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남한의 인공위성과 북한의 인공지구위성
최근 대한민국의 한 언론은 “남북한이 동시에 로켓을 쏘아 올리는 경쟁구도에 돌입한 느낌이 들어 일변 흥미롭기도 하고, 일변 떨떠름하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순수한 목적의 인공위성이지만 북한의 장거리 로켓은 인공위성을 가장한 전략무기다. 우주에 쏘아 올려 과학적, 상업적 목적으로 쓸 가능성을 타진하는 인공위성과 미국까지도 겨냥할 수 있는 장거리 로켓은 전혀 그 성격이 다르다.”고 했다. 남북한의 용어에 대해 생각해 볼 때다.
인터넷 백과사전에서 북한에서 쓰이는 ‘인공지구위성’을 검색하면 ”인공위성“이 뜬다. 내용은 ”지구의 임시·영구 궤도로 발사된 인공물체. 유인(有人)과 무인(無人)의 2가지가 있으나 대부분이 무인 인공위성이다...”이라고 되어 있다. 북한의 <조선말대사전>에는 “인공위성”은 없고, “인공지구위성”은 “일정한 자리길을 따라 지구의 두리를 돌아가도록 인공적으로 쏘아올린 물체”라고 했다. 다음은 2012년 12月 13日字 <로동신문> 기사이다.
“인공지구위성의 종류와 그 기능 : 인공지구위성 《광명성-3》호 2호기는 지구관측에 필요한 측정기재와 통신기재들을 설치한 과학기술위성이다. 위대한 령도자 김 정 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시였다. 《우리는 대담하게 목표를 높이 세우고 최신과학기술을 연구도입하는데 적극 달라붙어 최단기간에 중요분야의 과학기술을 세계적수준에 올려세워야 합니다.》
인공지구위성은 그 사명에 따라 실용위성,군용위성 등으로 나눌수 있으며 궤도높이,궤도형태,궤도경사각과 위성의 크기에 따라서도 분류할수 있다. 실용위성은 응용분야가 넓은 위성으로서 여기에는 통신위성,방송위성,기상위성,지구자원탐사위성,해양관측위성 등이 있다. 과학기술위성은 태양계를 연구하거나 우주공간을 관측,탐사하는 위성이다.과학기술위성에는 우주탐측위성,천문위성,지구관측위성,환경감시측정위성 등이 있다.
우리의 《광명성-3》호 2호기는 지구관측위성이다. 인공지구위성은 궤도높이에 따라 저고도위성,중고도위성 및 고고도위성으로 나눈다.저고도위성은 보통 궤도높이가 수백㎞로부터 수천㎞정도이며 중고도위성은 궤도높이가 약 5 000~2만㎞,고고도위성은 궤도높이가 2만㎞이상 되는 위성이다.
《광명성-3》호 2호기는 《광명성-2》호와 마찬가지로 저고도위성에 속한다. 인공지구위성이 지구둘레를 한바퀴 도는 시간을 궤도주기라고 한다.인공지구위성이 지구표면에서 제일 가까운 점을 지날 때 그 점을 근지점이라고 하며 제일 먼 점을 지날 때에는 그 점을 원지점이라고 한다.위성의 궤도주기는 지구중심으로부터 원지점까지의 거리에만 관계되는데 이 거리가 크면 클수록 궤도주기는 커진다.
《광명성-3》호 2호기의 근지점고도는 499.7㎞이고 원지점고도는 584.18㎞이며 주기는 95분 29초이다. 《광명성-1》호의 근지점고도는 218.82km,원지점고도는 6 978.2km였으며 주기는 165분 6초였다.《광명성-2》호는 근지점고도 490㎞,원지점고도 1 426㎞였고 주기는 104분 12초였다.
궤도형태에 따라서는 원궤도위성과 타원궤도위성으로 나눈다.대체로 낮은 고도의 자원탐사위성들과 정지위성들은 원궤도위성이고 그밖의 위성들은 타원궤도위성들이다. 인공지구위성은 또한 위성궤도경사각에 따라 극궤도위성과 경사궤도위성,적도궤도위성으로 나눈다. 위성궤도경사각은 지구적도면과 위성궤도면사이의 각이다. 극궤도위성은 위성궤도면이 적도면과 대체로 수직이며 지구의 극주위로 돌아가는 위성이다.여기에는 지구자원탐사위성,정찰위성 등이 속한다.
경사궤도위성은 궤도경사각이 0゜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은 위성이다. 적도궤도위성은 궤도경사각이 0゜인 위성으로서 적도궤도상공을 돌아가는 위성이다.여기에는 정지통신위성들이 속한다. 인공지구위성 《광명성-2》호는 궤도경사각이 40.6゜인 경사궤도위성이였다면 《광명성-3》호 2호기는 궤도경사각이 97.4°인 극궤도위성이다.
이번에 우리 과학자,기술자들이 발사한 인공지구위성《광명성-3》호 2호기는 태양동기극궤도를 따라 비행하고있다.태양동기극궤도는 인공지구위성의 비행궤도들가운데서 가장 특이한 궤도의 하나이다.이 궤도는 가장 널리 리용되면서도 기술적으로 달성하기 힘든 궤도로서 해당 나라의 우주기술발전정도를 가늠해볼수 있는 척도의 하나로도 되고있다. 《광명성-3》호 2호기는 지구관측위성으로서 나라의 과학기술과 인민경제발전에 절실히 필요한 화상자료들을 얻어 지구로 전송하게 된다. - 위성관제종합지휘소 실장 김혜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