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암(玉泉庵) /전통사찰
- 울산시 북구 연암동
931년(신라 경순왕 5)에 창건, 1375년(고려 우왕 1) 원음대사(圓音大師)가 중창하였다.
1696년(숙종 22) 신환대사(愼還大師)가 중창, 1718년 행림(幸林)이 중건하였다.
1737년(영조 13) 원회(元晦)·찬민(贊敏)·수맹(守孟) 등이 중수하였다.
1792년(정조 16) 초연(楚演)과 지성(志性)이 법당과 요사를 중건하였다.
사적은 최근 대웅전·삼성각을 중수할 때 대들보 속에서 발견한 1792년 올린 상량문에 적혀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발췌, 수정)
무룡산(舞龍山) 중턱에 있다. 무룡고개 옛길에서 조금 벗어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엔 함월산(含月山) 아래에 있다고 나온다.
경주 기림사를 품고 있는 산이 함월산이다. 울산에는 중구 성안동에 있다. 백양사(전통사찰)를 품고 있다.
오전엔 본 백양사 일주문엔 불모산백양사, 홈페이지엔 함월산백양사. 백과사전 기록이 잘못이다.
사적비 아래 주차하고 조금 걷는다. 햇살이 따갑다.
대웅전
요사
종무소 겸 공양간(?)
대웅전 안
독성각, 칠성각, 산령각
무룡고개는 왕복4차선 도로가 시원하게 놓여져 있다. 지나는 차소리를 빼면 조용한 절이다.
잠시 앉아서 땀을 식혔다.
도솔암(兜率庵) /전통사찰
- 울산시 북구 화봉동
옥천암에서 차로 가까운 곳에 도솔암이 있다. 도솔암 또한 무룡산 아래이다.
규모는 크지 않으나 정갈한 느낌이다. 비구니가 계신가 생각하였는데 비구가 계신다.
대웅전 왼편과 오른편에 도솔내원(요사)과 도솔외원(종무소, 약사전)이다. 내원 뒤편 전각은 수리하고 있다.
도솔내원
도솔외원(약사전) 안
창건주 비구니 가일다(왼편), 비구니 초공선련(오른편). 도솔암을 짓고 유지한 공이 많으신 비구니 두 분 진영이다.
대웅전 안
함월산 신흥사(含月山新興寺)/전통사찰
- 울산시 북구 대안동
신라 선덕여왕 4년 (635년) 또는 문무왕 13년(673년), 명랑법사가 창건.
명랑법사(明朗法師)는 신라를 침공한 당나라 함대를 문두루비법으로 격퇴(삼국유사 권5)하여 나라를 구한다.
명랑법사는 신인종(神印宗) 종조이자 자장율사의 외조카이다.(삼국유사 권2)
임진왜란 때 승군을 조직, 전국 사찰 가운데 처음으로 참전하였다.
1592년 5월 15일 주지 지운이 승군 100여 명을 이끌고 왜군에 맞섰다.
또한 울산의병, 경주의병에게 사찰미 300석을 공급하였다. (제월당실기, 조선후기)
정유재란 1차 울산성 전투 후 왜적이 방화를 함. 모두 불에 타서 없어짐.
1646년(인조 24) 경상좌병영 병마절도사 이급(李伋)을 발기인으로 혜종(慧宗)이 중창.
1686년(숙종 12) 화재로 인한 재건.
1752년(영조 28) 병마절도사 이상국(李相國)의 발의로 서봉화상이 중건.(신성루 현판 건륭22년(1757))
(신흥사 홈페이지에서 가지고 와서 조금 고침)
울산광역시 4대 사찰은 울주군에 있는 석남사, 문수사, 내원암 등과 이곳 신흥사다.
산속에 절이 있다. 가는 길 옆 계곡에는 더위를 식히려는 사람들이 제법 있다.
신성루, 2층 누각 가운데 들어가는 곳이 사천왕문 역할을 한다. 사천왕상은 그림이다.
대웅전
청풍당, 종무소
적묵당
대웅전 안에는 아미타여래삼존상이 모셔져 있다.
석조 아미타여래좌상(복장유물 포함) /보물
1649년 조각승 영색이 만든 불상. 복장에서 발원문 1, 후령통 1, 직물 7, 보석 1 등이 있었다.
불상도 금색, 후불탱인 목각탱도 금색, 불상이 도드라져 보이질 않는다.
삼성각
우당대사 부도, 완전체인지 부분체인지 모르겠지만 특이한 양식이다. 비지정 문화재.
삼성각에서 본 신흥사 경내
응진전
대안동 신흥사 구 대웅전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본디 건흥사 대웅전, 선덕여왕 4년 (635년)에 명랑법사가 세웠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왜군이 저지른 방화로 모두 불에 타버렸다.
1646년(인조 24) 경상좌병영 병마절도사 이급(李伋)이 발기, 중창한 후 신흥사로 사명을 바꾸었다.
1998년 현 대웅전 자리에 있던 이 건물을 이곳으로 옮기고 새론 대웅전을 짓고, 이 건물은 구 대웅전으로 부른다.
신흥사 구 대웅전 단청 반자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18세기 중반, 문양구성의 독창성과 창의성이 높다. 천장 반자 채색 문양은 조형미와 구성미가 뛰어나면 예술성이 높다.
이런 천장 반자를 쉽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신성루 안
수령 400년 회화나무, 보호수
다음에 기회가 있으면 신흥사에 다시 와야겠다. 보지 못한 문화재가 있다. 홈페이지를 제대로 읽고 왔어야 한다.
명랑법사가 창건하였다는 것엔 의문이다. 명랑법사는 유식종이나 밀교 계통의 승려.
신단을 쌓고 당나라를 물리쳤다는 삼국유사 기록, 그 장소는 경주 사천왕사이다.
어물동 마애여래좌상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 울산광역시 북구 어물동
방바위, 주불은 약사불이며 협시로 일광, 월광보살을 돋을새김으로 만들었다. 통일신라시대.
약사불 높이 5.2m, 어깨 넓이 2.9m
마애사 안에 있는지 말고 길옆에 주차하였다. 20m쯤 더 가면 주차장이 있으며 곧장 마애불로 간다.
돌 재료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다. 상반신은 분명하게 새겼지만 하반신은 두루뭉술하게 조각한 것 같다.
일광보살
월광보살
길상바위 여근곡
불족적(佛足跡), 언뜻 보면 발바닥 같기도 하다.
2023년 8월 26일 오후
중구 관음사, 해남사, 울산향교, 백양사....북구 옥천암, 도솔암, 신흥사, 어물동 마애불....동구 동축사, 월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