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 26,14-25
14 그때에 열두 제자 가운데 하나로 유다 이스카리옷이라는 자가 수석 사제들에게 가서,
15 “내가 그분을 여러분에게 넘겨주면 나에게 무엇을 주실 작정입니까?” 하고 물었다.
그들은 은돈 서른 닢을 내주었다.
16 그때부터 유다는 예수님을 넘길 적당한 기회를 노렸다.
17 무교절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님께 다가와, “스승님께서 잡수실 파스카 음식을 어디에 차리면 좋겠습니까?” 하고 물었다.
18 그러자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도성 안으로 아무개를 찾아가, ‘선생님께서 ′나의 때가 가까웠으니 내가 너의 집에서 제자들과 함께 파스카 축제를 지내겠다.′ 하십니다.’ 하여라.”
19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분부하신 대로 파스카 음식을 차렸다.
20 저녁때가 되자 예수님께서 열두 제자와 함께 식탁에 앉으셨다.
21 그들이 음식을 먹고 있을 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22 그러자 그들은 몹시 근심하며 저마다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하고 묻기 시작하였다.
23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나와 함께 대접에 손을 넣어 빵을 적시는 자, 그자가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24 사람의 아들은 자기에 관하여 성경에 기록된 대로 떠나간다.
그러나 불행하여라, 사람의 아들을 팔아넘기는 그 사람!
그 사람은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
25 예수님을 팔아넘길 유다가 “스승님, 저는 아니겠지요?” 하고 묻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네가 그렇게 말하였다.” 하고 대답하셨다.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오늘 우리는 사랑하는 제자에게 은전 30냥에 팔려 배신당하는 예수님을 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그 배신자에게 마지막까지 인정을 베푸시고 기회를 주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유다야, 네가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라고 하지 않으시고, “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마태 26,21)라고 말씀하시면서, 당신을 팔아넘길 자가 누구인지 밝히지 않음으로써 마지막까지 그에게 회개의 기회를 주십니다.
그러자 제자들은 몹시 근심하며 저마다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마태 26,22)라고 묻습니다.
마찬가지로 유다도 묻지만, 그는 “주님”이라 부르지는 않으며, “스승님, 저는 아니겠지요?”(마태 26,25)라고 묻습니다.
그가 올리브동산으로 예수님을 붙잡으러 왔을 때도 예수님께서는 “친구야, 네가 하러 온 일을 하여라.”(마태 26,50)하고 여전히 그를 ‘친구’라고 부르십니다.
그러나 그는 스승의 사랑을 끝까지 외면하고 맙니다.
그는 뒤늦게 후회는 했지만, 결국 자책과 죄책감에 빠져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됩니다.
그런데 대체 유다는 왜 예수님을 배반했을까?
그것은 은전 30냥에 대한 탐욕 때문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자신이 바라고 원했던’ 정치적 민족적 메시아가 되어주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자신의 이상과 신념을 채워주지 않자, 자신의 그릇된 신념과 이상을 고집한 까닭이었을 것입니다.
‘완고함’이란 이처럼 무섭습니다.
곧 자신의 피조물인 자신의 생각과 이념이라는 ‘우상’을 섬긴 까닭이었습니다.
사실 예수님은 사람들의 생각과 이상을 파괴시키는 혁명가였던 것입니다.
그러니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버리지 않고는 결코 예수님을 따를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정녕 진정한 혁명가는 자신이 먼저 혁명당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혁명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우리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자신이 만들어 놓은 이상을 쫒는 자는 그리스도를 따를 수 없고, 그리스도에 의해 혁명당한 자만이 진정 변혁될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예수님의 말씀을 듣습니다.
“불행하여라, 사람의 아들을 팔아넘기는 그 사람!”
(마태 26,24)
이 말씀은 비단 유다에게만 해당하는 말씀인 것만은 아닐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배반하는 모두에게 해당하는 말씀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저는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라고 말할 용기가 없습니다.
제가 유다처럼 배신할 줄을 알기 때문입니다.
아니, 당신을 배신하는 줄을 알면서도 악에 조정당하고 있고, 오늘도 넘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주님, 제가 바로 그 사람입니다. 건져주십시오.”라고 자비를 구해야 할 일입니다.
아멘.
<오늘의 말 · 샘 기도>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마태 26,22)
주님!
더 이상 고집 부리지 않게 하소서.
생각을 움켜잡기보다, 생각에 붙잡히기보다, 생각을 바꿀 줄 알게 하소서.
당신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께 조정 당하게 하소서.
저의 바람이 아니라 당신의 바람을 따르게 하소서.
아멘.
-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회 이영근 신부-
출처: 빠다킹신부와 새벽을 열며 글쓴이: 푸른잎새
첫댓글 🙏