칼러" "띠애닝" 그러면서 중국어를 한다면.. 참 가슴이 답답합니다.
교수님이 어서 책을 내서 다 뒤집어 주세요 ^^
오타 있을텐데 용서하세요~*
첫댓글 모음동화 자음동화란 말의 뜻이, 발음이 같거나 비슷하게 변화된다는 뜻인데,
만약 한국어에서 ㅁ과 ㅃ이었다면 자음동화가 맞습니다.
看의 종성인 '혓소리 ㄴ'을 뒤에 있는 病의 첫소리인 '입술소리 ㅃ'과 같은 '입술소리 ㅁ'으로 바꾸었으면 동화에 속하지요.
문제는 중국어에서 - n. - ng 운미가 자음 음가를 가지는 지를 자신있게 말할 수 없다는 것이며
자음으로 볼 때는 뒤의 자음들과 겹칠 때 자음 동화가 꽤 많이 일어나지요.
n + g k 의 경우에 앞의 -n이 -ng로 발음되고
n + b p m 의 경우에 앞의 -n이 -m 으로 발음되는 따위예요.
중국어에서는 정확하게 -ng 나 - m 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서 강한 의구심이 남습니다.
중국에서 한자 부수는 이름까지 딱! 정해서 표본처럼 사전에 붙어 나오는데
우리나라에서 한자 부수는 명칭도 통일 안 되고 책마다 다르기도 하고.. 암튼 제가 볼 때는 안개속인 듯합니다.
그 많은 한자 박사들은 뭐하시는지... 부수 명칭 좀 통일하시지-
한자 박사님께 안타까움을 얘기 본 적도 있지만 국내의 현실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러고 보면, 김교수님 말씀처럼 성모/운모 역시 중국이나 국내에서도 완전 통일 된 것은 아니라 변동이 있듯
학문의 내용은 굳어 있는 화석처럼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따라 변하기도 하고, 그 시대에 당장 정할 수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중국어 학계에서는 모음동화/자음동화/연음법칙 등의 문법 규정을 함부로 안 쓰는 게 더 낫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또 굳이 그런 규정들을 열거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중국어 발음 시 주의할 사항>이라고 학습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니 말이지요.
바쁘실텐데 이렇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날도 더워지는데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