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I WAS
reborn, born as an economist, at 8.00am on January 2nd 1932, in the
University of Chicago classroom,” wrote Paul Samuelson in a memoir
published earlier this month. He became probably the most influential
economist of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For his work in
several branches of the dismal science he became the first American
economics Nobel laureate. Through his bestselling textbook, he
introduced millions of people to the subject. And right to the end he
kept on mentoring the profession’s brightest stars.
폴 사무엘슨은 ‘나는 1932년 1월2일 오전 8시 시카고대학 강의실에서 경제학자로 세로 태어났다.’ 라고 이번달 초에 출간된 회고록에 썼다. 그는 아마 20세기 후반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경제학자가 되었다. 우울한 학문(경제학)의 몇몇 분야에서의 성과로 미국 최초의 노벨 경제학 수상자가 된다. 그는 자신의 베스트 셀러 교재를 통해서 그 학문(경제학)을 수백만 사람들에게 가르쳤다. 그리고 죽기 직전까지 저명한 경제학자들에 대한 조언을 계속 해왔다.
His actual
birth took place almost 17 years earlier in the steel town of Gary,
Indiana, to a family of upwardly mobile Polish immigrants. His earliest
memories—of the recession of 1919-21 and strikebreaking immigrant
workers from Mexico, and of the boom and bust that followed—shaped Mr
Samuelson’s macroeconomic views throughout his life. He approved of
massive government spending to help an economy escape from recession
when monetary policy can do no more. When the Obama administration
introduced just that sort of stimulus this year, partly on the advice
of Mr Samuelson’s nephew, Larry Summers, who is Mr Obama’s chief
economic adviser, he was quick to approve.
그는 실제론 철강도시인 인디아나주 개리라는 도시에서 1932년의 17년전에 신분계층 상승을 하려 힘쓰는 폴란드 이민자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폴의 어릴적 기억들인 1919년에서 1921까지의 경기 침체, 멕시칸 이민자들의 파업대체 노동, 경기의 호황과 불황이 그의 평생동안의 거시경제 관점을 형성시켰다. 그는 통화정책이 더이상 먹히지 않을때 경제를 경치 침체로 부터 벗어나게 하기위한것을 돕기위한 국가의 대규모 지출을 승인했다. 오바마 정부가 이번해에 같은 목적의 부양책( 일정 부분은 폴의 조카이자 오바마의 최고경제고문인 래리 썸머스의 조언이기도한)을 들고왔을때 그는 바로 동의(승인)해줬다.
Though
regarded as America’s leading standard-bearer for Keynesian economics,
he called himself a “cafeteria Keynesian”, just picking the bits he
liked. His combination of Keynesian and classical economic ideas became
known as the “neoclassical synthesis”. From his chair at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nd in his column in Newsweek,
the self-described “dull centrist” became a fierce critic of the
libertarian Chicago School, and especially of Milton Friedman (writer
of a rival Newsweek column). Markets are not perfect, he
believed, and dire warnings from Friedman, and earlier from Friedrich
von Hayek, about the regulation of markets “tells us something about
them rather than something about Genghis Khan or Franklin Roosevelt. It
is paranoid to warn against inevitable slippery slopes…once individual
commercial freedoms are in any way infringed upon.”
미국 케인즈 경제학을 이끄는 대표자라고 여겨졌지만, 스스로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 부분만 가져온 “카페테리아식 케인즈 경제학” 라고 일컬어다. 그의 케인즈 와 고전 경제학의 아이디어를 조합은 “신고전파조합”으로 알려지게 된다. MIT 연구실과 뉴스위크의 칼럼에서는 “무던한 중도파”에서 자유주의 시카고학파의 실랄한 비평가로 변한다, 특히나 라이벌인 밀튼 프라이드만에 대해서는. 그가 말하기를 시장은 완벽하지 않다고 및으며 프라이드만이나 그전의 프레드리히 판 헤이엑의 시장 규제에 관하여 심각한 경고한것은 징기스칸이나 루즈벨트 같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라기 보다는 그사람들 자신이 누구인지를 우리에게 이야기 하는것이다. 개인의 상업자유가 제한을 받는 경우가 생기면 이런 경사진 미끄러운길과 같이 피할수 없는 일에대해 경고하는 것은 피해의식이다.
As for Mr
Samuelson’s friend of 50 years, Alan Greenspan, once chairman of the
Federal Reserve, “the trouble is that he had been an Ayn Rander”—a
devotee of laissez-faire capitalism. “You can take the boy out of the
cult but you can’t take the cult out of the boy,” Mr Samuelson told the
Atlantic this summer. “He actually had [an] instruction,
probably pinned on the wall: ‘Nothing from this office should go forth
which discredits the capitalist system. Greed is good’.”
사무엘슨에게 50년 지기로써 전직 연준위의장이였던 앨런 그린스펀의 문제점은 자유 경쟁 자본주의자인 아인 랜드 신봉자 였다는 점이다. 세뮤얼슨은 앨런을 자유주의자들에게서 떼어 놓을순 있지만 자유주의에 대한 신념을 버리게는 할수 없다고 이번 여름 아틀란틱지에서 말했다. 앨런은 실제로 벽 어딘가에 이런문구를 붙여놓았다: ‘자본주의에 대한 불신을 가지게 하는 어떤것도 이 사무실안에서 만들어져서는 안된다. 탐욕은 선이다’
The huge
sales of Mr Samuelson’s textbook, “Economics”, first published in 1948
and updated every three years, owed much to his lively writing. (The
abstract of his recent memoir ended with the words: “Boo hoo.”) The
book transformed how economics was—and is—taught around the world. If
the earlier editions too readily believed that an economy could achieve
equilibrium, that may have stemmed from the author’s conviction that
mathematics could be a useful tool for economists, and that economics
had much to learn from physics and the laws of thermodynamics. Today it
is fashionable to argue that economics was led astray by “physics
envy”, which blinded it to the subtleties of human behaviour, yet after
winning his Nobel prize in 1970 Mr Samuelson anticipated economists’
current interest in biological systems by writing several papers on
Mendelian dynamics.
엄청난 판매부수를 자랑하는 새뮤얼슨의 경제학 책은 1948년 출간되었으며 그의 활발한 집필 덕분으로 삼년마다 업데이트 됐다(그의 최근 회고록에서 머릿말의 마지막을 ‘흑흑(울며)’ 이라고 하며 마무리했다). 경제학 책은 과거 및 현재 전세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변화시켰다. 초기 에디션들이 너무 쉽게 경제가 균형을 이룰수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면 그건 저자가 수학이 경제학의 유용한 툴이 될수있다는 점과 경제학이 물리학과 열역학법칙에서 배울점이 많다라는 확신에 기인할수 있겠다. 요즘 경제학이 “물리학에대한 선망(인간의 미묘한 행동을 차단해버리는)”의 일탈에 결과물이라는 이야기가 유행이지만, 1970년 노벨상 수상후 맨델역학에 관한 몇몇 논문을 써서 경제학자들이 현재의 생물학 시스템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를 기대했다.
He was the last of the great general economists, making important contributions on trade, macroeconomics, public finance and consumer behaviour. Yet he decided, at around 50, that to remain academically competitive he had to specialise. Perhaps because it was close to his beloved mathematics, the specialist field he chose was financial economics.
그는 교역, 거시경제, 국가 재정 및 소비자 행동에 지대한 기여를 한 마지막 위대한 일반경제학자다. 비록 50세 쯤에 학문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전문화 해야했지만. 아마도 금융경제학으로 전문화 한것은 그가 너무 좋아하는 수학과 비슷해서 일것이다.
His work
helped lay the foundations for two of the field’s biggest ideas: the
efficient-market hypothesis and options pricing. In 1965 he published a
paper explaining that in well-informed and competitive speculative
markets, price movements over time will be essentially random—a concept
at the heart of the efficient-market hypothesis later described in its
full majesty by Eugene Fama, whom Mr Samuelson believed ought to win a
Nobel prize. In the 1950s it was Mr Samuelson who had rediscovered the
pioneering early work of Louis Bachelier, a French mathematician whose
insights would later underpin the Black-Scholes option-pricing model;
and it was Mr Samuelson who suggested the assumption, that share prices
move according to geometric Brownian motion, which makes this model
workable. Mr Samuelson remained close to Robert Merton, who won a Nobel
for his work with Fischer Black and Myron Scholes on options pricing.
그의 연구는 효율적 시장 가설 및 옵션 가격 결정 이라는 금융경제학의 두가지 큰 주제의 근간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1965년엔 정보가 잘 전달되고 설득력있는 추정이 가능한 시장 하에서 장기간 걸친 가격변동은 근원적으론 랜덤하다는 논문을 출간했다-효율경제 가설의 핵심이론은 나중에 Eugene Fama(폴 사무엘슨 생각으론 노벨살을 받아할 할 사람인)에 의해서 완벽히 설명되었다. 1950년대엔 사무엘슨이 프랑스 수학자로 그의 통찰이 나중에 블랙-숄 의 옵션가격 모델의 토대를 마련했던 Louis Bachelier 의 초기연구를 연구하여 재발견한 사람이며; 주가가 기하학적 브라운 운동(유체입자가 한정된 공간에서 랜덤하게 움직이는 현상)에 따라 움직인다라는 가설의 주창으로 (블랙숄옵션가격모델)이 실제 적용되도록 하게한 사람이 사무엘슨이다. 세뮤엘슨은 블랙-숄과 옵션 가격을 함께 연구해서 노벨상을 탄 로버트 머튼과는 친하게 지냈다.
Yet Mr
Samuelson also understood that beyond the ivory tower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efficient markets rarely existed; they needed regulating.
“To understand economics you need to know not only fundamentals but
also its nuances,” Mr Samuelson would explain. “When someone preaches
‘Economics in one lesson’ I advise: Go back for the second lesson.” The
latest crisis (for which he felt some responsibility, since he had
helped develop financial derivatives that company executives did not
understand) proved that “free markets do not stabilise themselves. Zero
regulating is vastly suboptimal to rational regulating. Libertarianism
is its own worst enemy!”
하지만 사무엘슨은 상아탑 밖에서 효율적 시장에 필요한 조건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또한 이해를 했다. “ 경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근간을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미묘한 의미의 차이(뉘앙스)도 알아야 한다”라고 설명한다. “어떤이가 경제학을 한번의 수업으로 끝내려 한다면 나는 충고합니다: 두번째 수업하러 가라고.” 최근 위기(그는 기업간부들이 이해하지 못한 파생금융상품을 개발하는데 일조했다는 생각에 어느정도 책임감이 느껴져서)는 “자유 시장은 스스로 안정을 갖지 못한다. 규제가 없다는것은 넓게 보면 합리적인 규제보다는 차선이다. 자유지상주의는 자유시장 스스로에게는 최악의 적이 되는 샘이다.
Mr Samuelson
was happy to be “linked with such Methuselah masters as Verdi” who did
some of their best work in old age. He was able to do so, not least,
because of his interest in evidence-based medicine. For decades he read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and—noting a weakness in
his male ancestors—he was an early adopter of cholesterol-reducing
statin pills, as well as skimmed milk. His passion for “looking for
theoretical understandings of empirical reality” may help explain his
long life, as well as his lengthy list of achievements.
사무엘슨은 “자신을 베르디가 생전에 음악의 위대한 시기의 대가로써 노년기에 최고의 작품들을 만들어내던 것에 비유하면서” 행복해 했다. 그는 확실히 그렇게 할수 있었으며 그것은 검증된 의약품에 대한 관심때문이다. 수십년동안 그는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잡지를 구독했으며( 남자 선대조상에 결점이 있는것에 알아내고) 스테틴이라는 콜레스테롤을 줄여주는 알약을 아주 출시 초기부터 먹어왔다. 지방을 뺀 탈지우유먹는것도 포함해서. 그의 “경험적 실체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를 하는것을 추구하는” 열정은 그가 오랜 삶을 살아오고 아주 많은 업적을 남긴것을 설형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첫댓글 His actual birth took place almost 17 years earlier 이거.. 그의 출생년도는 1932년이 아니라 그보다 17년 전이다.
리뷰해 주셔서 감사해요
읽다 보니 제 생각과 다른 부분이 좀 있어서.. 저도 해서 올려봅니다.. 보시고 의견주세요~^^
네. 제가 오타낸게 조금 보이네요 최초를 최고로 조카를 사촌으로 쓰고... 해석을 깔끔하게 하신것 같네요. flow가 좋아보입니다. 혹시 해석이 전혀 달랐던 부분중 제가 발견 못한게 있으면 이야기 해주시구요. 그리고 저는 여기서도 언급된 Milton Friedman 의 'Free to Choose: A Personal Statement' 읽고 있어요. 예인님도 좋아하실것 같아서 추천해요.
수고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